단선결선도의 구성
1. 전철변전소(S/S)
◦ 154kV 전철변전소는 한국전력공사로부터 3상 154[㎸] 전력계통으로부터 3상 2회선(상시1, 예비1)을 수전받아 154[㎸] 수전설비와 부하 불평형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결선방식인 스코트결선 급전변압기를 사용하여 급전전압인 55[㎸]로 강압한 다음 단권변압기에 의해 전기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27.5kV전원을 전차선로에 공급하게 되며 그 주요설비는.
- 한국전력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받는 수전설비 : 단로기, 차단기, 피뢰기, 거래용 계량장치, 변류기, 계기
용변압기
- 수전전압을 운전용 전압으로 강압하는 변압설비 : 급전용변압기(SCOTT 결선)
- 전차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설비 : 단로기, 차단기, 피뢰기, 변류기, 계기용변압기, 단권변압기로 구성되
며 그 밖에 소내 전원설비, 원격감시제어설비, 소규모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전철 변전소는 상
호 연계를 고려하여 연장급전이 가능하도록 설비를 구성하였음.
- 전력품질개선장치 : 단로기, 차단기, 변류기, 계기, SVC류
2. 급전구분소(SP)
◦ 교류급전방식 철도에서는 서로 인접한 변전소의 전압과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변전소 사이에 절연구분장치(Neutral Section)를 두어 각각 다른 전원의 혼촉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음. 그리고 병렬운전 필요시 두 개의 변전소간 병렬운전 조건이 되면 급전구분소를 연결하여 병렬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
◦ 또한 급전구분소에 급전구간 구분 설비 외에 인접 변전소의 고장에 대비하여 연장급전과 일부구간의 사고 또는 보수시에 해당 구간만을 급·단전할 수 있도록 상․하선 Tie 설비 기능도 갖고 있음. 주요설비로는 차단기, 단로기, 피뢰기, 변류기, 계전기용 변압기, 단권변압기, 소내전원설비 등으로 구성
3. 보조급전구분소(SSP)
◦ 보조급전구분소는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권변압기(AT)를 설치하여 전기차 운전에 필요한 27.5kV 전원을 전차선로에 급전하는 설비로 1개의 변전소 급전구간에 약 8~10[㎞] 간격으로 설치된다. 교류급전구간에서는 변전소 설치 간격이 멀기 때문에 중간에 급전구분소(SP)가 설치되어 있어도 전차선 작업이나 장애시 정전구간이 길게 되어 선로사고장애시 또는 보수시 해당 구간만을 구분하여 정전 범위를 축소시키는 목적과 전기차운전에 따른 통신유도의 경감 및 전압강하의 보상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보조급전구분소(SSP)를 두고
있음.
◦ 주요설비는 선로구분 및 급전을 위한 급전설비로 단로기, 차단기, 피뢰기, 계기용 변압기, 단권변압기등이
있음.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파 대책 (0) | 2017.04.07 |
---|---|
보호회로 검토 (0) | 2017.04.07 |
변전설비 건축물에 대한 소방대책 (0) | 2017.04.07 |
변전설비 건설형식(옥내, 옥외) (0) | 2017.04.06 |
전차선 절연구분장치(Neutrul Section) 설치조건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