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의 장, 단점을 기술하시오
1. 서론
동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운반비의 절감, 출력 증대 및 고속화를 꾀하게 되면서 철도 동력의 변환이 등장하게 된 것이 전기 철도다.
2. 전기 철도의 개요
전기철도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철도를 말한다.
전기차에 적당한 간격으로 변성하여 분배해 주는 전철 변전소와 전력을 전기차 까지 공급하는 전차선로 및 전기차로 구성되어 있다.
3. 전기 철도의 장점
1) 국내 에너지 자원의 유효 이용
① 연중 무휴 심야전력 이용
② 발전소의 부하율을 증가
③ 에너지의 유효 이용
④ 국가에너지 정책에 호응
2) 동력비의 절감
디젤 기관차와 전기 기관차 간의 에너지 소비율 차이는 약25% 정도 전기기관차가 효율이 높으므로 동력비가 절감된다.
3) 수송력 증강
철도의 수송 능력은 열차당의 편성량 수와 운전속도 등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견인력이 크고, 감. 가속 특성이 좋고, 점착 성능이 우수한 전철은 고빈도 고속운전이 요구되는 구간과 경사구간에서 높은 평균 속도를 얻을 수 있고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디젤 운전보다 최소 40% 이상 수송력이 증가한다.
4) 서비스 향상
전철은 무엇보다도 매연이 없고 소음이 적어서 환경 친화적인 설비이다.
대도시의 인구 분산과 지역 균형 발전을 기할 수 있다.
5) 수송원가 절감
운전과 취급이 간단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40% 정도 감소되고 차량의 내구 연한도 2배가 되며 차량 중량도 줄어 궤도 보수 비용도 절감된다.
6) 경영의 합리화
전기철도는 장거리 운전이 가능하고 회차율이 높아 적은 차량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열차 운행시간 단축으로 승무원 운용 효율을 증대. 경영의 합리화와 수입을 증대시키므로 철도의 경영개선.
4. 전기철도의 단점
1) 초기 투자비의 증가
송전선로, 변전소, 급전선로, 전차선로 등의 시설이 필요, 초기 투자비가 증가되며, 시설물 유지 보수비가 추가된다.
2) 전식과 유도 장해 발생
직류식 전기철도는 대지 누설 전류에 의해 지중 금속관로 등에 전식이 발생, 교류식은 정전 유도와 전자 유도에 의해 인접한 통신선에 유도 장해와 잡음을 일으킨다.
3) 기존 선로의 개량
지장물의 개량과 수선이 필요하다.
5. 결론
전기철도는 전기를 동력원으로하여 차량을 운전하므로, 대출력뿐 아니라 고속이란 특징이 있으며 대량수송과 동력비를 절감할 수 있고, 대도시 교통 문제 해결 및 공해문제가 심각한 현시점에서 볼때 환경 친화적인 설비이다. 초기투자비가 증가하고 전식과 유도장해를 일으키지만 예방이 가능하며, 수송원가 절감은 수입을 증대시켜 철도의 경영개선을 이룰 수 있으므로 향후 수송 수요 대부분은 전기철도에 의존하게 될 전망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철도를 전기방식에 의해 분류 (0) | 2017.04.11 |
---|---|
전기철도에 있어서 전압강하가 전기차 운전에 미치는 영향 (0) | 2017.04.11 |
디지털배전반과 고장점표정장치의 통합화 및 연계방안 (0) | 2017.04.07 |
고장점 표정장치 SYSTEM 비교 (0) | 2017.04.07 |
보조급전구분소용 단권변압기(AT) 비교 (0) | 2017.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