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로용량( Track Capacity )을 정의 하시오.

 

1. 개요

. 선로 용량은 어떤 선구에서 하루 동안 열차를 운행할 수 있는가? 즉 특정선구의 열차 설정 능력을 표시하는 수치를 말한다.

. 대도시의 전차선구등에서는 러시아워 시간대 열차 설정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피크타임 1시간당 몇 열차를 운행 시킬 수 있는가? 로 표시한다.

 

2. 선로용량의 이용율

. 선로 이용률이란 선로 용량과 한계용량의 관계식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선로이용률=실용용량(계획상 실제운전 가능한 최대총 열차수)/한계용량(계산상 124시간 운전할수 있는 최대열차 총회수)

. 역간 거리가 긴 경우

역은 평균 운전 시분이 커지면서 선로 용량은 적어진다.

. 자동신호, CTC 등 열차 취급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면 선로 용량은 커진다

 

3. 선로 용량의 종류

. 한계 용량

1) 한계 열차 회수

2) 선로 부수시간 및 열차 취급시간 열차 선정 불용시간 등에 대해서는 고려않음.

. 실용 용량

1) 열차의 유효시간 대 시설보수시간 열차 운전 취급시간, 운전 시간의 여유 등을 고려한 용량이며 모든 계획의 기본임.

2) 선로 이용율을 한계용량에 곱하여 구함.

3) 일반적 선로 용량

. 경제 용량

1) 운전이 원활히 이뤄지고 최조 수송원가로써 운행되는 선구의 열차 회수를 경제 용량이라 한다.

2) 수송력 증강대책의 선택이나 그 착공시기의 자료가 됨.

 

4. 선로용량의 계산

. 수송력의 열차 선정에서는 1일 주행 가능한 열차 회수를 말하나 대도시 전차선 구동에서는 통근시간대의 피크시의 1시간당 몇 열차 등으로 표시한다.

. 단선 구간의 선로 용량

1) 선로 용량 N=1,440/t+S×f()

2) 단선구간에서는 자동신호와 열차 취급시간을 줄여 N을 늘린다.

. 복선 구간의 선로 용량

1) 선로 용량 N= 2×1,440/t+S×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