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식 전기철도의 특성을 직류식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교류방식은 상별, 주파수별, 전압별 등으로 분류된다. 철도의 전철화과정은 직류방식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1889년에는 스위스에서 처음으로 3상 2선식 42Hz 750V의 교류방식의 전철이 건설되었다. 그후 최근에는 독일, 스웨덴, 노르웨이등 유럽 각국에서 16과 2/3Hz, 15,000V교류 전철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또한 일본, 영국 및 블란서등에서는 약 25년전부터 상용주파수(50Hz, 60Hz)의 25,000V 방식 전철이 개발 보급되었다. 우리 나라 철도에서도 역시 60Hz, 25,000V 교류 전철이 건설되어 운행되고 있으며, 이 방식은 전철 방식 중에서 기술면이나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한 방식이라 하겠다.
2. 교류 직류의 장단점 비교
<직류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 차량가격이 싸다 * 조작이 간단하다 * 직류직권 전동기의 특성이 전쳘용으로 가장 적합하다 * 철도연변의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애가 없다 | * 지상 변전설비비가 비싸다 * 정류설비 변전소가 증가 * 전압이 낮고 전류가 크므로 급전선, 전차선 등 전차선로 건설비가 비싸다 * 지중관로, 지중전선로에 대한 전식이 발생한다 |
<교류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 집전(集電)이 용이하다. * 차내에서 사용전압을 임으로 조정할 수 있다. * 점착(粘着:Adhesion)성능이 우수하다. * 사고시 급전차단(給電遮斷)이 확실하다. * 전철 건설비가 저렴하다. | * 전압이 높아 절연도를 높여야 하므로 절연설비비가 고가로 된다. * 차량이 복잡하다. * 인접 통신선로에 대한 유도장해가 심하다. * 전원의 불평형(不平衡)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로에서 곡선의 종류, 곡선반경이 작은 경우 문제점 (0) | 2017.04.11 |
---|---|
선로용량( Track Capacity ) (0) | 2017.04.11 |
전기철도를 전기방식에 의해 분류 (0) | 2017.04.11 |
전기철도에 있어서 전압강하가 전기차 운전에 미치는 영향 (0) | 2017.04.11 |
전기철도의 장, 단점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