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로 궤도의 슬랙(Slack)에 대하여


1. 서론
선로의 곡선부에서는 직선부보다 궤간을 확대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곡선부에서 궤간의 확대량을 슬랙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곡선의 내측 레일을 궤간 외측으로 확대 한다.


2. 슬랙의 계산

국유 철도 건설 규칙에서 슬랙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1) 이론 슬랙량



여기서, 고정축 거리 L=4.35[m]

 

2) 현장 슬랙량

선로 유지 보수상 현장 실정을 고려하여 슬랙량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S=2,400/R-S’[mm]

여기서, R : 곡선 반경

S : 조정치(0~15mm)

 

3. 슬랙량의 한도

슬랙량의 최대 한도는 국유 철도의 경우 30[mm]로 하며, 슬랙을 설치하여야 할 곡선 반경은 600[m]미만으로 한다. 서울시 도시 철도의 경우 25[mm]를 초과하지 못하며 곡선 반경 800[m]이하의 곡선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4. 결론

철도 차량은 2개 또는 3개의 차축을 대차에 강결시켜 고정된 프레임으로 차축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선 구간을 통과할 때 전후 차축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 할뿐만 아니라 차륜에 플랜지가 있어 곡선부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곡선부에서는 직선부 보다 궤간을 확대하여 열차 운행에 원활을 기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