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종 기계작업

 

 

(적용범위)

이 작업은 밸러스트클리너(Ballast Cleaner, 이하 크리너이라 함)에 의하여 도상자갈을 전체적으로 치고(전체치기), 친 개소에 새자갈을 보충하여 밸러스트레규레이터(Ballast Regulator, 이하 레귤레이터이라 함)로 정리하여 멀티풀로 다지고 도상면을 콤팩터 또는 스테비라이저로 달고다지기를 하는 일식의 작업 즉 2종기계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2종 기계작업단의 편성)

2종 기계작업단의 편성 장비, 소요인원 및 각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다.


장 비 명

인원

주 요 기 능

밸러스트클리너

6

자갈치기

견인용기관차 또는

모타카 및 자갈화차

1

(2)

도상자갈 운반 및 하화

밸러스트레귤레이터

2

도상자갈정리 및 침목레일면 청소

멀티풀타이탬퍼

2

양로, 다지기, 면맞춤, 줄맞춤

(다목적 다기능 장비)

밸러스트콤팩터 또는

밸러스트스태비라이저

2

도상면 달고다지기 및 침목레일면 청소


(주행안전확보)

작업전후에 걸쳐 편성된 장비단의 이동시에는 특히 아래 각호에 유의하여야 한다.

1) 이동전 장비점검 : 주행전에 반드시 제동장치점검(제동시험) 및 각종 쇄정장치를 점검한다.

2) 장비별로 전호원을 지정배치하고 운전 협의사항을 주지시킨다.

3) 역 유도원과 장비 전호원의 전호에 따라 순서대로 이동토록 한다.

4) 입환유도와 전호는 장비 전방 30m 내지 50m 거리에서 시행하되 확인이 용이하고 궤도밖의 안전한 위치에서 전호한다.

5) 아래의 장소를 통과할 때에는 주의운전, 환호응답(喚呼應答)을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서행토록 한다. 분기부, 건널목, 교량, 터널, 각종 신호기, 선로통행개소, 공사개소 전후, 열차교행시 등

6) 기상상태 불량시의 서행 : 기상상태, 기타 전도주시가 곤란할 때에는 10km/h 이하로 서행하면서 주의운전 한다.

7) 이동중 장비간의 거리는 200m 이상을 확보토록 한다.

8) 역구내 진출입할 때에는 반드시 역 직원의 유도를 받아야 한다.

9) 작업위치로부터 10m 전방에서 일단정지 후 다음 행동으로 옮긴다.

10) 정차중의 장비 상호간의 거리는 10m 이상 되도록 한다.


(준비작업)

2종 기계작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다음 각호의 준비작업을 한다.

1) 보선장비 책임자 (2종 기계작업단 책임자)와 작업할 선로의 관리책임자는 작업예정 구간을 미리 점검하고 작업 추진계획을 협의한다.

2) 불량침목, 불량체결구는 사전에 교환 또는 보수한다. 이때 스파이크 부상 또는 체결볼트이완 침목은 특히 되박기 또는 되조이기 등의 정비를 한다.

3) 도상보충 소요량을 확보한다.

4) 자갈치기로 발생하게 될 토사의 처리방법 및 처리 장소를 파악한다.

5) 지장물 파악 및 조치 : ATS자상자, 드라프, 복진방지말뚝, 횡단하수 등 크리너의 언더컷팅작업(Under- Cutting) 및 멀티풀의 다지기작업에 지장되는 시설물을 사전에 파악, 일시 철거하거나 또는 백색페인트로 표시를 해 둔다. 이때 통신케이블 등 매설물은 전기원과 합동으로 파악한다.

6) 작업구간의 도상자갈의 습윤(濕潤)상태를 조사한다.

7) 작업 시종점(始終点)의 선정과 언더컷터 체인(Under - Cutter Chain) 삽입 구멍파기 위치의 선정

8) 작업추진 계획을 작업원들에게 사전에 주지시킨다.

9) 전철구간에서는 작업착수 전에 전차선 단전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다.

10) 관할 시설관리반에서는 궤간 및 유간이 부적합한 개소는 미리 정정한다.


(크리너 작업)

1) 크리너 장비 상부에는 함부로 올라가서는 안된다.

2) 언더컷팅(자갈파내기)은 침목 하면(下面) 30까지 가능하도록 하되 도상두께가 부족한 개소는 컷터가 노반층을 파내지않도록 적당량의 궤도들기를 해준다.

3) 컷터체인에 의하여 파내지지 못한 양쪽 도상 어깨부의 잔여도상은 배수에 용이하도록 제거한다.

4) 컷터체인 작동에 의하여 떨어진 침목은 곧 바로 잡아야 한다.

5) 크리너작업 진행 중에 언제나 컷터체인의 회전작동상태, 장애물유무, 차륜상태 등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6) 3단체를 걸쳐 궤도상에 떨어지는 자갈상태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7) 토사 찌꺼기를 버릴 때 벨트콘베어가 전주 등 장애물에 접촉하지 않는지 사전 확인하여 수시 조정한다.

8) 선로 비탈면 등에 버린 토사 찌꺼기가 수해 등의 요인이 되지 않도록 사후 정리를 한다.

9) 작업원은 컷터체인에 의하여 도상자갈이 파일 때 튕기며 콘베어로 이동하는 자갈이 낙하하는 수가 있으므로 이때 안전에 항시 주의한다.


(도상자갈 하화작업)

자갈화차로부터 도상자갈을 하화할 때에는 전구간에 골고루 살포되도록 하고 쏟아진 자갈로 인하여 자갈화차와 견인기관차의 차륜이 빠지는 일이 없도록 특히 유의한다.


(레귤레이터 작업)

궤도상에 살포한 자갈을 레귤레이터로 정리할 때는 불안정한 궤도상을 주행하면서 작업하게 되므로 작업속도를 저속으로 낮추어 여러번에 걸쳐 정리한다. 이때 후속의 멀티풀 작업에 용이하도록 정리하고 침목면이 잘 안보일 때에는 인력작업으로 이를 돕도록 한다.

1) 옆삽날을 사용하여 도상정리 작업을 할 때에는 신호주, 통신주, 전철주와 그 지선 및 각종 케이블의 장애물에 저촉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작업한다.

2) 양쪽 삽날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나 되도록 한쪽 한쪽씩 따로 작업하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3) 노반토()를 긁어 올려지지 않도록 옆삽날이 노반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작업한다.

4) 운전자는 삽날 조작자의 전호에 따라 운전하되 작업전방의 장애물 유무에 대하여 항상 주의하면서 운전한다.

5) 앞날을 VV형 또는 W형으로 조정하여 궤간 밖의 자갈을 궤간내로 이동시키면서 남는 자갈을 부러쉬를 활용하여 부러쉬 박스에 모아 담은 후 다시 호퍼에 저장하여 부족개소에 운반 보충한다.


(멀티풀 작업)

멀티풀에 의한 궤도 들기 및 총다지기를 할 때에는 전항의 1종 기계작업 표준에 따른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회의 궤도 들기량은 50mm 이내로 하고 자갈치기 전의 궤도면 높이까지 반복작업(들고 다지기)을 한다. 이때 최종 다지기 마감 궤도면은 이후의 침하량을 감안하여 5mm 정도 높게 한다.

2) 이음매부는 다짐시간과 다짐회수를 증가하여 작업한다.

3) 자갈치기의 시종점(始終点)에 생기는 작업구배(作業句配)는 부등침하를 고려하여 다짐작업에 특히 유의한다. 이때 작업후 열차운행에 따른 궤도 변형을 대비하여 수시 인력작업으로 유지한다.


(콤팩터 또는 스태비라이저 작업)

자갈치기 구간의 콤팩터 작업은 다짐회수와 시간을 증가시켜 도상저항력 복원을 기하여야 한다. 이때 도상면이 불규칙하므로 다짐판 취급에 주의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자갈치기 구간의 조기 궤도안정과 궤도강도 향상을 위하여는 스태비라이저(궤도안정기)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상 주의사항)

1) 자갈치기 개소와 부족도상은 모든 작업 완료시 정규 도상단면이 확보되도록 한다.

2) 작업개소의 전후 적정위치에 작업표 및 서행표를 건식한다.

3) 인접선로의 열차운행 정보를 수시 확인하고 열차 진입시에는 경적음을 내어 작업원의 안전대피를 하도록 한다. 이때 열차 대피는 축제쪽으로 대피토록 한다. (반대쪽 선로로의 대피는 절대 피한다)

4) 작업중에는 반드시 안전모와 안전조끼를 착용토록 한다.

5) 인접선로의 건축한계를 침범해서 작업하거나 작업 공기구를 방치해서는 안된다.

6) 작업중 좌우로 건너갈 때는 장비후방으로 통행하되 타 장비의 진입여부를 확인하고 건너간다.

7) 작업중이거나 작업 대기중의 장비간 이격(離隔)거리는 항상 10m 이상을 유지한다.

8) 작업중에는 음주, 잡담, 잡념을 하여서는 안되며 특히 장비 운전실 내에서는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

9) 작업중 장비의 이동은 작업책임자의 유도에 따른다.

10) 장비이동시 안내원이 없는 건널목을 통과할 때에는 임시 안내원을 배치토록 한다.

11) 자갈치기 등의 작업시에는 신호보안설비의 안전을 위하여 전기원을 입회토록 한다.



'법 질의회시(유권해석) > 공사관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대레일 재설정작업  (0) 2017.04.26
분기기 교환작업(인력)  (0) 2017.04.26
1종 기계작업  (0) 2017.04.26
줄맞춤 정정작업(인력)  (0) 2017.04.26
도상다지기 작업(인력)  (0) 2017.04.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