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침목 탄성체결장치 설치작업

 


(적용범위)

보통침목(목침목)부설구간에 스파이크를 철거하고 목침목용 탄성체결구를 설치하는 작업은 이 표준에 따른다.


(일반사항)

1) 목침목 부설구간에 목침목용 탄성체결구의 설치는 연속적으로 몰아서(集設式) 설치하여야 하며 산설식(散設式)으로 설치하여서는 안된다.

2) 터널, 교량 기타 주요본선의 보통침목 부설구간에는 되도록 목침목용 탄성체결구로 대체하여 궤도강도를 높여야 한다.

3) 탄성체결구 설치작업은 원칙적으로 열차서행운전 조치 하에서 시행한다. 그러나 터널, 교량, 급속선 등에서 많은 량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되도록 선로일시사용중지 조치를 취하고 작업한다.


(준비작업)

1) 레일 유간정리 : 레일유간을 검측하여 부적정한 것은 미리 유간정정을 한다.

2) 불량침목 교환 : 침목이 부패된 것, 할열이 심한 것, 나사스파이크 지지력이 불량한 것으로 보이는 것 등은 미리 교환 조치한다.

3) 침목위치정정 : 침목위치불량, 직각틀림이 심한 것은 사전에 바로 잡는다.

4) 베이스플레이트 사전 장착시의 궤간 확보 : 터널, 교량침목을 교환할 때 탄성체결구를 병행 설치하는 경우에 탄성체결구의 베이스플레이트를 미리 역구내에서 신 침목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특히 기준틀을 만들어 궤간이 틀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본작업)

1) 탄성체결구 운반 배열 : 탄성체결구는 되도록 작업직전에 운반하고 각 설치위치에 배열한다. 현장에 사전운반을 할 경우에는 도난 등에 대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레일 들기 :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하기 위하여 레일들기를 할 때에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까지만 들도록 한다.

레일들기를 할 때의 레일체결장치 해체는 양쪽 침목 각 3개 이내로 한다. 특히 서행운전 하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곡선부에서는 1개 건너, 직선부에서는 2개 건너로 완전체결하여 열차를 보낸다.

3)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

부설되어 있는 침목의 면이 레일박힘 등으로 평탄치 않을 때에는 밀착이 잘되도록 면을 깍아 다듬은 뒤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한다. 이때 깍아 낸 자리에는 방부제를 칠한다.

베이스플레이트는 경사면이 궤간 쪽으로 향하도록 삽입한다.

4) 나사스파이크 박기 :

베이스플레이트에 나사스파이크를 박을 때, 같은 침목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좌우측 모두 삽입한 상태에서 박아야 한다.

나사스파이크는 궤간 외측에는 2, 그리고 궤간 내측에는 1개 박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나사스파이크를 박기 위하여 침목에 구멍뚫기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침목면에 잘 밀착된 상태에서 직경16mm 드릴로 수직 110mm까지 뚫는다.

나사스파이크 박기는 궤간 외측을 먼저 박고 내측에 박을 때에는 선로게이지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수직으로 박는다.

나사스파이크 두부하면이 베이스플레이트 상면과 전면 밀착되도록 박아야 한다. 이때 수동 또는 동력렌치를 사용한다.

나사스파이크는 햄머로 때려 박아서는 안된다.

5) 타이패드 삽입 : 타이패드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제 위치에 바르게 놓이도록 삽입한다.

6) 코일스프링크립 체결 : 코일스프링크립은 반드시 목침목용을 사용하여야 하며 팬풀러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체결한다.

 

 

콩자갈 채우기 작업

 


(적용범위)

면맞춤 작업을 비타다지기 대신 콩자갈을 침목 밑에 채워 넣는 방법으로 하는 작업은 이 표준에 의한다.


(콩자갈 채우기 작업의 기준)

자갈도상으로서 깬자갈, 친자갈, 또는 막자갈을 사용하는 선로에서 정정량이 15mm 이하 일 때.


(콩자갈의 크기)

이 작업에 사용하는 콩자갈은 입경이 5mm 내지 15mm되는 것으로서 석질이 경질이고 대소립이 적당히 혼합된 깬자갈이어야 한다.


(준비작업)

1) 정정범위의 결정 : 지휘자는 레일면의 면틀림 범위에 따라 정정 범위를 결정한다.

2) 기준측 선정 : 직선구간에서는 수평이 높은쪽 또는 높낮이가 없는 쪽

3) 체결구 바로잡기 : 부상스파이크 또는 이완 체결구를 손질하여 침목을 레일에 밀착시킨다.

4) 레일의 면 및 수평틀림 측정

면틀림 측정기 또는 레일 두부면에 실을 띄워 각 침목마다 기준측 레일면의 높낮음을 측정한다.

상대측 레일의 면맞춤은 수평기로, 기준측 레일면과의 수평틀림은 각 침목마다 측정한다.

침하량은 침하측정기 또는 적당한 방법으로 측정하되 되도록 열차통과시의 침하량을 측정토록 한다.

5) 콩자갈 채움량의 산출

기준측의 정정량은 면틀림량과 침하량을 가산한다.

상대측의 정정량은 기준면 틀림량에 수평틀림을 감안하고 다시 침하량을 가산한다.

채움량은 침하 1mm에 대하여 200를 표준으로 하되 선로상태 및 운전상황에 따라 가감한다.

6) 도상 긁어내기는 궤도중심에서 좌우로 1칸씩 띄어 침목 밑까지 긁어낸다.


(본작업)

1) 재크를 사용하여 좌우레일을 동시에 정정량 보다 30mm 내지 35mm 정도 높게 천천히 들고 콩자갈 채우기에 지장되는 침목밑의 자갈을 긁어낸다.

2) 작업은 계량반과 채움반으로 나누어 계량반은 콩자갈 소요량을 계량하여 채움반의 채움삽에 넣어주고 채움반은 콩자갈을 침목 끝에 부어 넣고 고름 갈구리로 고른다.

3) 콩자갈 채우기 작업이 끝나면 궤광 내리기에 지장되는 것이 없는지를 확인하고 좌우 레일을 동시에 천천히 내린 다음 레일 두부면을 나무메로 두둘겨 궤도상태가 안정되도록 한다.


(정리작업)

작업이 끝난 뒤, 최초 열차를 통과시키고 정정상태를 확인하고 되메우기를 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에는 열차통과 전에 되메우기를 할 수도 있다.


(주의사항)

1) 고속열차가 운행되는 선구에서는 되도록 고속열차가 통과한 뒤에 작업을 하도록 한다.

2) 혹서기, 기온이 급상승하는 일기에서는 레일장출에 유의하여 자갈 긁어내기의 연장 등을 조절한다.

3) 작업구간에는 열차통과시 궤도틀림이 오기 쉬우므로 궤도검측을 실시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