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사 안전점검표
점 검 항 목 | 점 검 기 준 | 점검결과 | 비고 | |
적정 | 부적정 | |||
1. 가설공사 |
1) 가설공사 계획도 작성 2) 주요 가설물 구조 계산서 작성 3) 가설재료검사(적정성 확인) 4) 기준점(BENCH MARK) 유지관리 5) 작업용 비계 및 낙화물 방지망 설치 상태
|
|
|
|
2. 기초(터파기)공사 |
1) 추정지내력과 현지반과의 차이 확인 2) 시공 계획도 작성 3) 흙막이 공법 및 기초파기 공법 검토 4) 굴착연 경사는 우기에도 붕괴의 위험이 없도록 조치 5) 공사현장 및 주변지역으로부터 침투하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차단상태 6) 배수시설 및 침수대비 대책
|
|
|
|
3.철근콘크리트 공사 |
1) 철근공사 ․철근 가공도(Shop Dwg) 작성 ․철근배근 간격은 정확하며(도면참조) 수직․수평상태 ․철근의 결속상태(매 결점마다 결속) ․철근의 이음 및 정착 길이 확보 ․보강근은 도면대로 보강되었는가?
2) 거푸집 공사 ․거푸집 시공도(시공계획서) 작성 상태 ․바닥, 벽의 거푸집 청소 상태 ․거푸집 설치전의 박리제 도포 여부 ․층고가 높을 때 Support 보강 상태 ․Support를 지상 세울 때 침하에 대한 고려 여부 ․개구부의 보강 상태 |
|
|
|
4.철근콘크리트 공사 |
1) 콘크리트 공사 ․콘크리트 타설 계획도 작성(장비, 인원, 타설 방법 및 시간 등) ․타설시 기온의 변화 및 외기조건 (서중, 한중)에 따른 대책 ․레미콘의 운반시간 적정 (25℃미만은 90분이내, 25℃이상은 60분이내) ․현장 콘크리트 시험 (슬럼프, 공기량, 압축강도) 준비상태 및 실시여부 ․타설시 배부름 현상 및 Cold Join 현상에 대한 대책 ․다짐기(바이브레타) 및작업원준비상태
|
|
|
|
5. 철골공사 |
1) 주요자재(철판,용접봉,볼트 등) 공급원 승인 이행 여부 2) 제작 Shop Dwg 작성여부 3) 용접 검사(RT,UT 및 MT 등) 계획서 작성 및 이행 여부 4) 철골 도막 두께 적정 여부 5) 현장 철골 적재장소 및 보관상태
|
|
|
|
6. 조적공사 |
1) 벽돌(또는 블록)은 KS 표준규격 (형태, 강도, 함수율) 제품 사용여부 2) 자재의 현장 보관상태(오염, 파손여부 등) 3) 시공시 줄눈 크기 적정성(보통벽돌 10m/m, 내화벽돌 6m/m) 4) 몰탈배합검사 및 몰탈채움 상태 5) 콘트롤 죠인트 설치여부(4m이내)
|
|
|
|
7. 돌공사 | 1) 재료인수검사상태 ․시험성적서(공인기관) ․선정시 견본(sample) 보관 여부 ․현지 원석 검사 여부 2) 재료의 보관상태, 보관방법 상태 3) 시공계획서 및 시공도면(shop dwg) 작성 여부 4) 외부의 습식고정시 백화 발생의 대책 수립 5) 사용 재료(시멘트, 모래, 혼화재 등) 검사 여부 6) 시공 후 보양 방법과 기간, 안전에 대한 대책 수립여부 |
|
|
|
8. 타일공사 | 1) 시공계획서 및 시공도면(shop dwg) 작성여부 2) 붙임면의 평탄성 확인여부 3) 몰탈의 배합비 적정 및 접착성과 작업성의 확인여부 4) 시공시의 줄눈 정밀도 확인 5) 시공경의 들뜸 및 오염 여부(보양상태) 6) 바닥타일의 물빠짐 구배 적정성 여부 |
|
|
|
9. 방수공사 | 1) 시공계획서 및 시공도면(shop dwg) 작성여부 2) 바탕면의 물구배(고임, 역구배) 상태 3) 방수재료의 보관상태(장소, 방법 등) 4) 신축줄눈 설치 상태 |
|
|
|
10. 커튼윌공사 | 1) 시공계획서 작성 여부 2) 시공 도면(shop dwg) 및 구조계산서 확인 3) 실물모형 시험(Mock-up) 결과 4) 풍동시험 결과 (방수벽, 승강장 지붕, 4점지지 유리벽) 5) 공장 제품 검사 |
|
|
|
11. 미장공사 | 1) 재료 적정성 확인(몰탈 배합검사) ․시멘트, 모래 및 접착재 등 2) 바탕면 검사 결과(평활도) 3) 메탈라스의 설치 상태 4) 동절기 및 하절기의 시공 관리 대책 5) 개구부 주위 및 코너의 보강 상태 6) 시공후의 청소, 뒷정리 및 보양상태 |
|
|
|
12. 도장(칠)공사 | 1) 시공계획서(재료의 적정성 확인) 2) 견본 시공의 결과 3) 바탕처리 상태(오염, 부착물 등) 4) 도장 회수별 검사 5) 시공후 보양에 대한 대책 6) 건조후 도막 두께 검사 결과 |
|
|
|
13. 기타공사 |
1) 잡철물 공사 ㆍ 제작 상태(크기, 규격 등) ㆍ 도장상태(재료 적적성 및 도막두께) 2) 도배 공사 ㆍ 바탕면 건조 상태 ㆍ 초배지 시공후 건조 및 정리상태 3) 유리공사 공사 ㆍ 설치 상태(두께, 규격 등) ㆍ 실링상태(재료 적적성 및 마감처리상 태)
|
|
|
|
건축설비공사 안전점검표
점 검 항 목 | 점 검 기 준 | 점검결과 | 비고 | |
적정 | 부적정 | |||
1. 공조기계실 | 1) 바닥구배와 바닥배수는 되어 있는지의 여부 2) 출입문은 각종 장비반입 및 반출에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 |
|
|
|
2.공조배관설치 | 1) 배관자체의 규격과 재질은 시방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2) 보은재의 재질과 규격은 시방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3) 배관의 수압시험은 했는지의 여부 |
|
|
|
3. 보일러 설치 | 1) 보일러 용량은 시방서(장비사양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
|
|
|
4. DUCT 제작설치 | 1) DUCT 자재의 재질 및 규격은 시방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2) DUCT 설치후 AIR BALANCING을 실시했는지의 여부 |
|
|
|
5. 공조기 설치 | 1) 공조기의 용량은 시방서(장비사양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2) 설치후 성능검사를 실시했는지의 여부 |
|
|
|
6. 냉동기 설치 | 1) 냉동기의 용량은 시방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
|
|
|
7. PUMP 설치 | 1) 기초의 수평은 정확한지의 여부 |
|
|
|
8. 배관공사 | 1) 재료는 도면 및 시방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
|
|
|
9. 화장실, 탕비실, 주방 | 1) 바닥구배와 TRAP의 관계는 양호한지의 여부 |
|
|
|
10. 위생기구 취부 | 1) 규격은 시방서(장비사양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
|
|
|
11. 보은공사 | 1) 재료와 공법은 시방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2) 수압, 만수시험이 완료된 후 시공하였는지의 여부 |
|
|
|
12. 주방기구 | 1) 재질, SIZE는 도면대로인지의 여부 |
|
|
|
13. 고가수조 | 1) 점검구를 여는데 장애물은 없는지의 여부 |
|
|
|
14.SPRINKLER SYSTEM | 1) 자재 및 기기류는 시방서와 일치하며 검정품인지의 여부 |
|
|
|
15. 옥내소화시설 | 1) 자재는 시방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2) HOSE 노즐은 방수압 시험을 했는지의 여부 |
|
|
|
16. 소화전 | 1) 소화전 BOX의 취부는 수직과 수평을 이루는지의 여부 |
|
|
|
17. 승강기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설치공사 | 1) 각 승강기 용량은 시방서(장비사양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
|
|
|
18. 정화조 설치공사 | 1) 정화조 용량은 시방서(장비 사양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
|
|
|
'안전관리 > 안전수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 안전 점검표 (0) | 2017.05.01 |
---|---|
궤도공사 안전 점검표 (0) | 2017.05.01 |
토목공사 안전점검표 (0) | 2017.05.01 |
토목,건축 공통 안전점검표 (0) | 2017.05.01 |
화약류 품질 안전점검표 (0) | 2017.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