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조 호 흡


가. 구조호흡의 정의

구조호흡이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호흡이 정  지되어 가사 상태에 있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환자의 흉곽을 강제적으로 압축과 확장을 거듭하여 호흡이 되게 하거나 또는 구조적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으로 호흡기능을 회복시켜 소생하게 하는 방법이다.

생명은 혈액 속의 산소와 신체세포 속의 영양분과의 결합으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존한다. 모든 세포는 산소가 부족하면 몇분 이내에 생명을 잃게 된다.


나. 구조호흡이 필요한 경우

호흡이 끊어진 환자는 누구나 구조호흡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경우에 한하여서만 구조호흡으로서 생명을 구할 수가 있다.
 (1) 물에 빠져서 호흡이 중단됐을 때
 (2) 감전으로 말미암아 호흡이 중단됐을 때
 (3) 가스중독에 의한 호흡이 중단됐을 때
 (4) 알콜(술), 수면제 등 마약에 의하여 호흡 신경이 마비되어 호흡이 중단됐을 때
 (5) 폐가 눌려서 숨을 쉬지 못하여 호흡이 중단됐을 때
 (6) 목을 조르든가 또는 그 밖의 이유로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기도가 막혀서 호흡이 중단됐을 때
 (7) 공기의 유통이 나쁜 곳 즉 굴속이나, 마른 우물 속 또는 높은 산에 올라갔을 때와 같이 공기 중에 산소 함유량이 희박하여  호흡이 곤란해 졌을 때
 (8) 머리부상으로 호흡 중추신경에 타격을 받아 호흡이 중단됐을 때
   ※ 이상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조호흡이 그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다. 호흡정지의 진단과 확인

 (1) 환자의 코나 입에 응급처치자의 귀나 빰을 가까이 대어 숨소리나 공기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2) 환자의 상의를 벗겨 가슴과 배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3) 피부의 점막 부위 특히 입술이 파래져 있으면 이미 혈액내의 산소 부족현상이 상당히 심한 상태이다.
 (4) 기도가 완전히 막혔음에도 불구하고 가슴이나 배의 움직임이 숨쉬는 것 같이 보일 수도 있으므로 환자의 코나 입에서 나오는 숨을 확인함이 중요하다.
 (5)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코고는 소리, 침을 자주 삼키는 것 같은 증상은 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혔음을 의미하므로 이때에 급히 기도를 유지하고 구조호흡을 실시해야 한다.


라. 구조호흡 의 일반적 원칙

 (1) 초를 다투어 즉각 실시할 것.
 (2) 환자의 입안에 있는 침이나 이물(혈액, 음식물, 점액)을 제거 할 것.
 (3) 기도폐쇄를 방지할 것.
 (4) 환자가 스스로의 호흡할 수 있을 때까지 중단하지 말고 계속 실시할 것.



 (5) 환자 스스로 힘으로 호흡을 시작하면 즉각적으로 다른 도움을 줄 것. (보온, 지혈, 부목사용, 상처보호 등)
 (6) 생존 징후가 없어진 후라도 계속 구조호흡을 실시할 것.


마. 구조호흡의 종류

 (1) 입으로 불어넣기
 (2) 입에서 코로 불어넣기
 (3) 등 누르고 팔 들기
 (4) 가슴 누르고 팔 들기


바. 실시방법

 (1) 입으로 불어넣기

   (가) 장    점
     ◦ 1회 많은 량의 공기를 불어 넣어줄 수 있다.
     ◦ 기도 확보가 용이하다.
     ◦ 여러 가지 상황에서 구조호흡을 할 수 있다.
     ◦ 전주 위에 매달린 감전 환자도 그대로 실시할 수 있다.
   (나) 실시방법
     ◦ 체세포에 산소가 부족하여 이산화탄소가 차 있으므로 최초 2회는 빠르고 강하게 불어 넣어준다.
     ◦ 그 다음은 5초에 1회(성인 1분간 12회)의 속도로 반복한다.
   (다) 실시순서
     ◦ 환자를 바로 눕힌 다음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치켜 올려서 기도를 열어준다.
     ◦손가락에 헝겊을 감아 이물을 끄집어낸 다음 혓바닥을 눌러서 앞으로 당긴다.
     ◦ 손가락으로 환자의 코를 쥔다.
     ◦ 숨을 크게 들이마신 후 자기 입으로 환자의 입을 완전히 덮고 가슴이 부풀어오를 때까지 공기를 불어넣

       는다.
     ◦ 입을 떼면 들어갔던 공기가 저절로 나온다.
     ◦ 구조자의 귀를 환자의 입에 가까이 대고 숨쉬는 소리를 듣고 가슴부위가 상하로 움직이나 본다.
     ◦ 입김이 잘 들어가지 않는다던가 가슴이 움직이지 않으면 기도에 이물질이 있는 것이니 이물질을 끄집어

        낸 후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한 다음에 다시 구조호흡을 계속한다.

 (2) 입에서 코로 불어넣기
     아래턱 부분에 골절이 있을 때나 입 주위에 상처가 있을 때, 환자의 구강이 오염되어 있을 때, 경련으로 입

     이 벌어지지 않을 때에 콧구멍에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


(가) 실시방법

◦ 가능한 한 환자의 입안을 깨끗이 한 후 환자를 똑바로 눕히고 턱을 앞으로 내민 자세로 머리를 뒤로 젖힌다.
◦ 귀뿌리 바로 밑 아래턱 모서리를 한 손으로 잡고 기도를 유지하고 밖으로 혀를 내밀게 하기 위해서 턱을 힘껏 치켜올린다.

◦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한 손으로 환자의 입을 막고 숨을 깊이 들어 쉬어 환자의 코에다가 흉부가 불어날 때까지 불어넣는다.

◦ 환자의 흉부가 불어나면 불던 것을 중지하고 응급처치자의 손을 입에서 떼고 내쉬는 소리를 들으면서 다음 단계를 준비한다.

◦ 이후의 방법은 입으로 불어넣기 방법과 동일하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 절  (0) 2017.05.01
창 상  (0) 2017.05.01
응급처치 개요  (0) 2017.05.01
재해 유형별 안전 체크포인트(Check-point)  (0) 2017.05.01
유치 및 구름방지  (0) 2017.04.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