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사의 주요원인과 부상사고 형태.
1. 개요
1> 감전이란,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하며, 이로 인해 인체가 받는 충격을 전격이라 한다.
2> 전격에 의한 재해로는 감전사, 감전 지연사, 감전에 의한 국소 증상, shock에 의한 추락사 등이 있다.
2. 감전사의 주요원인.
1> 심실세동.
① 인체에 통전되는 전류가 더욱 증가하여 전류의 일부가 심장부분을 흐르게 된다.
② 이렇게 되면 심장이 정상적인 맥동을 하지 못하여 불규칙한 세동을 하게 되어 결국 혈액순환 장애를 가져오게 되며 이에 따라 산소 공급 중지로 인해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키게 되며 호흡을 멈추게 되어 사망하게 된다.
2> 뇌의 호흡중추 신경에 전류가 흘러 호흡기능 정지.
3> 흉부에 전류가 흘러 흉부 수축에 의한 질식사.
4> 인체의 훼손.
① 머리에 감전되어 뇌에 큰 전류가 흘러 뇌를 치명적으로 파손.
② 목 부분이 감전되어 목의 양쪽에 있는 동맥을 절단하여 출혈사.
3. 감전에 의한 부상사고 형태.(감전에 의한 국소 증상)
1> 피부의 광성 변화.
감전사고 시 전선로의 선간 단락 또는 지락 사고로 전선이나 단자 등의 금속분자가 가열 용융되어 피부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현상.
2> 표피 박탈.
전선로나 기계기구의 선간단락, 고전압에 의한 Arc등으로 폭발적인 고열이 발생하여 그 때문에 인체의 표피가 벗겨지는 현상.
3> 전문(電紋.)
전기 화상으로 피부에 붉은 선이나 상처가 나타나는 현상.
4> 전류 반점.
감전전류 유출입 부분의 감전화상의 흔적으로 회백색 또는 검은색의 반점을 나타내고 움푹 들어간 모양을 형성하는 현상.
5> 감전성 궤양.
감전전류의 유출입 부분에 아크압력에 의한 기계력 작용 또는 열적, 전기적 반응에 의하여 궤양이 생긴다.
4. 감전 후유증.
1> 심근경색.
2> 뇌의 파손 또는 경색 때문에 운동 및 언어장애.
3> Arc불꽃에 의한 시력장애.
5. 전격으로 인한 2차적인 장애를 받는 경우.
전격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불안정 상태를 초래하여 추락이나 오동작 등으로 인하여 2차 재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상예보 용어 (0) | 2017.05.05 |
---|---|
우기대비 안전점검 계획 (0) | 2017.05.05 |
감전 지연사 (0) | 2017.05.05 |
사업장 무재해운동 적용업종 (0) | 2017.05.05 |
변압기 및 전동기의 효율적 운용방안 (0) | 2017.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