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방식

 

(전기방식) 가공전차선의 전기방식은 단상교류 25,000[V] 단권변압기방식(이하 “AT방식이라 한다.) 또는 흡상변압기방식(이하 “BT방식이라 한다.)으로 한다

 

(가선방식) 가공전차선의 가선방식은 가공단선식(Heavy Simple Catenary Simple Catenary)을 표준으로 한다. 다만, 열차의 속도 및 부하전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가선방식을 채택하여야 한다.

도시철도의 지하철도는 강체가선방식으로 한다. 다만, 토목구조물에 따라 가공단선식으로 할 수도 있다.

 

(전압) 송전선로의 전압은 송전전력송전거리 및 이와 연계된 전력계통과의 관련을 고려하여 다음 표에 의해 결정한다.


접지방식

공칭전압[]

비유효접지계

66

유효접지계

154, 345



송전선로는 동일한 전압으로 직접 연계하는 회로 등의 중성점을 변전소에서는 저항 또는 리액터를 통하여 접지하거나 직접 접지하여야 한다.

전차선로의 전압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흡상변압기방식

. 표준전압 : 25,000[V]

. 최고전압 : 27,500[V]

. 최저전압 : 19,000[V]

2. 단권변압기방식

구분

급전선과 전차선간 전압(V)

급전선과 레일간 및 전차선과 레일간(V)

고속철도

일반철도

최고

55,000

27,500

표준

50,000

25,000

최저

38,000

19,000



배전선로의 배전방식과 공칭전압 및 회로 최고전압은 다음 표에 의한다.

구분

표준 공칭

전압[V]

배전방식별 전압[V]

회로 최고 전압[V]

단상 2선식

33선식

34선식

저압

220

380

440

220

 

 

220

 

440

220/380/440

 

고압

3,300

6,600

6,600

6,600

 

7,200

특별고압

22,900

13,200

22,000

22,900

25,800



고압 및 특별고압선로의 전압강하율은 공칭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10[%] 이내이어야 한다.

저압배선의 전압강하는 최대 사용전류에 있어서 다음 표에 의한다.

종별

표준전압에 대한 전압강하(%)

간선(인입선접속점으로부터 인입구까지의 부분 포함)

분기회로

2 이하

전기사용장소 내에 설치하는 변압기로부터 최원단부하까지(변압기의 2차측단자로부터 주배전반까지의 부분 포함)

5 이하



인입선접속점 또는 전기사용장소 내에 시설하는 변압기로부터 최원단부하에 이르는 전선의 긍장이 60[m]를 초과하는 경우의 전압강하는 제6항의 규정에 관계없이 최대 사용전류에 의하여 계산하고 다음 표에 의할 수 있다.

인입선접속점 또는 전기사용장소 내에 시설하는 변압기로부터 최원단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전선 긍장[m]

표준전압에 대한 전압강하[%]

전기사용장소 내에 시설하는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경우

저압으로 공급하는 경우

120 이하

200 이하

200 초과

5 이하

6 이하

7 이하

4 이하

5 이하

6 이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