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전선로

 

(가선의 일반사항)

가선은 원칙적으로 전주의 건식과 장주 및 지선 공사가 완료된 후에 시행한다.

가선시에는 장주, 전선의 종류와 규격길이중량 및 주위의 교통 사정 등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한 후 필요한 공구와 인력 및 기타 필요한 장비를 갖춘다.

가선시 다른 법령에 관계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절차를 취한다.

 

(가공전선의 분기)

가공전선의 분기는 가공케이블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또는 분기점에서 전선에 장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도록 시설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전선의 지지점에서 한다.

 

(전선의 이도)

가공전선의 이도는 전선의 종별지역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인장력에 대한 안전율을 2.5(경동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2.2) 이상으로 한다.

 

(전선의 가설)

전선을 애자에 바인딩 할 때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1. 직선로의 고압과 특별고압 전선은 애자의 두부에 바인딩 하고, 저압전선은 애자의 전주측에 바인딩 한다.

2. 각도주의 애자에서는 장력의 반대측 애자측부에 바인딩 한다.

 

 

가공지선

 

(가공지선의 시설)

고압과 특별고압의 배전선로에는 가공지선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전철주에 첨가시는 비보호절연선을 가공지선으로 대용할 수 있다. 이때는 비보호절연선을 최상위에 시설하고 배전용 전선은 차폐범위 안(45°)에 들 수 있도록 비보호절연선 하부에 설치한다.

 

(가공지선의 선종)

가공지선은 아연도 강연선 22[] 이상을 사용한다. 다만, 염해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나경동연선 22[]를 사용할 수 있다.

 

(가공지선의 가설)

가공지선의 가설은 다음 각 호에 의한다.

1. 가공지선을 가설하는 지지물을 신설하는 경우에는 그 길이 및 기초의 강도를 미리 고려한다.

2. 가공지선과 가공전선과의 지지점에 있어서 수직이격거리는 1[m] 이상으로 한다.

3. 가공지선이 가공전선과 이루는 차폐각도는 45°를 표준으로 한다.

4. 가공지선의 이도는 최저온도에서 가공전선 이도의 80[%]를 표준으로 한다.

5. 접지선과 가공지선과의 접속은 압축 분기 스리브를 사용하며 이종금속 접속에 따른 부식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설비한다.

6. 가공지선은 가공지선 지지대로 지지하며 공사상 부득이할 경우에는 완철을 계주하여 지지할 수 있다.

 

(가공지선의 접지)

가공지선의 접지 간격은 200[m]를 표준으로 하며 접지저항은 50[] 이하로 한다. 다만, 공사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접지 간격을 150[m] 이하로 하여 그 접지저항을 75[] 이하로 할 수 있다.

가공지선 및 가공전선의 시종단부 또는 가공전선의 굴곡점 및 분기점에는 가공지선에 접지를 하며 그 접지저항은 50[] 이하로 한다. 다만, 접지점이 상호 근접하는 경우에는 접지 수량을 줄일 수 있다.

가공지선의 접지는 고압배전선로 피뢰기의 접지 또는 전차선로 매설접지와 공용할 수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선당김장치  (0) 2017.05.25
가공전차선의 분리  (0) 2017.05.25
급전선로  (0) 2017.05.25
보안기 및 피뢰기  (0) 2017.05.25
섬락보호설비  (0) 2017.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