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전소등의 접지

(1) 변전소등의 접지(건물기기부대설비 포함)는 지락사고와 역섬락으로 사람이나 기기에 위험을 주지 않도록 견고히 시설한다.

(2) 접지시설은 다음 각 호의 기준을 만족하도록 하여야 한다.

사람이 접촉되었을 때 인체 통과 전류가 15[mA] 이하일 것

일반인이 접근하기 쉬운 지역에 있는 경우 연속 정격 전위가 60[V] 이하일 것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있는 경우 연속 정격 전위가 150[V] 이하일 것

순간 정격(200/1,000초 이내) 전위가 650[V] 이하일 것

      

 

접지설비의 시공

1.  접지전선 등의 매설위치

접지전선 및 전극 매설 후에는 그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접지선 인입표시를 설치함과 동시에 표적이 되는 건물 기둥 등의 고정물 2개소에서의 거리를 접지선 계통도에 명시한다.

 

2.  접지첨가제에 의한 접지설비 보강

앞에서 설명한 순서와 내용에 의거 접지설계를 하여 원하는 접지저항 값을 얻었을 경우라 하더라도 지하에 매설된 접지선은 경년열화에 의해 도체의 부식이 발생하게 되므로 접지도체의 수명연장과 안정된 접지값 유지 및 유지보수 관리면에서 유리하도록 접지도체에 접지첨가제를 도포하고, 대지고유저항이 높아 원하는 접지저항 값을 얻을 수없는 개소에는 접지도체와 더불어 접지첨가제 혹은 접지판을 병행 시공하여 원하는 접지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메쉬접지와 철근의 연결

기기접지 및 계통접지선은 직접 메시 접지망에 연결하고 건물의 철근 및 보수용 도로 철근은 별도의 접지선으로 메시 접지망과 연결하여 건물과 보수용 도로가 등전위가 되도록 한다.

 

4.  울타리 및 출입문의 접지

변전소, 급전구분소 및 보조급전구분소의 울타리 및 출입문의 접지는 메쉬 접지망을 울타리에서 0.5m1m 정도 울타리 밖으로 확장하고 약 1518m 간격으로 울타리 접지선과 메쉬 접지망을 연결 시공하여 지락전류에 의해 대지전위 상승시 보수자 또는 통행자가 울타리에 접촉할 경우 접촉전압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메쉬의 최고전위 상승치가 접촉전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1) 접지주변, 울타리 주변에는 자갈, 아스팔트 포장을 한다.

(2) 울타리와 접지선을 25m 이격시키고 매설깊이를 깊게하는 등 접촉전압의 위험을 방지한다.

(3) 울타리에 이르는 구역의 전위경도를 저감한다.

건물의 위치 등에 의하여 접지와 울타리를 분리할 수 없지만 울타리 밖에 보조 접지선을 구성할 여유가 있는 경우는 울타리에 병행하여 매설 접지선을 시설한다.

(4) 울타리에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방책을 구한다.

울타리의 양측에 사람이 접촉하지 않도록 도랑, 옹벽, 위험 표시찰 등을 시설한다.

(5) 제어반 및 전원장치의 외함접지

제어반 및 전원장치의 외함접지는 개폐서지를 고려하여 단독으로 시행한다.

      

 

접지계의 위험전압

(1) 보폭전압(Step Voltage)은 발과 발사이(통상 1m를 기준으로 함)의 대지 표면의 전위차이다.

(2) 접촉전압(Touch Voltage)은 사람이 서 있는 발의 접지전위와 손을 뻗쳐 닿을 수 있는 거리(통상 1m로 간주함)에 있는 접지된 기기의 전위차를 말한다.

(3) 메시전압(Mesh Voltage)은 접지망내의 가장 낮은 지표면전위의 접지도체의 전위상승값과의 전위차를 말하며, 메시전압은 최대 접촉전압을 말한다.

(4) 전이전압(Transferred Voltage)은 구내접지망과 구외의 통신선, 저압중성선, 수도관, 파이프, 레일, 철제 울타리 등과의 전위차로 발생하는 전압이다. 전이전압은 변전소내의 전위상승과 같거나 보다 큰 전위를 갖기도 하며 실제로 구외의 설비에 유도된 전압이 전이전압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이전압은 해당변전소와 전원단 변전소의 전위상승의 합보다 큰 경우가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계의 위험 전압  (0) 2017.07.05
유도전동기의 슬립 주파수제어  (0) 2017.07.03
저항률  (0) 2017.06.22
전력기기 점검표  (0) 2017.05.01
계통의 접지 방식 비교  (0) 2017.04.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