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전도 흡인식 자기부상 열차에 대하여

 

1. 자석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차체 본체에 걸리는 중력과 평형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부상고를 얻도록 한 것.

 

2. 상전도 흡인식 시스템의 특징

흡인식의 구성

자석은 차상에 탑재되고 지상에는 철제판을 설치하여 10(mm)의 부상고를 얻는다.

상전도 흡인식의 특성

- 정차중에도 부상이 가능

- 상전도 이용으로 냉각장치 불필요, 기존 철도와 조합 구성이 용이

- 주행저항의 일부로 되는 자기저항이 작다.

- 부상고가 10(mm)정도로 작아서 궤도를 고정밀도로 유지 시켜야 함

- 부상고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시 제어가 필요

- 소음 진동이 적기 때문에 쾌적성 및 환경 적합성이 우수

- 가감속도를 크게할수 있어 표정속도를 높일수 있다.

- 급구배의 주행이 가능하며 빙설로 슬립하지않고 선형 대응이 용이하고 내후성이 좋다.

- 차량이 PNV도를 껴안고 있어서 탈선, 전복 등의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높다.

- 마모의 부분이 거의 없고 분진이 줄어서 환경상 바람직 하다.

- 궤도 항목에 대한 면하중 및 비접촉의 차량 지지방식은 차량 및 궤도에 보수의 부담이 적다.

- 슬림한 궤도 항목이나 비접촉의 지지방식에 의하여 건설비나 운영비의 저렴화가 기대된다.

 

3. 상전도 흡인식의 원리

1) 부상의 원리

궤도의 하부에 흡착용 레일(철판)을 설치하고 그아래에 전자석(상전도 자석)을 설치 하면 전자석의 흡인력 때문에 부상한다(10(mm)이내

전자석의 흡인력 제어는 피드백제어(gap senser), 가속계 등을 사용하고 부상력은 속도와 무관

2) 추진원리

차량측의 자극을 변호하여 진행하고 차량측은 이동자계 발생장치가 있고 1차전원을 차량에 보내기 위한 송전설비가 필요함

궤도는 집전장치를 차량에 보낼수 있도록함

차량이 주행중에 있는 구간만 3상가변 주파 전원을 공극

3) 안내의 원리

안내용 자석으로 부상과 안내 동시 방식을 채용하고, 진동발생은 Pitch, Roll, Low로 별도 제어 장치가 필요

4) 급전방식

추진방식이 LIM일 경우 차상1차이므로 차상측에 충전필요

추진발생은 LSM을 채용할 경우 지상1차이므로 지상코일에만 급전하면 된다.

 

4. 초전도 반발식과 상전도 흡인식의 비교

구분

EDS

EMS

부상력

고속에서 발생

속도에 무관

부상높이

5~30(cm)

1-3(cm)

추진력

저속에서

작다

에너지 소비

unknown(5cm 사용시 )

2~4(km/ton)

안정과 제어

불필요

필요

추진모터

LSM

LSM. LIM

비고

고속에서 특성 양호

광범위한 속도에서 특성양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