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극용 변압기의 절연가스 보수결과 상태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변압기 내부의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
절연체의 열화 정도를 진단, 변압기의 잔존 수명을 예측하여 적절한 교체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 CO2 와 CO가스.
적기에 예방보수를 실시 하므로써 설비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에 기여
2. 절연유 등 보조가스 관리기준
1) 요주의
절연유 중 용존가스 분석결과 내부에 약간의 이상 징후가 있는 것으로 추징. 지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이나 돌발적인 사고로 이어 질 수 있는 상태는 아님
2) 이상
변화 추세를 면밀히(1회/1월) 관찰하고 내부 점검 계획 수립 등을 필요로 하는 상태
3) 위험
용존가스 분석결과 변압기 내부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계속 운전 시 심각한 사고를 유발 시킬 수 있는 경우로서 전기적 시험, 외부 일반점검 및 운전보수 이설 등을 실시하여야 하는 상태를 말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권변압기가 2권선 변압기에 비해 유리 한점 (0) | 2017.07.07 |
---|---|
공통접지와 통합접지의 정의와 측정방법 (0) | 2017.07.07 |
열차 견인력의 종류와 유효 작용 견인력 (0) | 2017.07.06 |
변전소 (0) | 2017.07.06 |
교류 AT 급전계통에 사용되는 단권변압기의 용량표시 방법 (0) |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