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접지와 통합접지의 정의와 측정방법
1. 공통과 통합접지 정의
1) 공통접지
등전위가 형성되도록 고압 및 특고압 접지계통과 저압접지 계통을 공통으로 접지 하는 방식
2) 통합접지
전기, 통신, 피뢰 설비 등 모든 접지를 통합하여 접지하는 방식
2. 공통과 통합접지 저항 값
1) 고장전압이 저압기기서 인가되어도 인체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체허용전류 전압값 이하가 되도록 한 접지저항 값인 경우 (50V 미만으로 하면 사고와 무관) [판단기준 제18조(스트레스전압) : 고장지속 시간이 1초 이하인 경우 60V이하. 5초 초과인 경우 50V이하]
2) 통합접지 방식으로 모든 도전부가 등전위를 발생하고 접지저항 값이 10Ω 이하인 경우
3. 공통과 통합 접지 시스템 검사
1) 공통과 통합접지 저항 측정법
보조극(P,C)은 저항 구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접지극(접지극이 메쉬인 경우 메쉬망의 대각선 길이) 규모의 6.5배 이격하거나 접지극과 전류 보호극간 80m 이상 이격하여 측정한다.
2) 공통, 통합접지의 부분검사 실시
① 접지공사 중이나 접지공사가 완료된 때 부분 검사를 신청 하도록 한다.
② 적용검사(공통, 통합 접지 공사에 대한 중간검사)는 접지저항을 측정하고 공통, 통합 접지공사가 신고한 공사 계획에 적정한지 확인
③ 사용전 검사르 신청(접지저항 측정값, 대지저항률 측정 값, 접지극 재질, 형상, 접속방법, 깊이 등) 증빙자료를 제출받아 접지저항 측정검사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S 특징과 유지보수에 대한 일반적인 성능 (0) | 2017.07.10 |
---|---|
단권변압기가 2권선 변압기에 비해 유리 한점 (0) | 2017.07.07 |
정극용 변압기의 절연가스 보수결과 상태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17.07.07 |
열차 견인력의 종류와 유효 작용 견인력 (0) | 2017.07.06 |
변전소 (0) | 2017.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