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콘센트 설비 설계감리

 

 

인간이 생활 또는 이용하는 공간은 항상 밝아야만 한다.

공간을 쾌적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전등설비이다. 범위로는 전등 분전반을 포함한 스위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나 조명기구에 이르기까지의 배관배선설비를 말한다. 전등과 콘센트는 같은 회로로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에는 형광등 조명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공급 전압은 대부분 220[V]로 한다.

콘센트는 종래 110[V] 가 대부분이었지만, 전자식 복사기, 룸 에어콘 등의 사무기나 공조기등의 사용으로 인하

, 단상 220[V], 3380[V] 용의 콘센트 설비가 주종으로 바뀌고 있다.

배관배선에는 일반주택에서의 전등 배선, 호텔, 연회장의 샨델리아 배선등 그 종류는 여러 가지 이며 시공에서도 은폐 배관, 콘크리트 배입 배관, 케이블 배관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공장 등에서는 노출 배관이 많이 시공된다. 특히 습기가 많은 장소의 경우는 바닥에서 80이상의 위치에 설치토록 하고 있다.

      

 

자가용 발전설비 설계감리

 

발전설비로는 일반 전원용으로서 사용 전원의 보조(peak cut), 혹은 특수한 공장등의 업무용으로서 발전설비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일반 빌딩의 정전에 대비한 비상용 발전설비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전설비는 예비전원, 비상전원으로서 법규에 의해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게다가 건물의 보안상 혹은 업무상 필요한 기기, 영업용의 조명, 주요 장소의 공조, 급배수 및 소화 동력, 그 외의 전원으로서 불가결한 설비이다. 발전기는 디젤기관 및 가스터빈기관 구동에 의한 3상 발전기가 많이 사용되며, 정전시에는 자동 혹은 수동으로 시동하여 수 초에서 1분 정도 내에 송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발전기는 연료를 다량으로 저장하고 운전시의 소음방지 등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지하의 전용실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소형 발전기는 발전기, 엔진, 배전반, 시동 장치 등을 철제함에 넣은 큐비클 형으로서 옥상이나 옥외에 설비하는 경우도 있다.

 

자가발전설비 검토사항

   

항 목

검 토 사 항

기 기 의

배 치 및

넓 이

1. 발전기의 종류와 용량은 설계도서와 시방서에 맞는가.

2. 발전기실의 넓이와 위치는 좋은가.

참고발전기의 배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건축구조에 적정한 배치를 해야 한다.

3. 발전기의 배치는 좋은가.

참고발전기의 배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건축구조에 적당한 배치를 해야 한다.

4. 기기주변의 보유거리는 좋은가.

참고발전기 주변의 보유거리는 운전원이 점검에 지장이 없는 거리

(최소 0.6m0.8m, 최대 1m1.5m)가 적당하고 발전기의 보수를 위 하여 기기 반출입에

영향이 없도록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5. 기기의 기초, 피트와의 조합은 잘되어 있는가.

참고】① 기기기초는 진동에 대한 대책을 충분히 고려하여 중요시 해야 한 다.

발전기실의 소음처리는 적절한가.

6. 기초의 치수, 구조는 잘 설계되었는가.

참고】① W = 0.2wN

여기서, W : 발전기기초(중량), w : 발전기 중량(ton), N : 발전기 회전수 (r.p.m)

디젤, 가스터빈의 발전기 기초는 다르므로 주의한다.

내진설계도 적용한다.

7. 발전기실 바닥 마무리는 건축과 협의하여 기초 마무리등을 잘 처리토록 했는가.

8. 발전기의 설치조건은 좋은가.

발전기, 원동기 배전반 (큐비클) 연료 탱크(용량 및 위치, 연료공급방법) 감압 수조 공기압축기 공기조 기동용 축전지 및 정류장치

9. 연료탱크의 취부높이는 적절한가.

10. 급유구의 위치와 저유조간의 연결을 고려해서 시공했는가.

11. 발전기 조작반과 배전반의 위치와 보유거리는 충분히 고려 했는가.

12. 각종배관의 지지방법은 좋은가.

13. 배관의 지지 간격은 적정한가.

14. 배관의 접속방법은 충분히 고려했는가.

15. 발전기와의 접속된 배관은 가요관을 사용하도록 시공했는가.

참고발전기는 진동기기이므로 배관연결부에 필히 가요관으로 연결토록 한다.

16. 배기관 소음기의 지지방법을 적용했는가.

17. 배기관에는 신축성이음매를 적용했는가.

18. 배기관에는 단열처리를 적용하여 시공했는가.

참고배기관과 건물관통부와의 단열처리는 적용했는가.

19. 배기관과 조영재 및 전기배관과의 이격거리는 충분히 고려했는가.

참고발전기 배기관은 고열이 발생하므로 열에 의한 화재 및 특성변화를 고려하여 충분한 이

격거리를 둔다.

배 선

1. 발전기 출력단자 부분의 상세도는 현장조건과 맞는가.

2. 피트내의 특별고압, 고압, 저압과의 이격거리는 고려했는가.

3. 배선은 내화배선으로 시공했는가.

4. 피트의 크기 또는 케이블랙의 크기는 충분한가.

5. 배선의 굵기는 충분한가. 참고전압강하 고장전류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접 지

1. 발전기, 기기, 덕트, 보호카바, 배전반등의 접지는 했는가.

2. 케이블 차폐층의 접지는 했는가.

기술계산

1. 발전기용량계산 및 냉각수용량, 연료소비량 등의 계산은 적정한가.

2. 단락에 대한 보호를 재확인하였는가.

기 타

1. 급기구와 배기구의 위치, 크기는 건축과 협의해서 적용했는가.

참고발전기실의 연소를 위한 급기구와 배기구가 필요한데 설계시 급기구 배기구로 인한 소

음대책도 같이 고려하여 설계 되었는가.

2. 발전기 냉각방식에 따른 각종 제어설비는 반영했는가.

3. 개폐시, 과전류차단기, 전압계 및 전류계는 설치했는가.

참고】① 저압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의 가까운 곳에서 쉽게 개폐 및 점검

할 수 있는 곳에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전압계 를 설치해야 한다.

고압 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개폐기 과전류 차단

, 전압계 및 전류계를 다음과 같이 설치할 것.

- 각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설치

- 전압계는 각상을 읽을 수 있도록 설치한다.

- 전류계는 각선(중성선제외)의 전류를 읽을수 있도록 시설한다.

4. 정격부하를 차단한 경우 8초 이내에 정상 회전속도에 도달하도록 발전기를 선정했는가.

5. 건축법, 소방법등의 비상전원, 예비전원을 재확인 했는가.

6. 접지단자에 완전한 접지접속을 확인했는가.

7. 밧데리 접속상태는 양호한가.

8.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상태는 불평형 되지는 않았는가.

 

 


'법 질의회시(유권해석) > 감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설비 검토사항   (1) 2017.07.24
축전지설비 검토사항  (0) 2017.07.24
접지설비 검토사항  (0) 2017.07.24
동력설비 검토사항  (0) 2017.07.24
간선설비 검토사항  (0) 2017.07.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