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 및 이동전선으로 인한 감전방지 대책
(1) 전로의 절연
전기가 대지로부터 절연되어 있지 않으면 누전에 의해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전압에 따라 전선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간의 절연저항은 다음값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저압전로의 절연저항값
전로의 사용전압의 구분 | 절연저항값 | |
400[V]미만 | 대지전압(접지식 전로는 전선과 대지간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는 전선간의 전압)이 150[V]이하인 경우 | 0.1[㏁] |
대지전압이 150[V]를 넘고 300[V]이하인 경우(전압측 전선과 중성선 또는 대지간의 절연저항) | 0.2[㏁] | |
사용전압이 300[V]를 넘고 400[V]미만인 경우 | 0.3[㏁] | |
400[V]이상 | 0.4[㏁] |
(2) 배선 등의 절연피복 및 접속
절연전선에는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용전압 규격에 맞는 전선의 사용하여야 하며, 전선 상호간 또는 전선과 기구의 접속시 당해 전선의 절연성능 이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충분히 피복하거나 적합한 접속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습윤한 장소의 이동전선
(가) 이동전선 사용시 안전사항
1) 단면적이 0.75[㎟]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 사용 한다.
2) 배선과 외함 등을 접지할 경우에는 이동전선의 1선심을 접지선으로 사용한다.
3) 통로바닥에서는 전선 등의 사용을 금한다.
(나) 꽂음 접속기의 설치 및 사용시 준수사항
1) 서로 다른 전압의 접속기는 상호 접속되지 않도록 한다.
2) 습윤한 장소에서는 방수형을 사용한다.
3) 꽂음접속기에 잠금장치가 있을 때는 접속 후 잠그고 사용 할 것.
4) 꽂음접속기 접속시 젖은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한다. (꽂음 접속기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쌍으로 이루어 진다)
(4) 콘센트, 플러그 및 케이블 콘넥터
전원과 전기기기를 간단히 접속시키는 것으로 콘센트와 플러그가 있으며 이동전선 서로를 접속하는 것으로는 케이블 콘넥터가 있다. 이들은 사용빈도가 높아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항상 주의하여 정상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가) 콘센트의 시설
1) 콘센트는 꽂음형 또는 걸림형의 것을 사용할 것.
2) 노출형콘센트는 내구성 있는 조영재에 견고하게 부착할 것.
3) 매입형 콘센트는 경고한 금속제 또는 난연성 절연물로 된 박스속에 시설할 것.
4) 콘센트를 바닥에 시설할 경우는 방수구조의 플로어 박스를 사용할 것.
5) 콘센트를 옥측의 우선외 또는 옥외에 시설할 경우에는 지상 80[㎝]이상의 높이에 시설하고 적절한 방수함 속에 넣거나 또는 접지용 단자가 있는 방수형콘센트를 사용할 것.
6)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수분이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콘센트 및 상기 장소에 사용되는 기계기구용 콘센트는 접지용 단자가 있는 것을 사용하고 접지하여야 한다.
(나) 용도가 다른 콘센트
동일구내에 전기방식, 분기회로의 종류가 다른 회로가 있을 때는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각 콘센트는 용도가 다른 플러그가 꽂아질 우려가 없는 구조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색별표지 등의 조치된 것 제외)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전사고 방지대책 (0) | 2017.07.28 |
---|---|
간접접촉에 의한 감전방지 (0) | 2017.07.28 |
전기 작업안전 (0) | 2017.07.28 |
활선작업 및 활선근접작업 안전 (0) | 2017.07.28 |
전기작업용 용구 (0) | 2017.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