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 공사
1. 일반사항
1) 적용 범위
① 요약
전기실 및 중앙 환기실 배선, 고압냉동기 전력공급배선, 전력간선, 동력분기 배선, 조명 및 전열 배선, 본선 터널내 랙 배선공사에 적용한다.
② 주요내용
가. 전선, 케이블, 케이블 헤드 구매 및 설치
나. 전선 및 케이블 단말처리
2) 적용 규준
전선 및 케이블은 KS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단 KS 제품이 없을 시는 전기용품 형식 승인 제품을 사용한다.)
① 한국산업규격 (KS)
가. 고압 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 : KS C 3131
나. 600V 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 : KS C 3611
다. 제어용 케이블 : KS C 3330
라. 600V 비닐절연 전선 : KS C 3302
마.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 : KS C 3313
바. 600V 2종 비닐 절연 전선 : KS C 3328
3) 제출물
다음사항은 (제출물) 규정에 따라 제출한다.
① 자재 공급전 제출물
시공자는 다음의 사항을 자재공급전에 감리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가. 자재승인 요청서
나. KS 표시품, 형식 승인품, 기타 법령에 의하여 품질 인증을 받은 제품임을 증명하 는 증빙서류 사본
다. 사양서 제출.
전선, 케이블 및 케이블 헤드의 종류, 치수, 허용전류, 기술자료, 시공지침서등을 포함한 사양서
② 시험 성적서
고압 케이블 및 고압 케이블 해드는 공인 또는 인증 시험 성적서를 감리원에게 자 재 검사 제출 해야한다.
③ 시공 상태 확인서
현장 대리인은 공정별로 시공 상태 확인을 받도록 되어 있는 항목에 대하여 현장 대리인의 사전 현장 점검후 서명 날인한 후 시공상태 확인서를 감리원에게 제출 현장 검사를 받아야 한다.
④ 품질시험 성과표
현장 시험을 하도록 되어있는 항목에 대하여 감리원 입회 하에 시행하고 결과를 감리원에게 제출한다.
2. 자 재
1) 자재승인
시공자는 전선 및 케이블 자재에 대하여 감리원의 사전 승인을 받아 구매하여야 한다.
2) 자재의 종류
본 공사에 소요되는 전선 및 케이블류의 종류는 아래와 같으며 KS 자재를 우선 사 용 하고 KS 제품이 없는 자재는 형식 승인제품을 사용한다.
① 고압 케이블 : 6.6KV CV 케이블
② 저압 전선
가. 동력용 : 600V CV 케이블
나. 조명용
(1) 간선 : 600V CV 케이블, OW 전선 ( 터널 내부조명 )
(2) 분기 배선 : IV 전선, HIV 전선 ( 비상 조명 )
다. 소방용 부하 : FR-8(내화배선)
라. 조 명 제어용: CVVS 제어 케이블
마. 접지선
(1) 전기실내 및 외부 접지 인출 부분 : GV 전선
(2) 기타 : IV 전선 ( 초록색 )
③ 반입 검수 자재
가. 시공자는 자재 현장 반입전에 감리원에의 검수를 받고 반입하여야 한다.
나. 검수 항목은 규격,구조등 승인 요청 내용에 의거 육안검사 및 성능에 대한 성적 서 확인으로 한다.
3. 시 공
1) 작업 준비
입선 작업전에 전선관 및 케이블 트레이 내부에 있는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한후 입 선작업을 한다.
2) 전선배선
① 전선의 접속
가. 배선은 전기설비 기술기준, 내선규정 및 소방 시설의 유지 및 위험물 제조소등 시설 기준등에 관한 규칙등을 준수하여 설계도 및 시방서에 의거 시공하여야 한 다.
나. 전선, 케이블 및 코드는 특기한 것을 제외하고 KS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색 상은 한국 전기공업협동 조합 표준규칙 (KEMC 1106)에 의한다.
다. 전선 접속에 사용되는 테이프, 커넥터, 단자, 및 땜납등은 규격에 적합하여야 하 며 KS규격 이 없을 때는 감리원의 지시에 따른다.
라. 전선의 박스내 접속은 전선 콘넥터를 사용하여야 하며 전선 콘넥터는 KS 표시품 을 사용하고 KS규격품이 없을 시는 시중 최우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마. 전선의 접속은 배관 또는 덕트 내에서는 금지하며 기구 분기용 박스 또는 기구 내에서만 하며 각종배선은 점검이 용이하도록 정리하여야 한다.
바. 전선 심선간의 접속은 원칙적으로 압착 접속 단자, 전선 콘넥터, 슬리브 등을 사 용하여야 하며 이 방법에 의하지 않을 때는 충분한 납땜질을 한다.
사. 비닐 시이즈 케이블, 클로르프렌 시이즈 케이블 등의 접속 부분은 케이블 접속 KIT 처리 혹은 전기법규에 준하여야 하며 감리원의 지시를 받아 동등 이상의 효과를 갖는 절연물을 씌우는 등의 방법으로 절연처리 한다.
아. 전선의 접속은 전선의 허용전류에 의하여 접속부분의 온도상승 값이 접속부 이 외의 온도 상승값을 넘지 않아야 하며 전기 저항, 절연저항, 인장강도가 저하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자. 전선과 기구 단자와의 접속이 풀릴 우려가 있는 경우는 2중 너트 또는 스프링 와셔를 사용한다.
차. 기구의 단자가 전선의 단면적 보다도 적어 부득이 소선을 감선할 경우는 기구의 허용전류용량 이하로 굵기를 감선해서는 안된다.
카. 기구의 단자가 누룸 나사형, 크램프형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가 아닌 경우와 지 름 3.2㎜를 초과하는 단선 또는 단면적 5.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착 단자 또 는 동관 단자를 부착한다.
타. 연선에 압착단자 또는 동관단자를 부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소선이 흩어지지 아니 하도록 심선의 선단에 납땜을 시행한다.
파. 전선을 1본 밖에 접속할 수 없는 구조의 단자에 2본 이상의 전선을 접속하여서 는 안된다.
하. 전선의 분기는 분기점에 장력이 가해지지 아니하도록 시설 하여야한다.
거. 전선의 상별 표시
전선의 상별은 다음과 같이 하여 부하평형을 점검할 수 있도록 피복의 색으로 색 상을 구별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단말 처리 부분이나 점검부의 케이블 피복에 색 테이프로 처리 할 수 있다.
구분 | 배선방식 | 전압측 | 접지측 | 중성선 | 비고 | |
교류 | 저압 |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 | 적색또는흑색 적색또는청색 흑,적,청 흑,적,청 | 녹색 녹색 녹색 녹색 | 백색 |
|
고압 | 3상3선식 | 흑,적,청 |
|
| ||
직류 | (-)극 청색 (+)극 적색 |
너. 발열부 와의 이격 거리
외부 온도가 50 ℃ 이상이 되는 발열부와 배선과는 15㎝ 이상 이격한다.
단. 공사상 부득이한 경우 감리원의 지시에 따라 단열처리 한다.
더. 변색
주회로의 TERMINAL CAP 은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온도감지식 TUBE(THE MRO CAP)를 사용하여야 한다.( 단 제어회로 및 접지선, 전등전열 분기 회로, 고 압케이블등은 제외하며 동주물 단자에는 THERMO SEAL을 부착 한다.)
3) 케이블 배선
① 본 시방외의 사항은 내선규정 제450,710-3,710-6절의 규정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② 시설방법
가. 중량물의 압력 또는 심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케이블을 시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벽, 천장, 기둥 등에 직접 매입하여서는 않된다. 다만 케이블을 충분한 굵기의 금 속관, 합성수지관 등에 넣어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케이블 트레이등에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에는 서로 꼬이지 않도록 나란히 배 선 하여야 한다.
③ 케이블지지
가.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 등에 배선할 경우에는 2m 이내마다 케이블 타이로 묶 어야 한다.
나. 케이블은 은폐배선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에 장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도록 시 설하는 경우에 한하여 지지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 습기가 있는 장소에 케이블을 고정할 때에는 케이블 고정재 등이 부식하여 케이 블이 노후화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④ 케이블의 굴곡
케이블을 구부리는 경우에는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그 굴곡부의 곡률 반경 은 케이블 완성품 외경의 6배 (단심의 경우 8배)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단,저압 케 이블에 있어서 부득이한 경우는 감리원의 지시에 따라 전선 피복이 상하지 않도록 구부릴 수 있다.
⑤ 케이블의 접속
가. 케이블 분기 또는 접속은 분전반, 아우트렛 박스 또는 케이블 전용의 쪼인트 박 스 내에서 한다.
나. 케이블 배선에서 금속관 배선으로 이행하는 개소에는 절연부싱, 유니버샬 터미널 캡 등을 사용한다.
다. 고압 케이블 단말처리는 공간 협소로 인하여 휘어짐이 없어야 하며 케이블지지 브라켓은 1종 접지를 8㎟이상의 전선으로 하고 기타 감리원의 지시에 따라 제작 사양에 준하여야 한다.
(1) Cable 절단 및 Sheath 벗기기
(가) Cable을 소정의 위치에 맞추어 Cable지지용 Clamp에 고정시킨다
(나) 단말처리재와 현장 여건에 따라 필요한 길이에 맞추어 Cable을 절단한다.
(다) Sheath 및 차폐 동 Tape를 그림에 표시한 것과 같이 벗겨낸다.
이때, Sheath 가까운 곳에서 1.6㎜ 정도의 연동선을 차폐 동 Tape위에 3회 정도 감고 납땜한 후 서로 꼬아서 인출한다.
(2) Stress Cone의 작성
(가) 절연 피복위의 도전성 C-Tape를 벗겨낸다.
(나) 절연 피복위에 묻어있는 카본 성분을 Gasoline으로 완전히 닦아 낸다.
(다) 그림에서 표시한 치수에 맞추어 고압 고무 접착 Tape(F-Co Tape2로)를 마 름 모형으로 감는다.
전압 | L | D |
6㎸, 10㎸ | 75㎜ | 절연외경 + 16㎜ |
15㎸ | 100㎜ | 절연외경 + 20㎜ |
20㎸ | 100㎜ | 절연외경 + 24㎜ |
(라) 도전성 C-Tape를 차폐 동 Tape위에 10㎜ 정도 겹쳐 밑에서부터 1/2씩 겹 쳐 감기로 마름모 중앙까지 2회 감는다.
또, 중앙부분의 반환점에서는 C-Tape를 1/2폭으로 접어 감아서 끝부분에 돌출부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마) 도전성 C-Tape 앞쪽 끝 약50㎜ 쯤에서부터 차폐 동 Tape위까지 고압 고무 Tape를 1/2 겹쳐 감기로 2회 감고 계속해서 단자 밑부분까지 감는다.
(바) 접착 Vinyl Tape를 1/2겹쳐 감기로 Cable Sheath위에서부터 도체 부분까지 감는다.
(3) 3심 Cable 에서는 3심용 분지관을 사용하고 Stress Cone은 분기관을 끼운 후 에 만들어 준다
(4) 기타 단말처리용 Kit를 사용할 경우는 설명서에 준한다.
라.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케이블은 접속시의 수분 침입으로 워터 트리 (WATER TREE) 현상에 의한 절연 파괴 사고 방지를 위하여 습기가 많은 경우에는 습기 가 침투되지 않도록 특별히 유의하여 시공토록 한다.
⑥ 색상 표시
각종 간선에는 아래와 같은 색상의 절연튜브로 색상 표시를 하여야한다.
가. 교류 : R 상 : 흑색, S 상 : 적색, T 상 : 청색, N 상 : 백색
나. 직류 : 정극 (P) : 적색, 부극(N) : 청색
다. 접지선은 녹색을 사용하여야 한다. 녹색 이외의 전선 사용이 불가피 할경우는 전 선 말단에 녹색 테이프로 표시한다.
⑦ 케이블 식별 표시
케이블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큐비클 단자부분, 덕트 부분, 풀 박스부분 에는 케이블 표식 ( 배선번호, 배선 명칭등 )을 한다.
⑧ 이격거리
저압 옥내 배선의 경우 배선과 다른 배선과의 이격거리는 내선규정 제400-8절의 규정에 따른다.
⑨ 전선 및 케이블의 인입
전선 및 케이블의 인입시 사용하는 윤활제는 전선 및 케이블의 피복 절연물에 유 해한 물질이 있어서는 않된다.
⑩ 전자평형 유지
전기실 피트내에서 케이블 배선시 1상당(R, S, T상) 케이블 수량이 2개 이상의 경 우 전자적 불균형이 최대한 발생되지 않도록 삼각포설 방식 등으로 시공하여야 하 며 케이블이 섞이거나 꼬여서는 아니되며 전선관내에서의 포설도 관내의 전류 벡 터의 합이 Zero가 되도록 유의해야 한다.
ⓡ-ⓢ-ⓣ ⓣ-ⓢ-ⓡ | (도-1) |
ⓡ-ⓢ-ⓣ ⓡ-ⓢ-ⓣ | (도-2) |
ⓡ-ⓢ-ⓣ ⓣ-ⓢ-ⓡ ⓡ-ⓢ-ⓣ ⓣ-ⓢ-ⓡ | (도-3) |
ⓡ ⓢ ⓣ ? ? ? ⓡ ⓢ ⓣ ? ? ? ⓡ ⓢ ⓣ | (도-4)
(도 4의 경우 약간의 불평형이 있음) |
⑪ 전로의 절연 저항
시공자는 전로의 절연저항이 1㏁ 이상이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4) 현장 품질관리
① 시험
가. 절연저항 시험
시공자는 배선공사를 완료하고 기기의 취부가 완료된후 큐비클 상호간 배선, 각종 간선, 분기회로에 대하여 감리원 입회 하에 절연저항 시험을 하여야 한다.
② 시공상태 확인
가. 시공자는 배선공사 완료후 아래 항목에 대하여 감리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나. 시공상태 확인
(1) 배선 규격 및 포설 상태
(2) 전선 및 케이블 단말처리 상태
(3) 상별 색상 구분 상태
(4) 배선번호 표식 상태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제 가요전선관 공사 (0) | 2017.08.14 |
---|---|
금속 덕트 공사 (0) | 2017.08.14 |
배선 기구 공사 (0) | 2017.08.14 |
조명 기구 공사 (0) | 2017.08.14 |
소방 기계 기구 공사 (0) | 2017.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