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선로
1. 부급전선의 지지와 배열
(1) 부급전선은 가공식으로 하고 가공전차선로 지지물에 가설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콘크리트벽․천정이나 단독주에 가설할 수 있다.
(2) 부급전선의 배열은 급전선에 준한다.
2. 부급전선의 선종과 표준장력
부급전선의 선종과 표준장력은 다음 표에 의한다.
선종[㎟] | 표준장력[N] |
비닐절연전선 250 경알루미늄연선 200 경동연선 150 경알루미늄연선 95 | 2,940 2,450 8,820 980 |
3. 부급전선의 높이
부급전선의 높이는 급전선의 높이에 준한다.
4. 흡상선
흡상선은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1) 흡상선은 흡상변압기 설치간격의 중앙에서 복궤조식은 임피던스본드의 중성점에, 단궤조식은 귀선레일측에 부급전선을 접속한다.
(2) 흡상선에는 600[V] 비닐절연케이블(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이스케이블[CV] 100[㎟])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3)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는 트러프 또는 관로에 수용하고 궤도 밑을 횡단할 때는 노반면에서 750[㎜] 이상의 깊이에 매설한다.
(4) 지표상 2[m]의 높이까지 절연관 등으로 보호한다.
(5) 흡상선은 2본 병렬로 시설한다.
5. 중성선 및 보호선용접속선
(1) 중성선 및 보호선용접속선은 흡상선에 준하여 시설하되 단권변압기 설치장소에서 귀선레일과 연결된 임피던스본드의 중성점을 단권변압기의 중성점과 접속한다.
(2) 보호선용접속선은 흡상선에 준하여 시설하되 설치간격은 800[m] 이상 2.5[㎞] 이내로 하되 궤도회로 2~3개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다만, 1본만 시설할 수 있다.
선종[㎟] | 표준장력[N] |
비닐절연전선 250 경알루미늄연선 200 경동연선 150 경알루미늄연선 95 | 2,940 2,450 8,820 980 |
6. 귀선로의 접속
귀선로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치한다.
(1) 귀선로는 우선적으로 레일을 통하므로 레일의 도전성과 연속성(이음매의 접속)이 최대로 확보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 귀선로는 임피던스를 최저로 낮추기 위해 가급적 최단거리가 되도록 설계하고 회로의 직렬 연속성이 확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주 귀선레일과 변전소(AT 설치개소) 사이에 설치되는 변전소인입귀선(중성선)은 최단거리로 케이블 길이가 10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다음 각목의 2구간으로 구분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귀선로 케이블의 전기저항 및 허용전류 등을 고려하여 타당한 경우 예외로 할 수 있다.
① 귀선레일로부터 변전소간에 설치된 맨홀에 위치한 접속단자까지
② 접속단자에서 변전소까지
(4) 접속단자와 궤도 사이의 배선 수는 궤도당 절연전선 F-GV 70[㎟] 4선으로 배선하고 각 레일간에는 절연전선 F-GV 70[㎟] 2선으로 레일에 견고히 고정 연결하여야 한다.
(5) 궤도회로가 없는 주귀선레일에 연결된 보조귀선레일(측선, 부본선 등)은 주귀선레일과 적어도 두 지점의 각 끝을 연결한다. 그러나 선로 끝 부분이며 짧은 거리만 전철화 되어 있으면 단일(두 선으로) 연결도 할 수 있다.
(6) 궤도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주귀선레일에 연결되는 보조귀선레일 궤도회로의 정상적인 운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보조귀선레일의 한쪽 끝만이 주귀선레일에 연결한다. 그러나 보조귀선레일의 길이가 적당하면(두 개의 외부접속의 허용거리와 같으면) 주 귀선레일에 대한 추가적인 접속을 할 수 있으며 이 접속은 횡단접속 쪽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선의 접속은 임피던스본드의 중앙 또는 궤도공심자기유도코일에 연결하여야 한다.
(7) 보조귀선레일은 반드시 매설접지선에 연결하거나 가공보호선이 설치된 전차선로 지지물의 아래 부분에 설치된 접지단자 볼트에 접속하여야 한다.
(8) 보조귀선레일이 주귀선레일과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100[m]가 초과되면 접지설치를 하여야 한다.
7. 레일이음매의 절연
전철구간 종단․귀선레일과 다른 레일과의 분기점․정거장구내 선로의 귀선종단지점 및 기타 필요한 곳에는 레일이음매 절연을 시설하여야 하며, 전차선로의 애자형 섹션과는 연직선상으로 부터3[m]이상 이격 하여야 한다.
8. 변전소인입귀선
(1) 지중식은 600[V] 비닐절연케이블 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흡상선에 준하여 시설한다.
(2) 가공식은 급전선의 지지와 배열에 준하여 시설한다. 다만, 애자의 사용구분은 애자의 사용구분표에 의하고 귀선레일과의 접속은 흡상선에 준한다.
9. 포설 방법
1) 직매포설
현용되고 있는 트로프 내 모래채움 시공의 경우에서 직매포설과 열방산적으로 등가라 생각하고 계산한다. 모래채움 효과로는, 온도변화 또는 열차진동으로 생기는 구비치는 현상 방지와 고장인 경우의 타 케이블로의 파급방지 등이 주된 것이다. 그러나, 과거의 조사, 연구의 발표예에 의하면 실제로는 완전하게 구비치는 현상은 억제되지는 않고, 모래채움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미리 형태를 잡아 놓든가 클리트(Cleat) 고정방법을 개선하는 등의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열저항 증가에 의한 조수의 증가 또는 포설간격의 확대 등에 의한 경제적인 불리함도 있으므로 불필요한 곳은 피해야 한다.
다음에, 기저온도는 실험적, 경험적으로 25℃를 표준으로 하고 있는데, 지표면에서 케이블 중심까지의 깊이 L o < 600㎜인 경우에는 일사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일례로 실험결과에 따라 35℃의 값을 채용하고 있는 곳도 있다.
2) 암거포설
공기층이 있는 트로프 내에 케이블을 클리트 등으로 고정하여 지중에 매설 할 경우에 적용한다.
기저온도는 일반적으로 40℃를 취하고, 방열은 기중이므로 다조포설의 저감율을 적용한다.
3) 동도포설
본래 암거 내에 다조포설 했을 경우에 적용되지만, 암거본체에 등가직경이 클 경우, 포설깊이가 커서 일사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등에는 동도의 열저항을 고려하여 동도포설을 적용한다.
기저온도는 40℃로 하고, 다조포설의 저감률은 적용할 수 없고, 동도(洞道)의 열저항 R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전열저항을 구할 경우, 특고압 케이블과 같은 경우는 손실률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 용회 선 | 손 실 률 Lf |
일반송전선로 | 0.6~0.8 |
특수송전선로 | 1.0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ko250 곡선당김금구 (0) | 2017.08.28 |
---|---|
전차선의 편위 (0) | 2017.08.28 |
인류구간과 장력구간 (0) | 2017.08.28 |
가공전차선로 영구신장조성 장력과 시간 (0) | 2017.08.28 |
급전 표지류 (0) | 2017.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