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제출

 

 

1. 보고서는 준공 시 감독자에게 제출한다 

 

 

2. 기초굴착작업, 건주작업, 콘크리트작업, 전선가선 및 조정작업, 가동브래킷 작업, 인류장치, 장력조정장치 등 작업 전후에 다음에 의한 작업 확인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1) 작업 확인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2) 기초 굴착 작업 확인서   

3) 기초 굴착 작업 확인서   

4) 건주작업 확인서  

5) 콘크리트 작업 확인서  

6) 급전선, 보호선 가선 작업 확인서  

7) 가동 브래킷 작업 확인서  

8) 인류장치 작업 확인서   

9) 전차선, 조가선 드럼 배분표  

10) 전차선, 조가선 가선 작업 확인서  

11) 드로퍼 작업 확인서 작성   

12) 조정 작업 확인서 작성  

13) 균압장치 작업 확인서 작성   

14) 자동 장력 조정차치 조정 작업 확인서 작성  

 

 

3. 250km급 이하 설비는 다음사항을 기록관리 보고하여야 한다.

 

1) 가공전차선로 측정기록  

2) 전선압축 접속기록  

3) 접지장치 시공기록

4) 건넘선 장치 측정기록  

5) 장력조정장치 시공기록(1)   

6) 장력조정장치 시공기록(2)  

7) 개폐기 시험표(부하, 무부하)   

8) 구분장치 측정기록(에어섹션, 에어죠인트 

9) 구분장치 측정기록(절연구분장치-2중 에어섹션 

10) 구분장치 측정기록(절연구분장치-FRP, PTFE)  

 

 

4. 300km급 이상 설비 검사

 

1) 검사는 시험 및 시운전 전에 시행하며 전차선로의 각 설비에 대하여 단계별로 검사 하여야 한다. 25마다 한 인류구간(1.3)을 선정하여 검사한 후 검사표에 의하여 작성하고 검사 완료 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검사결과 부적합하면 25전체 구간을 검사하여야 한다 

2)  검사의 종류  

(1) 자동장력조정장치 X, Y축 검사

전차선 및 조가선의 장력은 인류 구간 양단에 설치되는 자동장력 조정 장치에 의해 조정되며 검사 방법은 흐름방지위치 및 인류길이 확인검사, 전차선 및 조가선의 온도 측정, X, Y값 측정, 필요시 자동장력조정장치 재조정등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검사자는 검사 후 자동장력조정장치 X, Y축 검사표 [서식24]”의 양식에 의거 검사표를 작성하여야 하며 검사결과 부적합하면 조정 후 자동장력조정장치 X, Y축 조정 검사표 의 양식에 의거하여 조정 검사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2) 자동장력조정장치 상세 검사  

검사자는 자동장력조정장치 상세 검사표를 작성한 후 아래 검사기준에 의거 검사 한다.

 

(검사기준)

 

검 사항 목

한 인류구간 허용기준

전주1본 허용기준

부적합시 조치사항

1(X)

± 30이내

± 30이내

25전체검사 및 재조정

2(Y)

± 30이내

± 30이내

25전체검사 및 재조정

3

볼 트 1 개 이내 누락 또는

조임 불량

볼 트 1 개 이내 누락

또는 조임 불량

25전체검사 및 재조정

4

볼 트 1 개 이내 누락 또는

조임 불량

볼 트 1 개 이내 누락

또는 조임 불량

25전체검사 및 재조정

5

볼 트 1 개 이내 누락 또는

조임 불량

볼 트 1 개 이내 누락

또는 조임 불량

25전체검사 및 재조정

6

도르래 2개 이내

수직상태 불량

도르래 2개 이내

수직상태 불량

25전체검사 및 재조정

7

도르래 2개 이내

수직상태 불량

도르래 2개 이내

수직상태 불량

25전체검사 및 재조정


검사자는 검사 후 자동장력조정장치 상세검사표 [서식26]”의 양식에 의거 검사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3) 전차선로 횡단면 검사  

전차선로 횡단면 검사는 장주도 및 설계도 확인, 수치 확인, 측정, 조정 4단계로 이루어진다 

검사자는 검사 완료 후 전차선로 횡단면 검사표 [서식27]”를 작성하여야 하며 검사 결과 부적합하면 조정 후 전차선로 횡단면 조정 검사표 [서식28]”의 조정 검사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4) 전차선 높이, 편위, 이도 및 조정 검사  

전차선로 시공 및 검사완료 후에는 전 건설구간에 대하여 공단이 준비한 검측차량으로 시속 40의 저속으로 전차선 높이, 편위 및 이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검측차량 운행 후 검사 기록지를 분석하여 불량개소에 대하여 전차선 높이, 편위이도 검사표를 작성하고 불량개소를 조정한 후 전차선 높이, 편위, 이도 조정 검사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5) 가동 브래킷 및 고정금구류 검사  

가동 브래킷 및 고정금구류 검사는 25마다 한 인류 구간을 선정하여 장주도에 나타난 16개 부분을 전주마다 검사하여야 한다. 검사해야할 16개 부분은 다음 표와 같다.

 

(검사기준 표)


검사

항목

한 인류 구간 허용기준

전주 1본 허용기준

부적합시

조치사항

1

분할 핀 1개 누락

분할 핀 1개 누락

25전체

구간 검사

2

볼트나 와샤 6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볼트나 와샤 1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25전체

구간 검사

3

분할 핀 또는 리 벳 트 볼 트 1개 누락

분할 핀 또는 리 벳 트 볼 트 1

누락

25 전체

구간 검 사

4

분할 핀 1, 볼트나 와샤 15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분할 핀 1, 볼 트나 와 샤 1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25 전체

구간 검사

5

U 볼 트 10개 누락

U볼트 1개 누락

25전체

구간 검사

6

분할 핀 1개 누락

분할 핀 1개 누락

25전체

구간 검사

7

볼트나 와샤 10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볼트나 와샤 1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25전체

구간 검사

8

와샤 1개 누락 또는 볼트 10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볼트나 와샤 1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25전체

구간 검사

9

볼트 6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너트 포함)

볼 트 1개 누락 또는 조임 상 태

불량(너트 포함)

25 전체

구간 검사

10

분할 핀 1개 누락 또는 볼 트 20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분할 핀 1개 누락 , 볼 트 1개 누

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25전체

구간 검사

11

분할 핀 1개 누락, 볼트나 와샤 15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분할 핀 1개 누락 , 볼 트나 와 샤 1

개 누락 또는 조임 상 태 불 량

25 전체

구간 검 사

12

1개 고정 불량, 분할 핀 1개 누락,

와샤나 볼트 2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좌 동

25전체

구간 검사

13

분할 핀 1개 누락, 볼트 4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분할 핀 이나 볼 트 1개 누락 또

는 조임 상태 불량

25 전체

구간 검사

14

분할 핀 1개 누락, 볼트 15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분할 핀 이나 볼 트 1개 누락 또

는 조임 상태 불량

25 전체

구간 검사

15

분할 핀 1개 누락, 볼트 8개 누락

또는 조임 상태 불량

분할 핀 이나 볼 트 1개 누락 또

는 조임 상태 불량

25 전체

구간 검사

16

분할 핀 1개 누락

또는 전차선 고정 1개소 불량

좌동

25전체

구간 검사


검사자는 검사완료 후 가동 브래킷 고정금구류 검사표 [서식31]”를 작성하여야 한다.



5. 300km급 이상 설비 시험

 

1) 시험은 열차 시운행전에 시행하며 전차선로의 각 설비에 대하여 단계별로 시험하여야 한다. 시험을 완료한 후에는 시험 종류에 따라 시험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2) 시험의 종류  

(1) 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시험  

절연 및 통전 시험은 전차선로 시공검사 완료 후 가압 전에 시행하는 시험이다 

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시험은 시험하고자 하는 구간의 양쪽 개폐기를 개방하고 전차선과 레일간에 절연저항계(5,000V)를 아래와 같이 설치하고 절연저항을 측정 한다.

시험자는 시험 후 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시험표(구간별) 를 작성하여야 하며 시험결과 부적합하면 불량개소를 보수한 후 재시험하고 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조정 시험표(구간 별) 를 작성하여야 한다.

 

(2) 전차선로 구간 간 절연 시험  

시험하고자하는 구간의 모든 개폐기를 개방하고 아래 그림과 같이 한쪽 구간의 전차선과 레일간을 접속하고 다른 구간의 전차선과 레일간에 5,000V 절연저항계를 설치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절연저항 측정값이 1M이상이어야 하며 1M이하이면 불량개소를 보수한 후 재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시험자는 시험 후 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시험표(구간 간) 를 작성하여야 하며 시험결과 부적합하면 불량개소를 보수한 후 재시험하고 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조정 시험표(구간 간) 를 작성하여야 한다.

(3) 전차선로 구간 간 통전시험  

전차선로 구간 간 통전시험은 그림과 같이 양쪽 개폐기는 개방하고 중단 개폐기는 투입하여야 하여 양 구간 전차선 사이에 마이크로 저항계를 설치한 후 양 전차선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측정값이 100μΩ 이하이어야 적합하며 부적합하면 불량개소를 보수한 후 재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앞에서 언급된 구간별, 구간 간 시험 대신에 급전구간별(변전소구분소간)로 절연 및 통전시험을 할 수 있다 

시험자는 시험 전에 모든 안전조치를 취해야하며 시험 방법은 앞에서 설명된 구간별 시험과 같다 

시험자는 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시험표(구간 간전차선로 절연 및 통전 조정 시험표(구간 간) 를 작성하여야 한다.

 

(4) 개폐기 시험표  

절연 및 통전 시험 완료 후에 개폐기 시험을 시행하며 시험 중에는 절대 가압해서는 안 된다 

시험자는 시험을 시행하기 전에 설계도에 따라 시공 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시험표에 설치 위치, 개폐기 번호, 개폐기 종류(수동 또는 동력)를 기입하여야 한다 

시험결과가 부적합하면 불량개소를 보수한 후 재시험을 실행하여야 하며 재시험 후에는 위 시험표에 보수자(또는 회사)를 명기한 후 시험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개폐기 손상, 급전분기선 및 접지선의 접속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동력(동력개폐기)으로 조작하여 개폐기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여야 한다 

접촉저항을 측정하는 단계로 이 시험은 이미 통전 시험시 이루어졌으므로 생략해도 좋으며 개폐기 잠금 장치를 점검하고 조작함 내의 히터를 시험하여야 한다 

시험 완료 후에 개폐기를 급전계통도상의 상태(ON, OFF)로 복귀 시킨다 

시험자는 시험 후 개폐기 시험표 [서식20]”를 작성하여야 한다 

 

(5) 전압센서 시험표  

절연 및 통전 시험과 개폐기 시험 완료 후에 시행하는 시험으로 본시험 완료 후에는 동적 시험을 하여야 한다 

시험자는 시험을 시행하기 전에 설계도에 따라 시공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시험표에 설치위치, 전압센서 번호, 선로번호, 전주번호 등을 기입하여야 한다.

시험자는 시험 후 전압센서 시험표 를 작성하여야 하며 시험결과 부적합 하면 불량개소를 보수한 후 재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애자의 오손, 변압기 손상, 전선 접속 상태 등을 육안검사를 하여야 한다 

전압센서의 1차 측과 대지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이 1M이상이어야 한다 

위 시험 결과가 부적합하면 시험자는 조정 후 재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로의 구조  (0) 2017.10.12
강체 전차선 공사  (0) 2017.09.27
운행전 시공품질 검사  (0) 2017.09.27
클램프류 체부력  (0) 2017.09.27
표지류  (0) 2017.09.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