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절연개폐장치(GIS) 설치공사

 

 

1. GIS 제작

 

GIS의 제작은 공단 표준규격서(KRSA 3006 “170kV 72.5kV”, KRSA 3007 “29kV”)에 따른다.

 

 

2. GIS 설치

 

1) 기초점검  

기초형상, 위치, 피트 및 접지선의 위치가 도면대로 시공되었는가 확인한다 

콘크리트에 매설된 기초형강 보다 콘크리트의 타설면이 높은가를 직선자 (Straight Edge) 등을 사용하여 점검한다 

기초 베이스의 이물질을 청소하여 제거하고 표면처리도막이 손상된 경우는 보수 도장한다 

기초빔의 수평레벨을 검사하여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가 5이내로 되는지 확인 한다 

설치기준을 위해 각 베이의 중심선과 모선 중심선을 기초의 바닥면에 지워지지 않게 설치 기준선을 긋고 레벨측정 치수를 기록한다 

기준회선 안치  

- 브스 중심의 높이가 설정된 설치기준 높이가 되도록 GIS 베이스와 기초빔간에 라이너를 끼워 조정 설치하고 수평도를 스터드에 수준기를 놓고 행한다 

- 브스 수직방향의 중심점이 기초면 위에 그려진 표시선과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 GIS 베이스와 기초빔을 가용접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부스 연결  

부스 연결작업  

- 기준회선 및 연결할 회선의 베이스 양측에 체인블럭을 설치한다 

- 도체의 접촉자가 접촉하기 직전까지 양 회선간의 두모선의 중심을 맞추면서 체인 블럭을 조작하여 절연 스페이서의 O-링과 탱크의 플랜지를 접속시킨다 

- 탱크 프랜지와 O-링간에 틈이 없도록 하여 가이드 스터드 이외에 실와샤, 너트순으로 장착한다 

- 연결된 회선의 설치위치가 어긋난 경우는 라이너와 벨로우즈에 설치된 너트를 조정한다 

- 연결된 베이스와 기초 빔간의 틈새에 라이너를 삽입한다 

차단기 탱크내에는 19.649kPaSF6 가스, 기타 탱크 내에는 19.649kPa의 질소 가스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탱크 연결부위 및 부품을 설치하는 이외의 가스구획 내 가스는 배기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탱크 내부 작업 시에는 내부에 공구를 놓아두고 잊는 수가 있고 하부측으로 떨어 뜨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구관리 및 작업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증설공사의 경우 기설 부분을 부분정전으로 작업하므로 오판으로 운전중인 가스 구획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조립 전에 반입된 부품의 총수량을 확인하고 작업완료 후 사용된 부품과 나머지 부품수량을 확인한다. 특히 손상된 부품은 필히 꼬리표를 붙여사용금지표시를 한후 현장 밖으로 내보낸다 

탱크접속부위의 수송용 커버를 해체 후 내부부품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가스기밀면은 제품의 생명이므로 기밀면에 마찰, 긁힌 자국 및 도막의 벗겨짐 등을 확인한다 

⑧ O-링 홈에 O-링 삽입시 가스가 새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탱크의 접속 전에 접촉자의 접촉 깊이를 제작사 사양서에 의한 탱크플랜지면과 접촉자 길이를 확인한다 

탱크의 접속 시에는 비닐 보호커버 위에 쌓인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커버를 제거한다 

플랜지접속 및 커버부위의 볼트체결은 아래와 같이 시행한다 

- 체결볼트수 8개 이하의 직경이 작은 플랜지는 볼트 1, 2를 체결후 O-링이 완전히 밀착된 것을 확인하여 볼트38순으로 체결한다 

- 체결볼트수 9개 이상의 직경이 큰 플랜지는 볼트 14 체결 후 O-링이 완전히 밀착된 것을 확인하여 볼트 516 순으로 체결한다 

- 가스배관 연결작업시 일시적으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 또는 밸브의 가스배관 구멍을 비닐테이프로 막을 경우에는 비닐테이프를 조금 길게 끊어 가스구멍에 붙임과 동시에 남은 부분을 측면에 붙여 차후 플랜지 연결시 테이프를 제거하지 않고 플랜지 부분이 연결된 부위는 외부로부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3) 부싱조립

 

조립전 부싱의 파손, 균열이 없는가 점검하여 내부를 충분히 청소한다.   

부싱 인양을 위한 로프의 위치는 양호한가 확인하고 부싱을 적당한 위치로 인양 후 방진용 비닐커버를 부싱 하부측의 도체가 완전히 감싸도록 덮는다 

탱크내 가이드봉이 느슨하지 않은가 확인 후 서서히 부싱을 내리면서 맨홀을 통해서 도체가 콘택트의 중심으로 완전히 접속되는가 확인한다 

옥외형인 경우 시멘트 접속부의 실리콘리버 및 플랜지부 코킹 처리는 되었는가 확인한다 

 

4) 접촉저항 측정  

① GIS의 주회로 양단 부싱 또는 도체 단말을 이용하여 주회로에 직류 50100A의 전류를 흘려서 차단기, 단로기, 모선등 각 연결부의 도체양단에 나타나는 전압강하를 측정한다 

시험시 주회로는 모두 연결되어야 하고 전압 측정단자는 별도의 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시험결과치는 공장시험치와 비교하여 120%이내 여야하고 3상간의 차이는 동일길이의 경우 20%이내여야 한다 

각종 측정치의 차이가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를 재확인하고 내부를 재점검조립하여야한다 

 

5) 흡습제 봉입  

도킹 또는 부품교환 등에 따라 3시간 이상 대기로 노출된 가스구획의 모든 흡습제는 신품으로 교환, 봉입한다 

흡습제 봉입시 작업등과 거울 등을 준비하여 내부점검을 실시한 후 흡습제를 봉입하며 봉입망을 설치하는 볼트에 표시한다 

흡습제의 흡착능력을 점검하여야 한다 

 

6) 진공작업은 각 제작사의 사용설명서에 의한다 

 

7) SF6 가스 충전은 제작사의 사용설명서를 참조할 것 

 

8) 가스밀도검출기 동작점검  

가스충전 완료 후 가스충전 호스를 제거한 후 즉시 시행한다 

가스를 대기로 방출시키며 경보용접점이 닫힐 때 밸브를 닫고 가스압력을 확인한다 

③3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쇄정용 접점의 개로 압력을 확인하며 또한 가스를 충전 시키면서 가스밀도검출기의 폐로 압력을 확인한다 

가스밀도 검출기의 동작가스압력 확인 시 가스온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9) 가스기밀 점검은 설치 시에 접속한 가스배관 및 플랜지 등에 축척법으로 기밀점검을 한다. 가능한 한 방수처리 전에 시험하며 가스누기 기준은 1%/년 이하여야 한다 

 

10) 수분측정  

수분계 센서를 급배용 밸브에 접속하여 가스 중의 수분을 측정한다 

수분측정은 센서를 가스중에 약 15분 정도 방치한 후 안정된 상태에서 수분계의 지침을 읽는다 

수분 관리치는 차단기는 150PPM 이하, 단로기 및 모선부는 300PPM 이하로 한다 

 

11) 경보회로 점검  

결선이 바르게 되었나 확인한다 

각 경보용 계전기의 시험용 버튼을 눌러 보아 버저 및 경보용 램프가 켜지는가 확인한다.

  

12) GIS와 변압기간 모선연결을 위한 건물보와 기기충전부와의 이격거리를 확인하여야 한다.

 

 

3. 시험 및 검사

 

시험 및 검사는 공단 절차서(시관절-35 송변전 배전설비 시험, 시관절-44 검사 및 시험 계획서)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공사  (0) 2017.09.28
주변압기 설치공사  (0) 2017.09.28
단로기(DS) 설치공사  (0) 2017.09.28
차단기(GCB) 설치공사  (0) 2017.09.27
안전관리  (0) 2017.09.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