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넘선장치 (교차장치)
1. 건넘선장치의 기능 및 구조
건넘선장치는 측선 등의 선로분기점 위에 시설하여 상호간에 전동차의 주행에 지장이 없도록 전차선과 전차선을 교차시켜 팬터그래프의 집전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이 전차선의 교차개소에 있어서 양 전차선의 레일면상 높이의 차가 심하면 팬터그래프가 상대측 전차선을 걸고 들어가 팬터그래프 파손 등의 사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팬터그래프 주행에 지장되지 않도록 고저 차를 적당히 확보해야 하며 또한 이 개소에서는 전차선 및 조가선 상호간 불완전 접촉에 따른 순환전류에 의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차선 및 조가선 상호간을 균압선으로서 전기적으로 균압하고, 조가선의 교차개소에는 보호관 또는 슬리이브로서 보호하고 있다. 이와같이 건늠선장치는 교차금구 보호카바, 균압선금구로 구성되어 있다.
팬터그래프가 전차선을 걸고 들어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차개소에서 양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의 차는 일반적으로 건늠선을 구성하고 있는 A선(본선)의 궤도중심에서 B선(측선)인 전차선까지 900 ㎜벌어진 거리의 위치에서 상하선의 고저차가 30 ㎜이내가 되도록 확보되어 있으면 가선의 동요 및 팬터그래프의 압상등 모든 조건을 고려해도 팬터그래프가 상대측 전차선을 걸고 들어가는 위험성이 없게된다. 반드시 건늠선의 설비는 주요 본선을 하부로 한다.
또한 교차개소에서의 곡선당김금구의 설치는 교차선의 외측으로부터 당기도록 시설한다. 주궤도 중심과 전차선과의 분기각도는 15。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여 무효부분의 전차선은 가급적 팬터그래프가 습동하지 않도록 약간 위로 들어올려 가선한다.
2. 보전상의 주의
(1) 전차선로 보전상 건늠선의 보수는 가장 중요한 반면에 조정하기도 가장 어려운 시설이다.
팬터그래프가 어느 위치에서 프로텍터(portector)부분부터 접촉되며 어느 위치에서 습동이 시작되고 또한 어느 위치에서 전차선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지를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2) 교차개소의 검사는 춘하추동 계절적인 온도변화에 대비하여 년4 회 이상 시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특히 변화가 심한 여름과 겨울에 대하여는 신중히 보수를 해야 한다.
(3) 교차금구(수직이동방지금구)는 전차선 온도의 변화에 따라이동하게 되므로 교차개소도 이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교차금구의 한쪽 끝쪽으로 전차선이 쏠리게 되며 또한 이동으로 인한 마찰이 일어나게 되는등 쏠려있는 전차선 부분에 의외로 국부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4) 조가선의 교차개소에 보호관을 설치한 곳에는 관속에 수분이 고여 있으면 전기차 통과시에 순시순환전류에 의해 전식이 일어나게 된다.
(5) 가선이 서로 복잡하게 엉켜있는 역구내의 건널선장치 조정시에는 인접해 있는 건늠선, 균압선 등에도 영향이 미치게 되므로 구내의 이도조정시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3. 전차선의 교차
전차선의 교차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1) 교차개소는 운전빈도가 많은 주요선을 하부로 시설한다.
(2) 교차위치에 교차금구를 사용하고 접속철물로 전차선 상호간을 균압 한다.
(3) 교차금구의 길이는 1,200mm 이상으로 한다.
(4) 조가선 상호간 및 전차선 상호간은 각각 균압한다.
(5) 교차부근의 전차선 접속개소는 전동차의 통과에 지장이 없어야 하고 상호간 궤도 중심면이 1m 이상 이격 되는 곳에 설치한다.
(6) 균압은 교차분기에 설치한다.
4. 건널선 장치(교차설비)의 점검
(1) 전차선 측선이 본선 하부위치나 또는 본선보다 아래로 처졌나 확인
(2) 전차선 교차점이 교차금구 중심부에 있나 확인
(3) 조가선 교차 부위의 손상여부(접촉상태 검측)
(4) 전동차 통과시 전차선과 부속금구가 팬터그래프에 지장여부 확인
(5) 측선과 본선과의 높이 및 고저차 측정
(6) 이어부 육각볼트의 이완여부
(7) 균압선 설비의 취부상태 양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중 전선로 측정 (0) | 2017.10.13 |
---|---|
지중설비 순시 및 정기점검 (0) | 2017.10.13 |
전차선로의 유지관리 (0) | 2017.10.12 |
아스팔트 포장공사 (0) | 2017.10.11 |
가열아스팔트 안정 처리기층 (0) | 2017.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