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공사

 

1. 접지의 목적

접지설비는 H형강주, 철주 등의 누전과 유도에 의해서 대지에 대해 전위를 가지면 인축에 위해를 미치게 됨으로 고장전류를 용이하게 대지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또는 피뢰기 및 가공지선의 전류가 대지로 쉽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된 도체와 철주, 피뢰기, 가공지선 등을 접속하는 설비이다.

접지선은 고장 시에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도록 충분히 굵고 저항이 적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내구성이 없으면 시설 후 오랜 시일이 경과하는 동안에 부식하여 접지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게 됨으로 동선을 사용해야 한다.

접지의 목적은 기기의 보호와 절연물의 열화, 손상에 의한 누설전류로부터 보수원을 보호하고 감전방지를 위해서 접지를 하며 그 목적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계통접지

고저압 혼촉에 의한 저압측 전로의 전압상승의 방지를 목적으로 접지한다.

2) 피뢰기 접지

모선이나 전력기기의 절연보호와 인명사고 방지를 목적으로 접지한다.

3) 전기적 이용 접지

설비의 기능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회로전압의 안정 및 보호 또는 계전기 동작의 안정을 도모할 목적으로 접지를 시공한다.

      

 

2. 접지공사의 종류

접지공사의 종류는 제1종접지, 2종접지, 3종접지, 특별제3종접지로 분류하며 전차선로에 채용하는 접지공사는 다음과 같다.

 

1) 1종접지공사

접지저항값은 10[]이하이며, 접지선의 굵기는 일반장소 지름 2.6[], 가요성을 요하는 부분은 단면적 8[]이상의 굵기로 한다.

대상은 지상부 및 기지구내의 피뢰기 및 단로기설비이다.

2) 3종접지공사

접지저항값은 100[]이하이며, 접지선의 굵기는 일반장소 지름 1.6[], 가요성을 요하는 부분은 다심코오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1심을 쓰는 경우 0.75[] 기타의 가요성이 있는 경우 1.25[] 이상의 굵기로 한다. 대상은 지상부 및 기지구내의 철주, H형강주, 기타 철구조물설비이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력장치 보전상의 주의  (0) 2017.10.16
판타그래프 동작원리  (0) 2017.10.13
전력계통운용   (0) 2017.10.13
지중선로 공사 관련법령  (0) 2017.10.13
전력케이블 시공기준  (0) 2017.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