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의 접속
1. 전선의 접속은 압축접속을 원칙으로 하고 이종전선의 직접접속은 전선의 부식을 일으키므로 반드시 소정의 특수 접속금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접속개소는 지지점으로부터 2[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알루미늄선을 직선 슬리브로 접속할 때는 전선접속부분의 산화 피막을 완전히 제거하고 다음과 같이 시공하여야 한다.
(1) 슬리브 내부에 접속용 콤파운드가 충분히 도포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2) 전선은 바인드선이나 테이프를 감아서 절단기로 절단하여도 소선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4. 알미늄선을 분기슬리브 또는 볼트조임 콘넥터로 접속할 때는 전선접속 부분의 산화피막을 완전히 제거하고 다음과 같이 시공하여야 한다.
(1) 분기슬리부 내부의 콤파운드 도포를 확인한 다음 전선의 절단은 직선슬리브 접속에 따른다.
(2) 슬리브가 전선의 굵기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소정의 전선절단은 직선슬리브 접속에 따른다.
(3) 분기선에 장력이 걸리든가 분기선이 길 때에는 분기선이 없는 슬리브쪽으로부터 400[㎜] 위치에 본선과 분기선을 알미늄 바인드선으로 5회 이상 감아 전선의 진동을 방지한다.
5. 급전선은 진동방지용 금구를 5[m] 간격으로 설치하여 전선의 진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6. 조가선
구 분 | 선 종 별 | 과 장 력(㎏) | 시간 (분) |
전차선 | CU 110㎟ CU 170㎟ | 2000 2500 | 30 30 |
조가선 | ST 90㎟ ST 135㎟ | 1600 2000 | 10 10 |
선종별 과장력 적용기준
1). 조가선의 장력이 규정된 장력으로 되고 중추가 소정의 높이로 될 때까지 장력조정장치를 조정하여야 한다.
2) 흐름방지장치가 있는 개소는 그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레일측면에 행거설치 위치를 백색 페인트로 표시하고 위의 조가선에는 직경2.0[㎜], 길이 1200[㎜]정도의 전차선지지용 철선(가행거)을 설치하여야 한다.
3) 곡선반경 6000[m]이상의 직선구간은 조가선이 궤도중심에 오도록 조정하고 곡선구간은 조가선이 전차선의 수직상부에 오도록 하여야 한다.
7. 전차선
1) 가선에 앞서 각 지지점에는 진동방지장치나 곡선당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전차선은 인류개소나 바란사개소에 인류하고 가선차의 위에서 조가선에 철선 등의 가행가로 전차선을 묶어 가선을 계속한다.
3) 교차개소는 본선의 전차선이 밑으로 오도록 측선을 먼저 가선 하여야 하고 전차선은 요철이나 꼬임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4) 장력조정장치에는 장력이 조가선과 전차선에 일괄하여 걸리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5) 가선이 완료되면 흐름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전차선에 과장력을 걸어주어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가선의 진동, 피로특성 (0) | 2017.10.13 |
---|---|
전차선의 온도상승 (0) | 2017.10.13 |
전차선설비의 보전 (0) | 2017.10.13 |
전차선의 이선 및 마모 (0) | 2017.10.12 |
구분장치의 종별과 사용구분 (0) | 2017.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