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장치 보전상의 주의
1. 에어섹션(Air Section)
(1) 평행부분의 전차선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300[mm]를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는 교류250[mm], 직류에 있어서 200[mm]까지 단축할 수 있으나 이 구간은 정전 시에 섹션개소가 되므로 가급적 300[mm]를 확보토록 한다.
(2) 구분애자의 하단은 본선 전차선의 하단으로부터 200[mm]이상은 반드시 위로 끌어 올리게 되어 있으나 전차선 상호간의 가선의 장력 이도의 차등이 있을 경우에는 판타그래프의 압상으로 애자의 충격을 줄 위험이 있으므로 250[mm]정도는 위로 당겨 올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 애자의 하단으로부터 본선전차선을 200[mm]이상 올리는 이유
: 판타그래프에 의한 전차선의 최대압상량을 150[mm]로 할경우
150[mm]+ 여유50[mm] = 200[mm]
(3) 평행부분의 동일급전계통의 전차선 조가선과 유효부분의 전차선 무효부분의 조가선을 각각 균압선에 의해서 균압한다.
이것은 판타그래프가 습동할 때에 순환전류 회로로부터 뜻하지 않는 전식 등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각 가선을 균압하는 것이며, 또한 무가압 부분을 균압하지 않으면 정전작업시 인체에 의해 단락될 경우 유도에 의하여 쇼크 전류를 받게 된다.
(4) 보전상 판타그래프가 약 5.5[kg]의 압상력으로 섹션의 어느부분으로부터 양선을 습동하여 어느 부분에서 한쪽선으로 이행하는가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섹션 스라이다부의 평행부분은 중앙부에서 500[mm]이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스라이다부의 평행부분은 가급적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에어섹션 개소에서는 균압선의 소선 단선이 많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6) 에어섹션의 급전분기선에는 시온 테이프를 부착 온도관리가 필요하다.
(7) 평행부분은 경간이 50[m] 이상의 개소에 시설한다. 단 50[m] 미만으로 되는 경우는 2경간으로 구성하든가 또는 구분애자 대신에 섹션인슈레이타를 사용하여 전차선의 인상높이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행부분의 경간을 50[m] 이상으로 하는 것은 구분용 애자의 하단을 본선의 전차선보다 200[mm] 이상 인상하기 위하여 평행부분의 경간을 50[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2경간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도 2경간의 합이 50[m]이상이 되어야 한다. 평행부분을 2경간으로 구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점 때문이다.
- 전차선의 구배가 완만하게 되고 판타그래프의 전차선에 대한 충격이 적고 전차선의 기계적 이상국부 마모가 감소한다.
- 전차선의 구배가 완만하게 되어 가선진동이 감소하고 재질의 피로진행도가 감소한다.
2. FRP섹션 (Firberglass Reinforced Plastics)
(1) 애자형섹션과 비교하여 85km/h인 고속용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본선구내의 급전계통 구분상 필요한 개소에 설치한다.
(2) 구조는 복잡하게 절연용수지와 도체로 조립되어 있으며 절연본체에 도체인 보조 스라이다가 붙어 있는 구조이다.
(3) 판타그래프가 역행으로 습동할 수 있는 구조라야 하므로 절연본체스라이다는 원칙적으로 판타그래프가 습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속개소의 섹션은 절연 스라이다까지 습동시키지 않으면 도체스라이다의 국부마모가 심하게 일어나게 된다.
(4) 아크에 의해 F.R.P수지가 소손되므로 탄화면을 샌드페이퍼로서 깨끗이 닦아내고 벤젠 등으로 오손된 부분을 깨끗이 청소한 다음 심할 때는 실리콘을 도포해 주어야 하며, 또한 도체 스라이다의 마모․소손등도 체크해야 한다.
(5) 마름모꼴 구조이므로 장력의 변화에 의해 형이 변형되어 도체스라이다의 경사가 생기게 되므로 순회 시에 주의하여 관찰해야 한다.
3. 에어 조인트(Air Joint)
에어죠인트는 온도변화에 따른 전차선의 신축(가선의 처짐 또는 과도한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전차선을 일정한 길이의 것으로 인류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기계적인 구분장치이다.
전차선 상호의 평행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 판타그래프가 한쪽방향의 전차선으로부터 평행부분의 중앙부근에서 양 전차선을 습동하고 타 방향의 전차선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죠인트는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시켜 연속하여 집전 가능하고 또 집전상 경점으로 되지 않도록 시설할 필요가 있다.
1) 평행부분에서 전차선의 간격은 150[mm]로 한다.
평행부분의 간격이 너무 접근하면 자동장력조정장치에 의한 전차선의 이동이 균압선에 의하여 지장을 주기 때문에 이 영향이 없는 범위로 하여 150[mm]로 하고 있다.
2) 평행부분의 양단에서는 조가선 상호 및 조가선과 전차선을 일괄하여 접속한다.
평행부분의 전차선은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T-M-M-T균압선으로 각 전선상호를 일괄 접속하도록하고 있다.
3) 균압선은 평행하는 전차선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리드선에 적당한 여유를 주고 또 아래로 쳐져 판타그래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평행부분의 전차선은 온도변화에 따른 이동량이 크고 또 전차선의 이동방향이 양측이 서로 반대로 되기 때문에 이 전차선의 이동을 고려한 리드선의 길이의 균압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드선이 아래로 쳐지는 데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4) 지지점에서 전차선의 인상높이는 될 수 있는 한 300[mm]이상으로 하고 접속금구 등은 판타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한다.
전차선의 인상부분에 있는 요크의 하단은 본선의 전차선이 판타그래프에 의하여 압상할 때에 습판과 충돌하지 않도록 간격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전차선의 압상량 가선의 이도 등을 고려하여 본선의 전차선을 인상시키고 있다.
5) 평행부분 장경간은 50[m] 이상으로 하고 50[m] 미만의 경우는 2경간으로 구성한다.
평행부분의 경간을 50[m]이상으로 하는 것은 에어섹션과 같은 관점에서 요크의 하단을 본선의 전차선보다 300[mm] 이상 인상시키기 위하여 평행부분의 경간을 50[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2경간 구성으로 하는 경우도 2경간의 합이 50[m]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에어 조인트(Air Joint)
※ 섹션오버(Section Over)
역구내나 기지구내에서 입환작업을 할 때 역구내의 측선 및 건널선 개소의 섹션에서 가끔 전동차가 활선측을 판타그래프에 의해 단락되어 지락 접지사고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섹션오버 또는 판오버라고 하며, 정전측에서 보수작업을 하고 있을 경우 가선전압이 그대로 접지선에 지락되므로 작업원의 인명과 관계되는 매우 위험한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전정지에 따라 위와 같이 주의를 요하는 섹션은 관계부서와의 연락을 철저히 하고관련규정에 의하여 규정된 위치에 판타그래프 내림 예고표와 내림표를 설치하여 작업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해야 한다. 이때 만약 섹션오버가 일어난 경우에 단락된 섹션은 심한 아크에 의해 용손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지락점과 함께 신중하게 검사를 해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전선가선공사 (0) | 2017.10.16 |
---|---|
순환전류의 방지대책 (0) | 2017.10.16 |
균압장치 보전상의 주의 (0) | 2017.10.16 |
장력장치 보전상의 주의 (0) | 2017.10.16 |
판타그래프 동작원리 (0) | 2017.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