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압장치 보전상의 주의

 

전동차의 운행 시 판타그래프의 진동과 자체피로에 의해 코넥터가 이완되고 아래로 쳐질 염려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1. 접속의 완전 확인


가선구성상 전류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어와 전차선과의 접속이 완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크램프가 전차선홈과 완전하게 물려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과 물린 크램프가 미끄러져 나가는 일이 없는지를 조사하여 접촉불량에 의한 온도상승을 방지한다.


2. 소선단선의 조사


균압선은 설치위치가 기계적 진동이 심한 개소에 많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선의 이동과 진동으로 인해 크램프와 리드선과의 압축개소 또는 스프링 등의 위치에서와 같이 소선 단선이 많이 일어난다. 이경우 단선되면 아래로 쳐져서 판타그래프의 충격파손을 야기시키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3. 리드선의 당김


가선의 흐름 등으로 리드선의 여유보다 더 많이 가선이 이동할 때에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즉 균압선이 과장력을 받아 신장 절단되어 전차선을 위로 당겨 올라오게 한다.

판타그래프는 이런 개소에서 이선되어 아크를 발생하며 도약이 일어나 전차선에 국부마모를 발생시킨다.


4. 온도관리


설치개소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저항을 줄여서 온도상승이 적도록 한다.

특히 온도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곳은 T-T 균압선으로 에어죠인트와 건널선의 설치개소는 부하전류의 접촉점으로 되어있어 매우 중요한 설비이다.

이곳에 시온테이프를 첨부하여 점검 시 마다 온도상승을 관리하여야하며 온도상승으로 크램프 및 리드선의 변색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


5.  리드선과 크램프 접촉개소의 부식방지


T-M-M-T 균압선 및 M-T 균압선을 설치할 때 리드선과 크램프와의 접촉되는 개소에는 동 스리브를 빗물, 먼지 등의 불순물로 인한 화학작용으로 소선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도전성 그리스를 발라서 삽입 설치한다.

6. 외관검사 철저

리드선의 열화, 온도관리, 설치상태 등은 시설물 점검 시에 개별검사에 의해 외관검사로 확인하고 특별히 불량 개소가 없는 한 리드선의 대체는 전차선, 조가선 등과 대체할 때 함께 일괄하여 대체토록 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전류의 방지대책  (0) 2017.10.16
구분장치 보전상의 주의  (0) 2017.10.16
장력장치 보전상의 주의  (0) 2017.10.16
판타그래프 동작원리  (0) 2017.10.13
접지공사  (0) 2017.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