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선(支線)
전차선, 급전선 등의 곡선로 개소에 인류장치를 설치하여 인장력 또는 수평장력이 작용하는 전주에 그 인장력 또는 수평장력에 따른 전주가 경사 또는 만곡(彎曲)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비를 지선이라 한다.
지선은 한쪽을 전주에 취부하고 다른 쪽은 전주의 근원에서 일정한 지점에 지중에 매설한 기초에 취부하여 인장력 또는 수평장력에 대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1. 지선의 종류
지선의 재질은 아연도강연선으로서 55[㎟]와 90[㎟], 135[㎟],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도시철도는 90[㎟]와 135[㎟] 두 종류를 쓰고 있다.
또한 사용목적에 따라 단지선(보통지선), V지선, 2단지선, 수평지선, 궁형지선 등이 있으며 종류는 아래 그림과 같고 도시철도는 V지선을 쓰고 있다.
지선의 종류
2. 지선의 설치
(1) 설치각도
지선이 전주와 이루는 각도는 45°를 표준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최저 30°로 할 수 있다.
(2) 절 연 : 직류전차선로 콘크리트주 및 목주의 지선에는 전주의 지선 취부점으로 부터 약 1.5[m]의 위치에 애자를 삽입하도록 하고, 철주 및 H형강주는 접지설비를 하므로 애자를 설치하지 않는다.
(3) 안전율 : 2.5이상
3. 지선 기초
전주의 수평장력이나 횡장력을 지지하는 지선은 인장력에 충분히 견디는 기초를 설비하여야 한다.
지선 기초
4. 지선의 강도계산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지선의 안전율은 2.5이상으로 하며 허용인장하중의 최저치는 500[㎏]으로 하고 있다. 지선의 강도계산은 단지선과 V지선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1) 단지선의 강도 계산
1
P1 ≥ 2.5 T1----------
sinθ1
(2) V지선의 강도 계산
1 1
P2 ≥ 2.5 T2 -------- P3 ≥ 2.5 T3 --------------
sin θ2 sin θ3
여기서
T1, T2, T3 : 수평외력 [㎏]
T1', T2', T3' : 지선에 작용하는 장력[㎏]
P1, P2, P3 : 지선용 재료의 항장력[㎏]
θ1,θ2,θ3 : 지선과 전주가 이루는 각도[°]
2.5 : 지선의 안전율
5. 지선의 보전상 주의
지선은 전차선로 및 급전선로 인류주의 만곡, 절손, 도괴 등을 방지하는 중요한 설비이며 이 지선의 이완 또는 단선은 중대한 사고와 연결되므로 지선의 소선 및 접속금구의 부식손상에 대해서는 노후기에 발췌검사를 실시하여 손상정도에 따라 일제히 새것으로 대체토록 한다.
지선 기초의 부상(浮上 : 지표면위로 솟아오르는 현상) 또는 노출(지선기초 표면의 토양이 소실되어 노출)과 지선의 이완 등에 관해서는 종합검사시에 개별검사를 실시하여 불량한 것을 보수 또는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지선 기초 부근에서 토목공사 등을 실시한 경우에는 반드시 개별검사를 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
지선설치도(철주용)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가선 일반 (0) | 2017.10.16 |
---|---|
빔 (0) | 2017.10.16 |
지지물 설비 (0) | 2017.10.16 |
판타그래프 구조 및 기능 (0) | 2017.10.13 |
용인경전철 (0) | 2017.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