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선이나 급전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두 전주 사이를 연결한 보를 빔(Beam)이라 하며 전주에 설치한 외팔보를 브라켓이라고 한다.

 

 

1. 종 류


빔의 종류에는 문형 고정빔과 기타 빔으로 구분하며, 문형 고정 빔에는 평면 트러스 빔, V형 트러스 빔, V형 라멘 트러스 빔, 사각 빔 등이 있다.






Beam 설치도



(1) 단주(A)

전차선의 인류개소에서 단독으로 인류주와 전주경간에 있어서 곡선당김금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전차선의 정해진 편위가 나오지 않을 때 또는 급전선을 별도의 방향으로 가설하는 경우 특수한 개소에만 사용된다.


(2) 고정브라켓(B)

() 단선 구간의 역간, 역구내 등에서 한쪽편으로 한선의 전선만을 지지하는 개소에 설비한다.

() 외팔 빔의 규격

65mm×65mm×8mm 또는 75mm×75mm×9mm형강을 사용한다.

() 보강용

ψ16[mm]의 롯드와 90[]의 아연도 강연선 사용함.


(3) 가동브라켓(C)

브라켓 본체와 전주와의 접합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로이 좌우로 회전하여 조가선과 전차선이 온도변화에 의해 신축 하므로서 생기는 전선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은 장간애자에 의해 전주와 절연되어 있다.

 

() 가동브라켓의 종류

1) O: 곡선당김금구를 사용하여 전차선을 지지물 반대쪽에서 인지하는 형식으로 도시철도 판암차량기지의 시험선, 일반선로에 사용하고 있다 

2) I: 곡선당김금구를 사용하여 전차선을 지지물측에서 인지하는 형식으로서 도시철도 차량기지의 시험선, 일반선로에 사용하고 있다.


() 장간애자(Stem Insulator)

가동브라켓을 지지하며 전주와 브라켓간을 절연해 주는 애자로서 건조섬락전압에 비해 주수섬락전압의 저하가 적으며 그 형상은 빗물에 씻기는 효과에 비해 내오손(汚損)성이 있는 등의 이점이 있으므로 가동브라켓 방식의 채용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간애자의 구조도

 


() 브랜치 지지금구 (Branch Suspension Fitting)

전차선로 급전분기용 전선을 가동 BracketPipe에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금구를 말한다


브랜치 지지금구 (Branch Suspension Fitting) 구조도



() 가동브라켓의 장점

1) 전차선, 조가선의 지지점이 선로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온도가 변화할 경우 가선 카테너리의 구조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속운전 구간의 가선에 적합하다.

2) 지지점의 회전저항이 적으므로 선로방향에 대한 장력의 변동이 적다.

3) 절연애자가 전주와 결합되는 경계에 삽입되어 있어 곡선당김, 진동방지장치는 단독으로 절연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하중에 의한 전차선의 경점을 적게 할 수 있다.

4) 조가선이 절연애자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지물의 높이가 감소되며, 또한 지지점에서의 풍압에 의한 편위의 변화가 적게 된다.

5) 지지 빔은 선로방향의 하중에 대한 응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임은 경량화 된다.

6) 빔 전체가 절연되어 접지부와의 이격이 크므로 활선작업을 할 때 안전도가 높다.

7) 절연애자를 전주와 결합되는 경계에 설치함으로 보호설비의 배선이 용이하다.

() 가동브라켓의 단점

1) 가동브라켓은 선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회전에 의해 전차선이 궤도 중심으로부터 편위되어 허용편위를 초과하게 되면 전차선으로부터 판타그래프가 이탈할 위험이 있으므로 표준상태에 있어서의 편위를 적게 선정해 둘 필요가 있다.

2) 가동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 지지주는 일반적으로 단주를 사용하므로 풍압 등의 하중에 대해서 견딜 수 있도록 기초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3) 가동브라켓 방식은 복잡한 역구내선로에는 사용이 곤란하다.

4) 장간애자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자기부분의 본체가 파손될 경우 빔이 탈락하게 된다.

 

(4) 문형고정빔(E)

문형고정빔은 평면트러스빔, V형트러스빔, V형라멘트러스빔, 4각빔 등의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대전도시철도는 기지와 본선 U-Type구간에 V형 트러스빔을 사용하고 있다.

() V형 라멘트러스빔

V형 라멘트러스 빔의 구조는 V형 트러스빔과 같으나, 하부주재를 전주에 설치하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 전주에 빔을 설치할 때 전주에 설치하는 지지점의 폭이 크면 전주가 넘어질려고 하는 힘이 작용할 때에 그 하중을 전주의 지표면 부분과 빔 설치점에 분산시킬 수가 있으므로 장대빔과 중하중 빔에 적용하며 도시철도는 차량기지에 시설하였다.


V - Truss Beam 상세도



() 4각 빔

주재는 등변형강 4개를 구형의 정점에 배치하고 이것을 별도의 등변형강 또는 평강으로 조립한 것을 철주의 가셋트프레이트에 의해 완전하게 고정하며 대전도시철도는 본선 U-Type구간에 적용되어 있다.

1) 장점

- 뒤틀림이나 휨에 강하다.

- 장대 빔이나 수평 하중이 큰 중하중에 적합하다

- V형 빔 이상 길이의 것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2) 단점

- 재료비가 V T-russ Beam에 비해 많이 든다.


4각 빔 구조도



. 비임의 보전상 주의

(1) 노후기에 방청도장을 계획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시설후 하중의 증가 등 사용조건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강도상의 적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2) 순회점검 시 고정빔의 만곡, 비틀림 경사 및 밴드의 흘러내림이 없는지를 점검한다.

(3) 가동브라켓 설치구간에는 인류구간의 중간점에 흐름방지가 설치되어 있으나 온도변화에 따른 동작상태에 관해서는 종합점검 시에 개별검사와 외관검사를 실시하여 이동이 심한 것은 조정한다.

(4) 가동브라켓은 주기적으로 3년에 1회 이상 이완상태를 확인점검하고 스프릿핀의 부식, 탈락을 확인 보완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한계 및 건축한계   (0) 2017.10.17
조가선 일반  (0) 2017.10.16
지 선(支線)  (0) 2017.10.16
지지물 설비  (0) 2017.10.16
판타그래프 구조 및 기능  (0) 2017.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