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 교육
1. 감전 및 전기화재 발생원인
1) 규격외 전선 사용으로 인한 과부하로 발열 화재발생
부하에 따른 전류계산하여 적절한 전선사용 할것.
2) 비전문가에 의한 부적절한 연결, 접속 - 발열, 화재발생
3) 문어발식 작은 용량의 콘센트에 많은 Plug사용
대부분의 이동용 코드의 전류는 10A 미만으로, 부하에 따라 적절한 Cable사용 할것.
4) 물과 습기가 많은 곳에서 전기기기 사용 및 방치
절연저항저하 및 절연 Tape등의 피복이 벗겨져 심선노출, 감전사고 발생
2. 감전 및 전기화재 예방, 조치 요령
1) 적정용량, 규격용량 전선사용 – 전문가와 상의 하여 규격전선 사용
2) 접속, 연결은 전기 전문가에 의하여 작업 실시.
3) Cable, 전선 중간에 절대 접속점 만들지 말 것 – 반드시 Junction Box나 배전반 내부에서 접속 – 부득이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무Tape와 비닐Tape를 혼용 사용.
4) 차량 , 장비등이 지나가는 길에는 Steel pipe등으로 보강하여 매설.
5) 이동용 작업 전선은 최대한 짧게 포설하고, Slab와 Scaffolding이 세워지면, 전기 Cable은 전부 공중 에설치, 바닥에 깔지 말 것 – 걸려 넘어지거나 Cable 손상
6) 맨손이나 젖은 장갑을 끼고 전선, 전기기기를 만지지 말 것.
7) 모든 전기기기, 콘센트, 플러그는 접지를 실시하고, 절대 접지선을 잘라내지 말 것(녹색선)
8) 전기 배전반, 분전반 열쇠는 가능한 시건장치를 만들지 말고, 꼭 필요해서 만든 경우 Key는 가까운 곳에 보관하여 긴급사고 발생시 즉시 스위치 OFF 가능토록 할 것.
9) 모든 전기기기(Grinder, Drill, 용접기, Motor류 등)은 정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불량시 수리, 폐기할 것.
10) 배전반 작업시 해당회로에 작업중 표시 하여 오조작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전 Pre Job Talk를 실시 작업에 대한 충분한 협의 후, 작업실시 할 것. – 모든 전기작업은 2인 1개조로 실시할 것.
11) 전기작업시 Short에 의한 Arc로 화상 및 눈에 치명상을 입히므로, 보호안경 및 보호장구 필히 사용할 것 – 전기화상은 치유 회복이 안됨.
12) 발전기, Motor, Pump 용접기등 전기기기에는 필히 규격용량의 접지선(Yellow-Green)으로, 확실하게 접지 할 것.(철근 사용절대 금지 – 전기 Shop에서 접지봉 및 클램프를 제공하고 있음)
13) ※ 접지 : Earthing : 유럽식 표현, Grounding : 미국식 표현
14) 탱크, 맨홀등 밀폐된 곳에서의 전기작업, 용접작업시 감시자 1명을 두고 작업실시 할 것.
15) 아크 용접기는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므로 홀더 파손, 케이블 손상시 즉시 교체 할 것 – 전격 방지기 설치 되어 있어도, 고장등으로 기능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16) 전기 누전차단기(ELB – Earth Leakage Breaker)는 오직 대지와의 접지사고 발생시 동작하므로 두손으로 접촉시 차단기능이 없어짐,
17) 감전사고 발생시 신속히 스위치를 OFF하거나 나무, PVC Pipe등을 이용. 감전자와 전기기기로부터 분리 시킬 것 – 전선이나 전기기기에 붙어 떨고 있거나 미동인 경우는 100% 전기 감전상태임.
18) 감전자 발견시 절대 맨손으로 접촉하여 2차 감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 할 것 – 당황하여 급한 마음에 떼어 놓으려다 2차 감전사례가 많음.
19) 감전자 분리후 즉시 인공호흡 실시 후 병원 후송 – 인공호흡요령은 HSE 응급요령과 동일(각 변전실에는 응급 처치 기구 비치함)
20)형식적인 Color Coding이 아닌 실제적으로 올바른 상태의 전기기기인지 점검후 Coding실시 – Color Coding은 HSE Code Schedule에 따름.
3. 감전사고 유형
1) 저압
혼자의 힘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붙어 안떨어짐. 의식은 있으나 근육이 굳어 몸이 움직이지 않음 – 개구리가 쭉 편상태와 동일.
2) 고압
전기 자장에 의하여 안전거리 이내 접근시 튕겨나감.
예) 11KV 안전거리 30Cm – 저압네온드라이버로 호기심에 접촉시 감전사고 발생. 주의요망.(절연 재질의 기술개발로 향상되고 있음)
4. 대책
1) 대부분의 전기사고는 접촉에 의한 직접사고보다, 추락등의 2차 사고에 의하여 치명상을 입게 되므로 보호장구 착용을 철처히 할 것.
2)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과 자신과 가족을 위하여, 우리모두 안전에 최선을 다하십니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재관리(운반) (0) | 2017.10.18 |
---|---|
위험예지 훈련 (0) | 2017.10.17 |
전도재해 사례 및 예방대책 (0) | 2017.10.17 |
급전선가선공사 (0) | 2017.10.16 |
순환전류의 방지대책 (0) | 2017.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