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말 대전특성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과 분말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대부분 발생


1) 제조과정

  ① 대상물과 분쇄기 간에 충돌, 파괴, 마찰 대전현상이 발생

  ② 고속 분쇄기의 경우 분쇄기의 강력한 마찰에 의하여 정전기가 대량으로 발생


2) 이송과정

  ① 분체와 파이프라인의 마찰에 의한 마찰대전, 저장하는 단계에서 분출대전이 발생

  ② 파이프라인의 구부러진 부분이나 필터 등의 부분에서 대량의 정전기 발생

  ③ 파이프의 벽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전기가 많이 발생



2. 분말로 인한 정전기 대전 방지대책


1) 폭발성, 인화성 분체의 경우

  ① 정전기 감시구역이나 특별제한구역을 설정


  ② 정전기의 발생 및 축적상황을 자동감시

  ③ 정전기의 축적이 위험레벨에 달하였을 때 자동경보


2) 시설대책

  ① 파이프는 금속제를 사용하고 이송 면을 매끄럽게 한다.

  ② 배관은 굴곡부분이 없도록 설계한다.

  ③ 경제적으로 허락하는 한 가능한 굵은 배관을 사용한다.

  ④ 접지시설, 온도, 습도 등 정전기 완화 측면의 대책을 고려한다.

  ⑤ 분체에 도전성 첨가물 혼입이나 불연성가스의 주입 등


3) 운영면의 대책

  ① 정전기의 발생상황을 예측하여 정전기의 완화상태를 상시확인

  ② 정전기 관련 감시제어 기기나 제전장치 등응 정기적으로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제도화


4) 교육적 대책

  ① 분체의 제조 및 운송에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한 재해 예방교육

  ② 해당설비의 작업자 정기 및 수시 교육 실시


5) 기타대책

  - 분진이 비산하는 장소에서는 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치 내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및 탄산

    가스 등) 등을 투입하든가 폭발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설비설치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계의 안전도 향상대책  (0) 2019.07.05
전력케이블 방화대책  (0) 2019.07.01
아크현상 방지대책  (0) 2019.06.27
코로나방전 방지대책  (0) 2019.06.27
지중전선로 작업 시 안전대책  (0) 2019.06.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