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력케이블 설계, 시공 시 고려사항


1) 단락

  ① 열적 용량

     - 통전에 의해 I 2 t 줄열 발생 - 도체의 온도 상승

    - 수초 이하의 단락전류 - 도체온도 상승으로 소비

    - 단락 시 허용전류 계산식

         CV의 경우 Is = 134 A/√ t

  ② 전자력

   - 두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력 작용

   - 전류가 같으 ㄴ방향 : 흡인력

   - 전류가 반대방향 : 반발력


2) 신축

  ① 신축방지대책

   - Bus-duct의 신축 : 익스팬션 조인트 설치

   - 수평 부설된 케이블 : 적당한 거리마다 맨홓 설치

   - 수직 부설된 케이블 : 자중고려

   - AL Cable 사용, 조밀하게 고정금구로 고정


3) 진동

  ① 건물의 진동 : 진동주기 검토

  ② Bus-duct 진동 : Spring Hanger 사용



2. 관리상 방화대책


1) 케이블 선로의 방화대책

  ① 선로 설계의 적정화

  ② 보호계통의 적정화

  ③ 접지계통의 검토

  ④ 배선방법의 검토

  ⑤ 케이블 종류, 규격검토


2) 점검 및 보수

  ① 이상점검

  ② 절연진단

  ③ 공사중의 부주의 : 용접불꽃


3) 케이블의 남연화, 불연화

  ① 난연, 불연 케이블 채용 : MI, 고난연, FR-8, FR-3

  ② 케이블 방화보호 : 모래채우기, 방화시트, 방화 Tape


4) 케이블 관통부위 방화 Seal

  ① 구획 관통부 방화 Seal

  ② 판넬 하부

  ③ Pit, Duct 내의 격벽


5) 케이블 화재 검지

  ① 케이블 이상온도 검지

  ② 화재 검지 시스템 채용



3. 케이블 연소 용이성 및 고난연성 케이블


1) 케이블 화재의 위험장소

  ① 축열 효과 : 밀폐 Duct, Pit 내부

  ② 굴뚝 효과 : 수직 Duct, Shaft


2) 연소방지를 위한 사용 케이블

  ① 고난연 케이블 : PVC 시스케이블+고난연성 재료도포

  ② 불연 케이블 : MI 케이블


3) 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① Cable Rack : 내열 Seal로 충전

  ② 전선관 : 관통부의 전후 1(m) 불연재 도포

  ③ 분전반, 제어반 : 내열판, 내열 Seal로 화재 전달방지


4) 기설 케이블 난연화 대책

  ① 연소방지 도료 도포 : 난연성 피복 형성

  ② 방화 테이프 감기 : 단선 케이블 표면에 Taping

  ③ 연소방지 시트설치 : 케이블 위 방화시트 설치


5) 케이블 선로의 화재 감지

  ①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② 단선배선 : 케이블을 따라 설치

  ③ 다선배선 : 전체 케이블을 접촉할 수 있는 지그재그 설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