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점검 시 참고자료로서 법 위반 외에도 안전점검과 관련된 포괄적인 착안 사항임
1. 관리분야
1) 안전보건시스템
❍ 안전관리체계 구성·운영 여부 및 적정성
❍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 및 이행실적 관리여부
❍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 여부
❍ 각종 작업에 대한 작업지침서(매뉴얼 포함) 등 작성 여부
❍ 화재 및 응급사항 발생시 조기 대응체제 구축 여부
❍ 도급작업에 대한 계약조건(안전보건 분야) 적정여부 등
2) 안전보건관리체제
❍ 법적 안전보건관계자 선임 및 활동 여부
❍ 법적 직무교육 이수 여부(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보건관리자)
3) 도급사업에 있어서의 안전보건조치
❍ 안전보건에 관한 협의체 구성·운영여부
❍ 작업장의 순회점검 실시 여부
❍ 수급인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지도 및 지원 여부
❍ 도급사업 합동안전보건점검 실시 여부
❍ 작업환경측정 실시여부
❍ 작업 장소에서 화재사고 발생에 대비한 경보의 운영과 수급인 및 수급인의 근로자에 대한 경보운영 사항의 통보
❍ 석탄 이송설비의 정비·보수·운전 관련 작업지침서(매뉴얼 포함) 이행확인 여부
4) 산업재해보고
❍ 산업재해 발생보고 의무 이행여부(재발방지계획서 작성 및 개선여부 포함)
5)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설치·운영의 적정성 여부
❍ 산업안전보건분야 합의사항 등 이행실태 여부
6) 위험기계·기구 및 설비 관리실태
❍ 인증제품 구매 및 안전검사 실시 여부
❍ 위험기계·기구 안전장치설치 및 실태관리 여부
7) 안전보건교육
❍ 법정 안전보건교육 실시 여부
* 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 채용시, 정기, 작업내용 변경시, 특별교육 등
8) 근로자 건강진단
❍ 법적 건강진단 실시 여부(일반, 특수, 배치전 건강진단 등)
* 야간작업에 따른 배치전·특수건강진단
❍ 일반 유소견자, 직업병 유소견자 관리 및 사후조치 여부
2. 안전보건 분야
1) 안전분야
❍ 작업장 통로의 설치 등의 적정성
❍ 추락에 의한 위험방지 조치의 적정성
❍ 크레인 등 양중기를 이용한 중량물 취급작업시 재해예방 적정성
❍ 위험기계·기구의 방호장치 관리의 적정성
❍ 동력기계에 의한 협착 재해예방조치의 적정성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의한 재해예방조치의 적정성
❍ 개인보호구 지급·착용의 적정성
❍ 소화설비의 관리의 적정성 등
2) 보건분야
❍ 물질안전보건자료 관리의 적정성
❍ 밀폐공간작업에 대한 안전조치의 적정성
❍ 근골격계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의 적정성
❍ 휴게시설 설치, 음료수 비치 및 보호구 관리의 적정성
3. 건설 및 유지·보수작업 안전분야
❍ 대정비 작업 등에 대한 안전작업계획 수립 및 이행 확인
❍ 유해·위험작업 작업계획 및 허가서 발행, 작업절차 준수 여부
❍ 위험작업공정에 대한 작업지휘자 배치여부
❍ 거푸집 및 거푸집 동바리 설치 안전조치 여부
❍ 추락·낙하에 의한 위험방지 조치여부
❍ 굴착작업 등으로 인한 붕괴예방조치 여부
❍ 가설기자재 인증품 사용 여부
❍ 각종 가시설물 설치상태의 적정성
❍ 각종 건설기계기구에 대한 작업계획서 작성 및 준수여부
❍ 개인보호구 지급·착용의 적정성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 및 목적외 사용여부
❍ 건설공사 안전관리자 선임 또는 기술지도계약 체결여부
4. 안전작업방법
1) 고소작업
❍ 임시 가설된 비계 상부에서의 추락위험 방지조치
❍ 작업발판 미설치·미고정 및 개구부에서의 추락위험 방지조치
❍ 고소작업대에서의 추락위험 방지조치
❍ 고소지역 이동시 사다리 등에서 추락위험 방지조치
2) 용접작업
❍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에서의 가스용접 작업에 대한 적정성
❍ 용접봉 홀더의 신체접촉으로 인한 감전위험 방지조치
❍ 용접시 발생되는 흄 및 가스에 의한 안전조치
❍ 불꽃, 불티에 의한 화상 및 화재발생 위험 방지조치
3) 전기일반
❍ 노출된 충전부 접촉에 의한 감전재해 위험 방지조치
❍ 누전으로 인한 감전재해 위험 방지조치
❍ 전선 피복손상으로 인한 감전, 화재위험 방지조치
4) 가스취급 일반
❍ 연결된 호스 및 연결부위 손상으로 가스 누출 및 화재위험 방지조치
❍ 가스용기 등 전도방지 조치
❍ 용기 주위에 가연성 물질 비치로 인한 용기 폭발 방지조치
5) 중량물 운반작업
❍ 지게차 편하중 적재로 인한 자재 낙하 위험 방지조치
❍ 크레인 작업시 신호수 배치 등 안전조치
❍ 와이어로프 결함 및 줄걸이 작업방법 불량에 의한 자재 낙하위험 방지조치
6) 고소작업설비 안전조치
❍ 고소작업차 작업대에서 작업자 추락위험 방지조치
❍ 경사진 곳에서 작업중 고소차 전도위험 방지조치
7) 밀폐공간작업
❍ 산소결핍에 의한 중독 위험 방지조치
❍ 가연성 가스체류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 방지조치
❍ 밀폐공간보건작업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여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폭염 국민행동요령 (0) | 2020.09.09 |
---|---|
열사병 예방 3대(물, 그늘, 휴식) 기본수칙 이행가이드 (0) | 2020.09.09 |
안전점검의 날 (0) | 2020.09.09 |
안전보건점검 체크리스트 (0) | 2020.09.08 |
위험요인 관리계획 및 기준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