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간(軌間) :
-레일간의 촉 다시 말하면 양측레일의 머릿부분 최단거리가 1435mm인 표준궤간를 기본으로 하고 그보다 좁은 것을 협궤, 넓은 것을 광궤라 한다.
-궤간은 지형, 수송수요, 경제성, 문화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감안하여 선택하지만 1800년대 후반 제국주의자들의 식민지 지배가 유행하던 시대와 일치하고 있어 철도기술을 전해 준 지배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 철도에는 광궤선과 협궤선의 2종류가 있었으나, 한국철도의 마지막 협궤선인 수원-송 도간 수원선은 96.1.1로 이미 폐선 되었다.
① 광궤선 : 레일 면에서 밑으로 16mm점의 상대편 레일두부 내측 간 최단거리가 1.435m인 선로보다 넓은 선로
② 협궤선 : 레일 면에서 밑으로 12mm점의 상대편 레일두부 내측 간 최단거리가 1.435m인 선로보다 좁은 선로
세계 각국 궤간의 종류
구 분 |
궤 간 (m) |
국 가 명 |
광 궤 간 |
1.676(5'-6") 1.600(5'-3") 1.524(5'-0")
|
인도․ 알젠친․ 칠레․ 파키스탄․ 스페인․방글라데시․스리랑카 브라질․ 아일랜드 ․호주 러시아 (시베리아철도)․, 핀랜드
|
표준궤간 |
1.435(4'-8 1/2") |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이태리․ 알젠친․ 중국․ 일본․ 한국․ 일본의 신간선․이란․ 이라크 |
협 궤 간 |
1.067(3'-6") 1.000(3'-3/8") 0.914(3'-0") 0.762(2'-6") 0.610(2'-0") |
일본의 재래선․필리핀․벨기에․스웨덴 이집트․알제리아․폴랜드․스위스 멕시코․쿠바 일본사철 일부․유고․체코․오스트리아․구 수인선 (폐선) 베네주엘라․아프리카․인도일부 |
(참고문헌) :「철도차량」일본철도기술연구소 펴냄 pp5~10
세계 여러 나라의 선로구조
나 라 이 름 |
최대축중(t) |
최고속도(km/h) |
도상두께(mm) |
간선의 레일중량(kg/m) |
독 일 |
20 |
120 |
300 |
49 |
영 국 |
21 |
129 |
305 |
47~50 |
미 국 |
33 |
129 |
457 |
60~75 |
캐 나 다 |
29 |
120 |
305 |
50~65 |
일 본 |
18 |
100 |
200 |
50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종 동력차 개요 및 제원표 요약 (0) | 2007.10.10 |
---|---|
철도건설 기준 (0) | 2007.10.04 |
각종 제한 속도 (0) | 2007.10.01 |
고 속 차 량 (KTX) (0) | 2007.10.01 |
전 기 기 관 차 (0) | 2007.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