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의 종류
1. 연소속도에 따른 구분
1) 정상연소
연소에 필요한 산소공급이 일정속도로 이루어져 일정한 속도로 진행되는 연소
2) 비정상연소
일정한 연소속도로 연소가 진행되지 않는 연소
(1) 발열속도 < 방열속도
온도가 발화점 이하가 되어 연소가 정지, 소화되는 연소
(2) 발열속도 > 방열속도
열의 축적에 의해 반응속도가 증가하여 폭발 또는 폭굉 현상이 발생되는 연소
(3) 연쇄 운반체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반응 속도가 빨라져 폭발에 이르게 되는 연소
2. 연소의 형태에 따른 분류
1) 기체연소 : 확산연소(발염연소)
2) 액체연소 : 증발연소, 분해연소
3) 고체연소 : 표면연소, 분해연소, 증발연소, 자기연소
3. 가연물 종류에 따른 연소현상
1) 기체연소
(1) 예혼합연소(혼합연소, premixed burning)
가연성 기체와 산소가 미리 혼합된 상태에서 이뤄지는 연소
(2) 확산연소(비혼합연소, diffusive burning)
가연성 기체와 산소가 상호 확산에 의해 혼합되어 이뤄지는 연소
2) 액체연소
(1) 분무연소(액적연소, spray combustion)
액체입자를 분무기를 통해 미세한 안개상으로 만들어 연소하는 현상.
(2) 등심연소(심화연소, wick combustion)
(3) 액면연소(pool burning)
증기압이 낮고 열분해가 일어나기 쉬운 액체에서 발생된 기체가 공기와 확산연소하는 현상
(4) 증발연소(evaporating combustion)
액체표면에서 발생한 가연성 증기가 기체와 같이 연소하는 현상
3) 고체연소
(1) 연기연소(smoldering combustion)
(2) 분해연소(decomposing combustion)
종이, 목재, 석탄, 플라스틱 등의 가연물이 고온에서 열분해가 진행되어 가연성 가스와 산소가 결합하여 표면에서 연소하는 현상
(3) 증발연소(evaporating combustion)
열분해 되지 않고 액상으로 용융된 후 액체와 같이 증발하여 연소
(4) 표면연소(sutface combustion)
목탄(숯), 코크스, 금속분 등이 열분해 되지 않고 고체표면이나 내부공간으로 확산하여 물질 자체가 연소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형별 응급처치 (0) | 2008.10.29 |
---|---|
연기(연소생성물)의 유해성 (0) | 2008.10.29 |
화재의 종류 및 소화 원리 (0) | 2008.10.29 |
CO2 방출시 조치요령 (0) | 2008.10.13 |
기상특보의 발표기준 (0) | 2008.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