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연로 폭(輪緣路 幅, flangeway width)

윤연로폭은 본선 레일의 궤간선과 가드레일 측면과의 거리를 말하며 윤연로를 통과하는 모든 차륜의 플렌지 두께와 차륜의 내면 및 플렌지 외면거리와 궤간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윤중(輪重, wheel load)

차륜에 의하여 궤도에 가해지는 수직의 힘을 말하며, 정지시의 압력(축중의 1/2 크기)외에 주행시에는 곡선 통과시의 전향 횡압 및 불균형 원심력이나 차량동요의 관성력 등에 의하여 좌우의 윤중차가 생긴다.

 

응급복구(應急復舊, emergency rehabilitation)

재해 등으로 선로침수, 교대 및 교각의 세굴, 전도, 둑 붕괴, 유실 등을 임시로 가복구하는 것을 말한다. 열차를 서행 운전시키며 본복구를 한다.

 

응급 이음매판(應急 이음매板, emergency joint bar)

레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응급이음매판을 임시로 설치하고 열차의 안전을 확인하면서 서행으로 통과시켜 손상레일을 갱환한다.

 

이격도(Separating-Distance Diagram)

통신선과 전력선간의 이격거리를 나타낸 도표

 

이론 교차점(理論 交叉點, theorelical(mathematical) point)

분기기의 크로싱부에서 두 궤간선의 교점(交點)을 말하며 크로싱 교점이라고도 한다. 포인트부에서는 기본레일의 궤간선과 텅레일의 궤간선의 교점을 말한다.

 

이선진입(異線進入, running in the wrong track)

열차 또는 차량이 진입할 정당한 선로로 가지 않고 장애, 기타 조건으로 다른 방향의 선로로 진입하는 것, 즉 분기기 등에서 진행방향의 선로로 진행하지 않고 다른 선로로 진입하는 것을 말한다.

 

이음매 구멍(joint(or splice) drilling, track bolt hole)

이음매판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 구멍을 말하며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을 극도로 구속하지 않도록 볼트와 구멍간에 약간 여유를 둔다.

 

이음매 부속품(이음매 附屬品, rail joint accessories)

보통의 이음매에서는 한쌍의 이음매판을 측면에 붙여서 볼트, 너트, 록크 너트 와셔(lock nut washer) 등으로 긴체한다. 여기서 볼트, 너트, 록크 너트 와셔 등을 이음매 부속품이라 한다.

 

이음매작업(이음매作業, rail joint work)

이음매판 볼트의 기름치기, 이음매판과 부속품의 재료 갱환 등을 말하며 연1회 이상 해체

점검하여야 한다.

 

이음매처짐(rail batter in joint)

레일단부의 이음매가 차륜 충격 등에 의하여 영구변형을 일으켜 이음매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음매침목(이음매枕木, joint tie)

레일이음매 부분에 사용하는 침목을 말하며 목침목을 사용한다. 이음매침목은 이음매부의 차량충격 등 큰 하중을 감당하기 위하여 보통침목보다 폭이 약간 크다.

 

이음매판(이음매板, fish plate, joint bar, splice bar)

레일과 레일을 접속하는 판을 이음매판이라 한다. 이음매판을 대별하면 보통 이음매판, 이형이음매판, 절연이음매판의 3종류가 있으며, 보통이음매판은 단면형상에 따라 단책형(短冊形), L형, I형으로 분류된다.

 

이음매판 갱환(이음매板 更換, joint-bar renewal)

이음매판이 균열되었을 때, 또는 마모, 부식, 손상 등이 심한 때에는 이음매판을 갱환한다.

 

이음매판 너트(이음매板 너트, fish plate nut)

이음매판과 레일을 적당한 힘으로 긴체하기 위하여 이음매판 볼트와 너트가 필요하다. 너트의 재질은 볼트보다 약간 연질의 것이 좋다.

 

이음매판 볼트(이음매板 볼트, fish plate bolt, track bolt, joint bolt)

이음매판을 긴체하기 위한 볼트는 두부를 구형(球形) 또는 4각형으로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