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의 원리 및 방법

 

연소의 3요소 중 한가지 요소만 제거해도 발화 또는 연소는 일어나지 않으며, 일반적인 발화의 억제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물에 의한 방법(냉각소화)

물은 목재나 종이류, 판지 기타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물질과 가구류 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의 연소에서 열을 냉각 시키는 수단으로 가장 효과적이다.

 

나. 산소차단 방법(질식효과)

산소는 대기중에 20.9% 정도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항시 연소에 필요한 산소는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소화에 필요한 탄산가스나 질소가스를 투입하여 산소율(%)을 인위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산소의 희석은 증기의 형태로 가능하며, 이 증기는 일정하게 구획된 장소의 화재에서 물에 의한 소화 과정에서도 발생하게 된다.

 

다. 제거 소화방법

가연물을 연소가 되기 전에 격리조치 하는 방법으로 이미 연소하고 있는 가연물의 일부분을 절개(파괴). 분리하여, 연소의 확대를 중단시키는 소화방법이다. 예를 들어 가스나 유류를 배관을 통하여 송유하는 경우 개폐밸브를 막아 연료를 차단한다든가 대 화재의 경우 일정 범위내에 있는 건축물을 제거하고 방화선(공지확보)을 구축한다든지 하는 방법 등이 해당된다.

 

라. 연소 억제방법

할로겐 화합물이나 알칼리 금속을 화염 속에 투입하면 투입물 그 자체 또는 열분해에서 생기는 생성물이 연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원자나 연소물과 반응하여 불활성 물질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연소가 억제된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난유도 및 대피요령  (0) 2008.12.15
발화초기의 안전조치  (0) 2008.12.15
연소생성물질  (0) 2008.12.15
화재의 정의  (0) 2008.12.15
전기화재 원인에 대하여  (0) 2008.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