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접지와 공통접지 비교
구분 |
공 통 접 지 |
단 독 접 지 |
장점 |
◦ 뇌전류로 인한 각각의 장비간의 전위차 를 발생하고 등전위 구성으로 뇌전류와 고장전류를 여러 접지전극에서 동시에 대지로 방전 ◦ 접지선이 짧아지고 접지배선 및 구조가 단순해서 보수점검이 쉽다 ◦ 각 접지전극이 병렬로 연결되므로 합성 저항을 낮추기가 용이하며 건축의 철골 구조체를 연결하여 접지성능 향상 ◦ 여러설비가 공통의 접지전극에 연결되어 등전위가 구성되어 장비간의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 시공시 접지봉 수를 줄일수가 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
◦ 뇌전류로 인한 기기손상시 다른 시스템 을 보호할 수 있음 ◦ 접지의 성능악화나 접지손상시 독립적 으로 장비나 설비를 보호할수 있다. |
단점 |
◦ 접지 시스템의 한계를 초과하는 문제발 생시 연결된 모든 시스템에 손상을 가져 올수 있음(기술적 대책 강구) ◦ 설비간에 연결된 접지배선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면 설비간에 접지전위차가 발생 할수 있다. ◦ 접지를 공통하고 있는 설비중 어떤 설비에서 접지전류가 발생하면 그성느 대지로 유출하나 이때 각 접지전극에는 반드시 다소간 접지저항이 있으므로 접지접의 전위가 상승한다.접지전류에 의한 전위상승이 접지를 공통하고 있는 모든 설비에 파급된다. |
◦ 시스템간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해야 만 하고 완전한 전기적 절연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 뇌전류 및 강한서지 전압유입시 시스템 간의 전위차발생(기기손상) ◦ 서지나 노이즈전류 그리고 뇌전류 유입시는 장비간에 그리고 설비간에 전위차가 발 생하여 장비나 설비에 손상을 주거나 오동작 유발 |
동작 특성 |
하나의 접지시스템에 통신,보안,피뢰등의 접지를 공통으로 연결하는 방식 |
통신,보안,피뢰 등의 기준접지저항을 달리하여 각각 분리된 접지시스템간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한 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접지방식 |
접지 설계 |
접지저항은 장비의 특성 및 외부환경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낮게 시공 |
각각의 시스템간의 완전한 절연분리가 필수이며 접지저항은 각각의 시스템에 맞게 다른 형태로 시공 |
선택 기준 |
뇌전류 및 외부서지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시스템간의 전위차를 방지하여 안정된 기기운용을 목적으로 한다. |
장비스펙에서 분리요구시 장비운용상 노이즈에 매우 민감하며 오작동 발생 예상시(절연변압기를 함께 사용권장) |
선택 국가 |
미국,유럽 |
한국,일본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퓨즈 선정상의 주의사항 (0) | 2009.02.28 |
---|---|
접 지 관 련 규 정 (0) | 2009.02.28 |
전력용 케이블 명칭 정리 (0) | 2009.02.27 |
GIPAM 사용설명서 (0) | 2009.02.14 |
GIPAM-3 (0) | 200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