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퓨즈 선정상의 주의사항
가. 정격전압은 회로의 최고 선간전압과 일치할 것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가까운 상위의 전압정격의 사용한다. 특히 한류형 고압퓨즈는 단
락전류 차단의 경우 사용회로 전압과는 관계없이 퓨즈로 결정되는 높은 아크전압을 일
으켜 이상전압 발생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비한류형 퓨즈는 과전압 발생이
없으므로 회로 전압에 비해 높은 정격의 퓨즈를 사용했다 해도 이상전압 발생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나. 부하의 돌입과도전류에 의하여 엘리먼트가 용단, 열화하지 않는 정격전류의 것을 선
정할 것
부하기동시의 과도전류 및 지속시간이 퓨즈의 허용전류 시간 특성 이내에 있어야 하는
데 특히 고압 한류형 퓨즈의 경우 열화한 퓨즈를 그대로 사용하여 통상의 과도전류로 오
용단 했을때 차단불능을 일으키는 일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다. 선정된 퓨즈는 다른 기기와의 보호 협조가 이루어져 있을 것
1) 퓨즈의 동작시간 전류특성 및 한류특성은 보호하려고 하는 기기나 회로의 허용 과전
류 특성 및 단락강도보다 아래측에 있을 것
2) 상위 보호기기의 동작시한보다 퓨즈가 먼저 동작할 것. 또 퓨즈의 허용전류 시간특
성은 하위 보호기기의 동작특성과 일치할 것
3) 퓨즈를 다른 보호기기의 백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퓨즈의 최소차단전류 이하의
영역은 보호기기가 먼저 동작하고 또한 그 동작특성은 퓨즈의 허용전류 시간특성 보
다 하측에 있을 것
라. 퓨즈의 최소차단 전류를 확인할 것
고압한류형 퓨즈중에는 일정값 이하의 소전류 범위에서는 용단은 하나 차단을 할수 없
는 것이있다.
이 때문에 최소 차단 전류의 보정값이 카탈로그 등에 반드시 명시되어 있다.
퓨즈의 소전류 차단에 대해서는 다음의 점에 주의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1) 최소차단전류 이하에서 퓨즈가 용단하지 않도록 보호협조를 고려한다. 특히 고압 퓨
즈로 과부하 보호를 한다는 것은 무리이므로 여유가 없는 작은 정격전류의 퓨즈 선
정은 피한다.
2) 자동트립기구를 갖지 않는 개폐기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고압 한류형 퓨즈는 소전류
차단 영역이 넓은 것을 사용한다.
저압 퓨즈 및 고압방출형 퓨즈는 고압한류형 퓨즈에 비해 소전류 차단이 용이하여
특별히 검토할 필요가 없다.
마. 퓨즈의 설치개소를 흐르는 단락전류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을 것
바. 개폐빈도가 많은 부하에 사용하는 퓨즈는 반복과전류 특성을 확인한다.
전동기 회로등에서 부하의 개폐빈도가 특히 많은 회로에 퓨즈를 사용할 경우 퓨즈 엘
리먼트는 기동전류에 의한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스트레스를 반복해서 받기 때문에
기계적인 피로가 축적되는 퓨즈가 있다.
- 변압기용 퓨즈 : 퓨즈 정격전류의 10배 전류를 0.1초간 통전하여 이것을 100회 반복
해도 용단하지 않을 것
- 전동기용 퓨즈 : 퓨즈 정격전류의 5배 전류를 10초간 통전하여 이것을 1000회 반복해
도 용단하지 않을 것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EC 규격의 계산 조건 (0) | 2009.02.28 |
---|---|
진상콘덴서 회로용 선정기준 (0) | 2009.02.28 |
접 지 관 련 규 정 (0) | 2009.02.28 |
단독접지와 공통접지 비교 (0) | 2009.02.28 |
전력용 케이블 명칭 정리 (0) | 200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