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드 계전기 (reed relay)

 

보조계전기의 일종으로 동작속도는 1ms 정도로 고속도 동작이나 계전기의 접점용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특징이다.

계전기 동작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금속편은 서로 흡입하게 되여 접점이 붙는데 계전기 접점의 동작, 개폐시 발생하는 아크(Arc)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유리관 내부에는 수소가스 또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가스를 주입한다. 계전기 접점의 수량은 보조계전기와 같이 다수 설치할 수 있으며 "a" "b"접점의 어느 경우라도 제작이 가능하다.


감시계전기(監視繼電器, supervision relay)

 

전기회로의 어떤 부분의 동작이나 기능의 정상유무를 검출하여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경보를 하는 기능의 계전기를 일반적으로 감시계전기라 하며 예로서는 D.C전원 Fail감시계전기, 표시선사고 감시계전기 등이 있다.


수은 계전기 (mercury relay)

 

보조계전기의 일종으로 고속동작형이므로 반송통신장치(carrier set)의 수신 릴레이 등에 사용된다. 진공유리관 속에 계전기접점을 설치하고 수은을 넣어 수은을 계전기 동작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로 이동시켜 계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고속복귀를 요하는 경우에는 동작코일과 억제코일을 동심으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고조파억제 계전기(高調波抑制  繼電器, harmonic restrained relay)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입력량에 고조파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동작이 억제되는 계전기


고속도계전기(高速度繼電器,  high speed relay)

 

계전기 기능이 특정시간(보통 3cycle)이내에 동작하는 계전기


적분형계전기(積分形繼電器, integrating relay)

 

크기에 관계없이 축적된 연속 펄스에너지에 따라 응동하는 계전기(예 열계전기)


렌즈형 거리계전기 (lens distance relay)

 

두 개의 모오형 특성이 교차되는 부분이 동작영역인 계전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