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선과 접지선 차이점

 

 단상3선식의 경우나 3상 교류계통에서 변압기를 Y결선 하는 경우에 그중성점에 접속 되는 전선(인출한선)을 말함, 배전계통에서는 일반상선 사이의 선간전압 이외에 상선(R,S,T 또는 A,B,C등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 즉 상전압의 사용이 가능하며 선간전압은 동력용으로 사용하고 상전압은 전등용으로 하는것이 보통이다.

쉽게 말씀드리면, 평상시 전류가 흐르느냐 여부로 구분을 하시면 큰 무리가 없다.

 

중성선 

 

말씀하신 것처럼 특정 상(R, S, T 또는 A, B, C)과 폐회로를 구성하여 사용되는 회로선이며, 평상시 전류가 흐르는 선입니다.


접지선

 

여러 가지 역할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인축에 대한 감전사고 방지]입니다.

또한 접지선에는 누전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반면, 절연파괴시에는 전류가 흐릅니다. 그러므로 접지가 되어 있지 않은 특정 설비에 사람이 닿으면, 인체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고, 이것을 감전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절연이 파괴된 특정 설비에 접지가 되어 있다면, 접지선으로 전류가 흐를 것이고, 이때는 사람이 절연이 파괴된 설비에 닿아도, 저항이 적은 접지선으로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감전을 당하지 않겠지요. 그리고 접지선에는 절연파괴가 아니더라도 누설전류는 흐를 수 있습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전기 대전  (0) 2010.01.04
접지용어  (0) 2010.01.04
각종 속도의 개략 값   (0) 2009.12.17
피뢰설비에 관한 기술적사항  (0) 2009.11.09
수평도체(피뢰기)  (0) 2009.11.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