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 대전
물체와 물체사이의 접촉 또는 분리․마찰․충격․유동 및 분사 등으로 인하여 전하가 축적된 상태를 말한
다.
고유저항률
한변의 길이가 1m인 정육면체의 대향면 간의 저항을 말한다. 단위는 오옴-미터(Ω-m)로 표시한다.
도전율
고유저항의 역수치를 말하며, 단위는 지멘스/미터(S/m = Ω^-1/m^-1)로 표시한다.
정전기적 접지(이하 "접지"라 한다)
대지에 대한 접지저항이 1MΩ이하인 것을 말한다. 접지설비의 관리상, 필요한 경우 1,000Ω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딩
2개 이상의 도전성 물체를 도체로 상호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정전기 스파크
서로 접촉되지 않은 근접된 2점 사이의 간격을 통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방전현상을 말한다.
가습
수증기의 분무 등을 통하여 공기중의 상대 습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섬유․목재․종
이․콘크리트 등의 절연성 물질은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상대습도 50% 이상에서는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 도전성을 갖게 되어 정전기가 잘 축적되지 않으나, 표면이 가열된 물질이거나 플라
스틱 종류, 석유류 등과 같이 흡습성이 적은 물질은 가습을 하더라고 정전기의 축적이 잘 이루어지므
로 유의해야 한다.
자기방전식 제전기
아주 가는 스테인레스․카본․도전성 섬유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제전기를 말하며, 이 제전기를
대전물체 가까이 접근시키게 되면 정전기가 중화되게 한다.
전압인가식 제전기
수천볼트의 고전압을 방전침에 인가하므로써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고, 이때 발생되는 이온으로 정전
기를 중화시키는 제전기를 말한다. 이 형식의 제전기는 고전압을 이용하게 되므로 방폭지역에 설치할
경우에는 방폭형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방사선식 제전기
방사성 동위원소의 전리작용에 의해 이온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기를 말하며,
이 형식의 제전기는 방사선을 이용하므로 설치 및 취급시에는 상당한 유의를 요한다.
대전 방지제
저도전성 물질(도전율이 50pS/m이하)의 액체연료에 대하여 액체 내부의 전하 축적을 억제하기 위해
연료와 혼합시켜 사용하는 미량의 도전성 물질을 말한다.
이는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고, 정전기를 신속하게 완화시켜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출 도전부(EXPOSED CONDUCTIVE PART) (0) | 2010.01.05 |
---|---|
위험충전부 (0) | 2010.01.04 |
접지용어 (0) | 2010.01.04 |
중성선과 접지선 차이점 (0) | 2010.01.04 |
각종 속도의 개략 값 (0) | 200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