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접지(FUNCTIONAL EARTHING)
기기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한 접지를 말한다.
노출 도전부(EXPOSED CONDUCTIVE PART)
접촉우려가 있는 전기기기의 도전성 부분으로 정상상태에서는 충전되지 않으나 기능절연이 고장날 경
우에 충전되는 부위를 말한다. 다만, 노출 도전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충전부가 되는 전기기기의 도전
부는 그 자체를 노출 도전부로 보지 않는다.
기타 도전부(EXTRANEOUS CONDUCTIVE PART)
소대지의 전위를 갖기 쉬운 전기설비 일부가 아닌 기타의 도전부를 말한다.
PEN도체(PRODUCTIVE AND NEUTRAL CONDUCTOR)
중성점접지와 보호접지의 기능을 겸한 접지용 도체를 말한다.
TN계통
전력계통 접지방식의 하나로 전원측의 한 점을 직접 접지시키고, 전기기기의 접지는 전원측 접지전극
에 접지용 도체로 접속한 방식을 말한다.
보호 접지선 노출
도전성 부분에 접지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선
노출 도전성 부분
충전부가 아이나 고장시에 충전할 우려가 있고 사람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전기 기계기구의 도전성
부분
접지측 전선
저압 전로에서 기술상의 필요에 따라 접지된 중성선 또는 그 밖의 접지된 선
단자
기기 그 자체의 일부를 이루고 외부 전선을 접속하는 부분
보호 접지 단자
보호 접지선을 접속하는 단자
접지측 단자
접지측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EC 배선설비 시공방법 (0) | 2010.01.05 |
---|---|
IEC 배선방식 선정방법 (0) | 2010.01.05 |
위험충전부 (0) | 2010.01.04 |
정전기 대전 (0) | 2010.01.04 |
접지용어 (0) | 2010.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