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설비 시공방법


배선설비의 시공은 그 시설상황(장소, 환경 등)에 따라 표 2-2(배선설비의 시공)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표 2-2배선설비의 시공[IEC 60364-52의 표52-2(52G]

 

시설상황

공   사   방   법

고정

하지

않음

직접

고정

전선관

케이블트렁킹

(몰드형, 바닥 매입형을포함)

케이블

덕트

케이블래더(ladder), 케이블 트레이, 브래킷

애자

사용

지지

용선

건물의빈공간

40, 46

15, 16

15, 16, 41, 42

×

43

30, 31 32, 33, 34

×

×

케이블 채널

56

56

54, 55

44, 45

30, 31 32, 33, 34

×

×

지중매설

72, 73

70, 71

×

70, 71

×

×

콘크리트매설

57, 58

3

1, 2, 59, 60

50, 51, 52, 53

44, 45

×

×

노출설치

×

20, 21

22, 23

4, 5

6, 7, 8, 9

12, 13, 14

6, 7,

8, 9

30, 31 32, 33, 34

36

×

가공

×

×

10, 11

×

30, 31 32, 33, 34

36

35

수중

80

80

×

×

×

표 안의 번호는 표 2-3 배선공사방법의 예[표 52-3(52H)]의 항목번호를 나타낸다.

× : 허용하지 않는다.

△ : 적용할 수 없거나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 표는 시설상황(장소, 환경 등)에 따른 시설방법(공사의 종류)의 적정성 여부를 나타낸 것으로 표에

사용된 용어 및 배선방식의 시공에 대하여 해설한다.


가. 용어 해설


  1) 건물의 빈 공간

    점검구 등 한정된 부분에서만 접근 가능한 건물 구조 내의 공간으로 예를 들어 천장과 위층 바닥 사

    이의 공간, 2중바닥 속의 공간, 문틀 속의 공간 및 창틀 등의 틈새공간을 말한다.(IEC 60050-826-

    06-02)


  2) 케이블 채널

    케이블이나 전선관을 통하게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람은 들어갈 수 없지만 케이블 통선시나, 배관

    공사시, 공사 후에도 전선관이나 케이블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크기의 것을 말한다. 지면이나

    바닥을 굴착하거나 벽에 붙이는 경우도 있으며 열린 공간 또는 통기구처럼 생긴 경우도 있다.(IEC

    60050-826-06-05)


  3) 구조물 매입

    몰타르 속 또는 콘크리트 속 및 단열 벽 속에 매입하는 것이다.


  4) 가공

    천장, 벽, 바닥 등의 조영재에 지지물을 직접 설치하여 전선 및 케이블이 공중을 건너지르는 것이

    다.


  5) 수중

    물속이나 물속의 바닥에 시설하는 것이다.

 


나. 배선설비의 시공 해설


  1) 건물의 빈 공간

    가) 건물의 빈 공간에서는 전선 및 케이블을 직접 고정하는 시설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다. 이중천장 내부는 비교적 넓은 공간이지만 바닥마루아래 공간, 문틀 속 및 창틀 속에는 배선

         을 고정할 공간이 없으므로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나) 건물의 빈 공간에는 케이블 트렁킹, 애자사용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허용되지 않는다.

          케이블 트렁킹에 의하여 시설한 경우 공간 넓이의 문제로 인하여 점검이 불가능하고, 애자 사용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2) 케이블 채널

    케이블 채널에서는 애자사용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허용되지 않는다. 애자사용 및 지지용

    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위와 마찬가지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허용하지 않는다.


  3) 지중매설

    가) 지중매설에서 전선 및 케이블을 직접 고정하는 시설방법은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다. 지중에는 고정할 지지물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나) 지중매설에서 케이블 래더(ladder), 트레이 및 브래킷 시설방법은 적용할 수 없다. 지중에는 고

          정할 지지물이 없고 그럴 필요도 없으며 부식될 염려가 있으므로 적용하지 않는다.

    다) 지중매설에서 케이블 트렁킹, 애자사용공사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허용되지 않는다.

          케이블 트렁킹에 의한 시설방법은 점검이 불가능하고 애자사용공사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

          방법은 절연불량 및 부식될 염려가 있으므로 허용되지 않는다.


  4) 구조물 매입

    가) 구조물 매입에서 케이블 래더(ladder), 트레이 및 브래킷 시설방법은 전선 및 케이블 시설이 불

          가능하므로 적용할 수 없다.

    나) 구조물 매입에서 애자사용공사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허

         용되지 않는다.


  5) 노출설치

    노출설치에서 전선 및 케이블을 고정하지 않는 시설방법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허용되지

    않는다. 노출설치는 지지물을 이용하여 전선 및 케이블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경우 이외에는 지

    지물에 고정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허용되지 않는다.


  6) 가공

    가) 가공에서 전선관에 의한 시설방법은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전선관을 가공으로

         시설하는 경우 전선관 중량이 더 가해져 지지용선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

         다. 또한, 전선관의 접속부가 자체하중이나 비바람에 의하여 꺾일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실용상 일

         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나) 가공에서는 전선 및 케이블을 고정하지 않음 또는 직접고정에 의한 시설방법은 허용되지 않는

         다. 가공은 공중을 건너지르는 것으로 고정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허용하지 않는다.

    다) 가공에서 케이블 덕트에 의한 시설방법은 허용되지 않는다. 점검이 불가능하거나 쉽지 않아 허

         용되지 않는다.


  7) 수중

    가) 물속에서 전선관, 케이블 덕트, 케이블 래더(ladder), 케이블 트레이 및 브래킷의 시설방법은 물

         속에 시설하는 경우 부식될 우려가 있고 또 그럴 필요성이 없으므로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하

         지 않는다.

    나) 물속에서 케이블 트렁킹에 의한 시설방법은 물속에 시설하는 경우 부식될 우려가 있고 점검이

          불가능하므로 허용되지 않는다.

    다) 물속에서 애자사용공사 및 지지용선에 의한 시설방법은 물속에 시설하는 경우 절연불량 및 부

         식될 우려가 있으므로 허용되지 않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