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번호표

 

① 전철용 전주번호표는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고속철도 일반개소의 전주번호표는 전주제작시 미리 천공해 놓은 위치에 볼트로 설치하고, 터널

    내의 브래키트지지용 하수강 위치의 번호는 케이블덕트 위 표면에서 1.5[m] 높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일반철도 구간의 전주에는 레일면상 약 2.5[m]의 위치에 지하구간은 레일면상 3.0[m]의 위치에

    설치하고 터널브래키트에는 지지철물에 설치한다.

3. 전주번호표 및 터널브래키트 번호표는 철도시설관리자가 따로 정한 표준도에 의한다.

4. 전주의 번호표는 선로와 직각방향(선로측)으로 설치한다.

5. 전주번호는 정거장간과 정거장구내를 별도구좌로, 터널브래키트는 터널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한

    다. 단, 고속철도 구간은 km정으로 정한 별도의 시설기준에 의한다.

6. 전주번호의 부여는 선로의 서울쪽을 기준으로, 복선 이상의 경우에는 하선을 기준으로 한다.

7. 지하구간의 전주번호표는 5경간마다 설치한다(처음 및 마지막 전주번호표 포함).

 

② 배전선로용 전주번호표는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전주에는 철도 또는 도로에 면하는 측의 지표상 약 2.5[m]의 위치에 전주번호표를 부착한다.

2. 전주번호표에는 철도 마크.전주번호.건식 년월일 등을 기재하며 다음과 같이 한다.

 

가. 철도선로의 종점에 향하는 간선에 있어서 수전점에 가장 가까운 지지물을 제1호로 하고 순차적

     으로 번호를 붙인다. 간선에서 분기되는 것은 “가”, “가” 선로에서 분기되는 것은 “나”, “나” 선로

     에서 분기되는 것은 “다”, 이하 “라”, “바”‥‥“하”로 한다.

나. 간선에서 분기하는 전선로에 있어 동일주에서 2방향 이상으로 분기되는 선로는 종단을 향하여

     “좌”, “우” 또는 그 방향의 주요시설의 명칭.약호를 기재하여 구별한다.

다. 역소 2개소 이상에 걸치는 전선로에는 역구내와 인접 역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마다 철도선로 기

     점에 가까운 지지물을 제1호로 하고 순차 번호를 정한다.

라. H주.A주 기타 조립주는 하나의 전주번호로 기재하고, 나머지 전주에는 부주로서 번호를 정한다.

마. 전주대용물은 그 시설된 구조물에 따라 터널. 홈. 교량. 고가교 등을 약하여 터널. 홈. 교량. 고가 

     등의 문자를 기재한다.

바. 콘크리트주 및 철주의 경우에는 페인트로서 전주에 기재 또는 번호표를 붙인다.

사. 전차선로 및 다른 전선로의 지지물에 첨가할 경우에는 그 지지물의 기호 및 번호에 의한다.

아. 전주번호표는 알루미늄제로 제작 취부한다. 다만, 콘크리트주. 철주에 직접 기재할 경우에는 백

     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기입한다.

 

3. 전주번호표의 크기 및 형상은 철도시설관리자가 따로 정하는 표준도에 의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로용 개폐기 번호부여 및 관리  (0) 2011.02.23
전차선로용 피뢰기  (0) 2011.02.23
접지극의 시설  (0) 2011.02.22
접지공사의 종류  (0) 2011.02.22
피뢰기의 설치장소  (0) 2011.0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