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수력평균가능발전력(月水力平均可能發電力,
Monthly Average Available Hydro Power)1개월간의 수력가능 발전력에서 산출한 평균전력을 말하며 일, 월, 년 평균 가능 발전력이 있다. 월별 수력평균가능발전력을 과거 몇 년동안 누계평균한 수치를 당월의 평균가능발전력이라 한다.
• 수력가능발전력지속곡선(水力可能發電力持續曲線,
Available Hydro Power Duration Curve)
어느 일정기간에 있어서 수력가능발전력의 크기와 그지속시간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이다.예를들면, 月수력가능발전력 지속곡선은 횡축으로 日을 종축으로 수력발전력을 그려서 당월의 매일 수력가능발전력을 최대로 부터 차례대로 나란히 연결한 곡선이다.
• 유황곡선(流況曲線, Flow Duration Curve)
통상 1년간 매일의 하천유량 혹은 가능 발전력을 발생한 날짜에 관계없이 크기 순서로 최대로 부터 나란하게 연결한 곡선으로서, Series 유황곡선과 Parallel 유황곡선이 있다.
• 출수율(出水率, Flow Rate)
어느 시점 혹은 어느 기간의 수력실적가능발전력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풍,갈수의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된다.
• 설비출수율
(設備出水率, Flow Rate Based on Capacity)
어느 일정기간에 있어서 수력발전소의 수력평균가능발전력을 그 설비용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 동일 설비에 대한 다른 기간의 출수상태를 비교하는데 사용한다.
• 첨두부하(尖頭負荷, Peak Load)
하루, 일개월, 일년 등 어느 일정한 기간의 최대부하 또는 그 전후를 포함한 부하. 계절, 부하형태, 일기 등에 따라 발생 시간대가 달라진다.
• 첨두부하지속곡선(尖頭負荷持續曲線, Duration Curve of Peaking Time)
1일의 부하곡선에서 첨두부하 및 그 전후의 높이 돌출된 부분의 시간곡선을 말한다. 통상 이것을 수력발전소, 양수발전소,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등의 운용 및 계획의 목표로 이용한다.
• 전력조류(電力潮流, Power Flow)
전력계통내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흐름을 총칭하여 말한다.
• 조류조정(潮流調整, Power Flow Control)
발전소의 출력조정, 조상설비의 조작, 계통전환 등으로 전력조류를 조정하는 것이다.
• 전력조류도(電力潮流圖, Power Flow Diagram)
전력계통의 구성도에 발․변전소와 송전선로의 전력조류, 전압 등을 표시한 것이다.
• 전력조류계산
(電力潮流計算, Power Flow Calculation)
발전기에서 발전된 유효전력, 무효전력 등이 어떤 상태로 전력계통내에 흐를 것인가, 또 이때 전력계통내의 각지점에서의 전압이나 조류는 어떤 분포를 하게 될 것인가를 조사하기 위한 계산을 말한다. KEPCO에서는 PSS/E(Power System Simulation for Engineering, PTI社)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 페널티계수(페널티計數, Penalty Factor)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병행운전중인 각 발전기의 경제배분에 있어서, 각 발전기로부터 부하까지의 송전손실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각 발전기별로 그 영향도를 지정한 계수로서, 증분 송전효율의 역수로 표현한다.
• 스윙모선(스윙母線, Swing BUS)
전력조류계산에서 발전기모선과 부하모선에 유효전력을 지정하게 되는데, 모든 모선에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송전하는 과정에서 송전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전 모선의 유효전력을 지정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송전손실의 크기까지를 지정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계산에서는 발전기 모선중에서 한군데만을 풀어서(즉, 여기에서는 유효전력[P]을 설정하지 않음) 계통내의 송전손실분을 흡수 조정하는 모선으로서의 기능을 맡게 하고 있는데, (이 모선을 스윙모선이라 함) 여기에서 는 유효전력과 전압의 크기를 지정하는 대신에 전압의 크기와 위상각(0도)만을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 슬랙모선(슬랙母線, Slack BUS)
전력조류계산에서 계통내의 각 모선 전압의 크기와 위상각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어느 한 모선을 기준모선으로 선택하여 위상각(δ)을 0줩로 둔다면, 다른 모선들은 이 기준 모선을 기준으로 하여 각 모선전압의 위상각이 얼마만큼 벌어지고 있는가를 쉽게 표현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한 것인데, 이러한 기준모선을 슬랙모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어느 한 모선을 스윙 모선과 슬랙모선으로 사용하고 있다.
• 증분부하법(增分負荷法, Incremental Loading)
등증분 연료비법이라고도 한다. 발전소 또는 각 발전기 간의 부하배분을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각 발전기의 증분비(단위출력을 증가하는데 요하는 증가 경비)를 같게 하도록 배분하는 방법을 말한다. 실제로는 출력증가에 수반해서 송전손실도 증가하므로 발전단에 있어서의 증분비를 수요단으로 환산하는 페날티팩터를 고려하여 사용한다.
수력발전소에서는 단위출력을 증가하는데 필요한 증가사용 수량을 화력발전소의 증분연료비와 동등하게 취급하고 있다. 이 경우 화력발전기의 단위수량의 경제가치를 수 단가(水單價)라 한다.
• 증분연료비(增分燃料費, Incremental Fuel cost of Generation)
증분연료비는 증분연료소비율에 연료단가를 곱한 것을 말하며, 출력 P로 운전중인 어느 발전기가 출력을 미소량 △P만큼 증가 시켰을 때 연료비가 △F만큼 증가했다고 하면 이때의 △F와 △P의 비율(△F/△P)로 되는 것이다. 즉, 연료비 대 출력간의 관계이다.
• 등증분연료비운전(等增分燃料費運轉, Operation for Equal Incremental Fuel Cost)
일반적으로 각 발전기출력 배분이 다음 관계를 만족할때 최적 경제출력배분으로 되게 한다. 즉, 화력계통에서 각 화력발전기의 증분 발전비용이 같게 되도록 각 발전기 출력을 배분해 주면 가장 경제적인 부하배분이 된다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각 발전기의 증분연료비가 균등하게 되도록 운전하는 것을 등증분 연료비운전이라 한다.
• 방사상계통(放射狀系統, Radial Systems)
발, 변전소 간 단일 루트의 전선로로서 방사형으로 접속 운용되고 있는 계통을 말한다.
• 루프계통(루프系統, Loop Systems)
발,변전소 간 서로 다른 루트의 전선로로서 환상형으로 되어있는 계통을 말한다.
• 설비이용률(設備利用率, Capacity Factor)
일정기간 중 발전소의 평균출력을 설비용량으로 또는 변전소의 경우는 평균전력을 변압기용량으로 나누어서 이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서 단순히 이용률이라고도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통용량 (系統容量, System Capacity) (0) | 2017.02.15 |
---|---|
최대전력(最大電力, Maximum Power) (0) | 2017.02.15 |
예비력 (0) | 2017.02.15 |
프로세스 레벨 (Process level) (0) | 2017.02.14 |
전자식 전류 변환기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