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급전소(Local Load Dispatching Center)

지역이나 전압별로 전력계통을 적절히 구분하여 담당구역의 급전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통상 수급조정 업무를 제외한 급전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후비급전소(Back Up Dispatching Center)

지역급전소 SCADA 후비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상시 지역급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곳이다.

 

급전분소(Local Control Center)

원격 제어 및 감시설비를 이용하여 무인 변전소의 조작, 감시를 담당하는 기관. 지역급전소의 급전지시를 받으며, 순회진단팀에 긴급출동 및 조치지시를 한다.

 

급전지시(Load Dispatching Instruction)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로를 통제하여 안정되고 경제적으로 종합운용하기 위해 급전소에서 명령하는 지시를 말한다.

 

급전규정(Load Dispatching Guide Line)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로를 통제하여 안정되고 경제적으TQ로 종합운용하기 위해 급전업무에 관련되는 기본원칙을 규정하는 것이다.

      

발전단전력(Gross Output of A Power Station)

발전소의 발전기단자에서 발생되는 전력이다.

 

송전단전력(Net Output of A Power Station)

발전단전력에서 주변압기 손실 및 발전소의 소내 소비전력을 사용한 후 송전하는 전력이다.

수요단전력(Load at Receiving End)

수용가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수급지점(계량점)에서의 공급전력이다.

 

종합손실전력량(綜合損失電力量, Network Losses)

송전선로, 배전선로, 변압기 등의 손실전력량의 합으로 송,변전설비 및 배전설비의 전체 손실량을 말한다.

 

종합손실률(綜合損失率, Network Loss Rate)

종합 손실전력량을 송전단 전력량으로 나누어서 이것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송전계통을 구성하는 설비에 의해 생기는 손실전력량을 말한다. 송전손실전력량을 송전단 전력량에 대한 백분율 로 표시한 것을 송전손실률이라 한다.

 

소내소비전력

(所內消費電力, Power Station Internal Load)

발전소 운전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말하며, 소내전력을 발전단 출력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소내소비율이라 한다.

 

계통용량 (系統容量, System Capacity)

전력계통에 병렬되어 운전되고 있는 발전소의 발전단 전력의 합 또는 시설용량의 합이다.

 

 

광역정전(廣域停電, Black-out)

수요공급의 부조화, 전력계통 고장 등의 요인으로 정전이 확산되는 것. 발전기 탈락, 계통분리 등이 수반되기도 하며 즉시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시송전선로를 이용하여 계통을 복구하여야 한다.

 

시송전선로(始送電線路)

전 계통 또는 광역계통 정전발생시 자체기동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 공급하기 위하여 사전에 지정한 선로를 말한다.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주·예비선로를 지정하고 있다.

 

황색차단기(Yellow Circuit Breaker)

시송전선로에 연결된 차단기로서 정전 시에도 개방하지 않도록 지정된 차단기(모선연락 또는 모선구분 차단기를 포함)이다.

 

자체기동발전기

(自體起動發電機, Black Start Generator)

외부로부터의 기동전력 공급없이 비상발전기 등에 의하여 자체기동 후 타 발전기의 기동전력 또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로서 주로 수력, 양수발전기 등을 말한다.

 

전력확보(電力確保)

국가의 중요행사 등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극히 요구되는 개소에 대해 수립하는 비상공급대책. 상황실 구성, 다중전원 확보, 정전유발 요인 제거, 유사시 긴급 전력공급 대책 등을 포함한다.

 

 

계통운영(系統運營, Power System Operation)

수용가에 대하여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계통을 합리적, 경제적으로 운용하는 것이다. 계통운용에는 주파수조정, 전압조정, 조류조정, 개폐기조작, 계통보호장치 운용 등이 있다.

 

상정고장

전력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의 단일 또는 다중의 전력설비 고장을 말한다.

 

계통복구

전기설비의 고장이나 전력계통의 불안정시 이를 감지하여 고장 또는 불안정 요인을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보호대상설비 운영자 또는 계통운영자에게 경고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체기동발전소

외부로부터의 기동전력의 공급 없이 비상발전기 등에 의하여 자체기동 후 다른 발전소의 기동전력 또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력 및 양수발전소 등을 말한다.

 

단일고장

송전선 1회선 고장, 변압기 1 Bank 고장, 발전기 1기 고장, 그밖에 고장시 전력계통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개 설비의 고장을 말한다.

 

이중고장

송전선 1회선 고장 및 변압기 1 Bank 고장, 송전선 1회선 고장 및 발전기 1기 고장, 발전기 2기 탈락, 병행 2회선 가공송전선로 고장, 차단기의 차단실패 및 부분모선(Bus

Section) 고장, 그밖에 고장시 전력계통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2개 설비의 동시 고장을 말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