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고장

동일 철탑의 다회선 가공송전선로 동시 정지, 동일 발전소의 전 발전기 동시 정지, 다수 전력설비의 정지 우려가 있는 모선 고장, 그밖에 고장시 전력계통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개 이상 설비의 동시 고장을 말한다.

 

비상상황

발전 및 송전계통의 다중 고장 등과 같은 내부 원인이나 폭풍 및 그밖에 자연현상, 사회혼란, 태업 등과 같은 외부 원인에 의하여 전력계통에 광역정전이 야기될 수 있는 상태 또는 전력수급의 균형유지가 어렵거나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태를 말한다.

      

수요예측(需要豫測, Power Demand Forecast)

전력계통을 운용함에 있어서 발전계획이나 계통구성 등을 검토하기 위해 계통의 예상부하를 추정하는 것이다.

 

부하배분(負荷配分, Allocation of Generation)

전력계통을 안정적, 합리적, 경제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각 발전기에 분담해야하는 출력을 할당하는 것이다.

 

경제부하배분제어(經濟負荷配分制御,Economic Dispatch Control)

시시각각의 부하 변화에 대응하여 각 발전기에의 부하 배분이 가장 경제적으로 되도록 발전기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표준주파수(標準周波數, Normal System Frequency)

전력계통에서 유지해야하는 기준주파수를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60[Hz, 유럽은 50[Hz], 미국은 60[Hz], 일본은 50[Hz]60[Hz]를 사용한다.

 

주파수조정(周波數調整, Frequency Control)

전력계통의 주파수를 표준주파수로 유지하기 위해 시시각각의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발전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주파수조정발전소(周波數調整發電所, Designated Power Station for Frequency Control)

주파수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표준치를 벗어나므로, 주파수를 표준치로 맞추기 위하여 필요한 발전량을 조절하기 위해 지정된 발전소를 말한다.

 

자동주파수제어(自動周波數制御, Automatic Frequency Control)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표준주파수가 되도록 발전소의 발전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으로서, AFC 또는 LFC(Load Frequency Control)라고도 한다.

 

시차(時差, Time Deviation)

표준주파수와 계통주파수의 편차 적산치를 시간으로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다.

 

계통주파수특성정수(系統周波數特性定數, Power System Frequency Characteristic Constants)

전력계통의 발전력과 전력수요와의 불평형량과 주파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수로서, 주파수-부하 특성 정수와 주파수-발전력 특성정수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1[Hz] 변동하는데 계통부하에 몇%의 변동이 일어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운전기준전압(運轉基準電壓, Standard Operating Voltage)

계통전압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발,변전소별로 정한 전압의 기준치로 운전목표전압이라고도 한다.

 

전압, 무효전력특성정수(電壓, 無效電力 特性定數, Power System Characteristic

Constants of Voltage and Reactive Power)

전압-무효전력 조정설비, 부하시 전압조정기, 발전기 및 조상설비 등의 조작과 그것에 의한 계통내 각곳의 전압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수를 계통전압 특성정수라 하고, 무효전력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수를 무효전력 특성정수라 한다.

 

전압, 무효전력제어

(電壓, 無效電力制御, Reactive Power and Voltage Control on Systems)

,변전소의 적정한 운전전압 유지와 무효전력조류에 의한 송전손실의 경감 등을 목적으로 한 전압조정 및 무효전력 조정을 위해 부하시 전압조정기, 발전기, 조상(調相)설비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저역률운전

(低力率運轉, Lower Power Factor Operation)

전력계통의 전압조정 또는, 안정도 향상을 위해 발전기의 여자(勵磁)를 증가시켜(무효전력의 발생을 많게하여), 역률을 낮게 지()역률로 운전하는 것으로서, VAR운전 이라고도 한다.

 

고역률운전(高力率運轉, High Power Factor Operation)

전력계통의 전압조정을 위해 발전기에서 무효전력의 발생을 적게하여 고역률로 운전하는 것이다.

 

진상운전(進相運轉, Leading Phase Operation)

전력계통의 전압조정을 위해 발전기의 여자(勵磁)를 감소시키고,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진상역률로 운전하는 것으로서, 진상역률 운전 또는 진상(LEAD)운전이라고 한다.

고역률, 진상운전을 포함하여 저여자운전이라고도 한다.

 

조상기운전(調相機運轉, Synchronous Condenser Operation)

전압조정을 위해 발전기를 동기조상기로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전압프리커(電壓프리커, Volatage Flicker)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짧은 주기의 전압변동을 말하며, 조명의 어른거림, TV화면의 동요 등 다른 기기에 악영향을 미친다.

 

전압불안정현상(電壓不安定現狀, Voltage Instability)

중부하 장거리 송전선의 일부 회선 정지 등에 따른 계통내 부하의 급속한 변동 또는 전압변화에 의해 수전단 전압이 계속 저하되어 정상전압의 회복이 어려운 현상

      

손실방정식 (損失方程式, Loss Formula)

송전손실을 발전기 유효출력의 2차형식으로 나타낸 것을 손실방정식이라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