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전력(平均電力, Average Power)

일정 기간의 전력량을 그 기간의 총 시간수로 나눈 값을 말하며, 그 정한 기간에 따라 일, , 년 평균전력 등이 있다.

 

최대전력(最大電力, Maximum Power)

일정 기간의 전력 중 최대의 것을 말한다.

 

부등률(不等率, Diversity Factor)

전력계통에서 各個의 최대전력을 산술적으로 합산한 최대전력을 합성최대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이는 1보다 큰수로 된다.

 

평균최대전력

(平均最大電力, Average Maximum Power)

일정기간 매일의 최대전력 합계를 그 기간의 일수로 나눈 것으로 일, 월 평균 최대전력 등이 있다.

 

부하율(負荷率, Load Factor)

일정기간의 평균전력을 그 기간의 최대전력으로 나누어 이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부하율은 수요의 종별, 계절, 일반 사회정세 날씨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므로 부하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계수이다.

 

평균부하율(平均負荷率, Average Load Factor)

일정기간의 평균전력을 그 기간의 평균최대전력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 일,월 평균부하율 등이 있다.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

송전 및 배전사업자인 한국전력공사가 전기사업법 제15[송 배전용 전기설비의 이용요금 등]의 규정에 의하여 송 배전용 전기설비 이용요금 및 기타 이용조건을 정한 규정을 말한다.

 

공용송전망

배전용전기설비 중 일반 다수의 고객이 공용하는 설비를 말한다.

 

접속설비

공용송전망 또는 공용배전설비로부터 특정고객의 전기 설비에 이르기까지의 전선로와 이에 부속하는 개폐장치, 모선 및 기타 관련 설비를 말한다.

 

송전요금

송전이용요금송전접속비용을 총칭하여 말한다.

송전이용요금이라 함은 고객이 공용송전망을 이용한 대가로서 지급하거나 지급해야 할 금액을 말한다. 송전접속비용이라 함은 고객이 자신의 전기설비를 공용송전망에 접속하고자 함에 따라 발생되는 접속설비의 건설, 운전 및 유지보수, 대체, 철거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접속점

접속설비와 고객측 전기설비가 연결되는 지점을 말한다.

 

연계점

접속설비와 공용송전망 또는 공용배전설비가 연결되는 지점을 말한다.

 

독립발전사업자(IPP, Independent Power Plant)

최종소비자에게 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이 없고 도매시장이나 소매망을 가지고 있는 전력회사에 전력을 판매하는 발전사업자를 말한다. 과거 구조개편 이전의 민자발전사업자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반전기사업자인 한전과 달리 발전한 전기를 전량 일반 전기사업자인 한전에게 공급하는 사업자를 칭한다. 하지만, 전력산업구조개편으로 인해 전력시장에서 전력이 거래되고 한전이 분할됨에 따라 IPP는 도매 전력시장에 전기를 공급/판매하는 발전사업자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전력수급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공급자가 단일구매자인 전력회사에 전력을 판매하는 형태로서 변동비는 실적 보상하고, 고정비 보상은 협상에 의하여 매년 일정 수준 보장하는 제도이다. 전력수급계약은 발전설비가 가동되는 전 기간에 걸쳐서 합의한 투자보수율을 보장하는 수준으로 전력수매요금과 가동시간 등을 포함하며, 대부분의 경우 IPP와 규제적인 독점전력회사 간의 계약이다. 따라서 전력수급계약은 경쟁적 전력시장으로의 이행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수급계약이 만기가 될 때까지 해당 계약전력을 구매하거나 IPP에게 충분한 보상을 하여 수급계약을 해지하는 방식을 취한다. 전력수급계약의 유형으로는 전량수매계약과 부분수매계약이 있다.

 

 

전력계통(電力系統, Electrical Power System)

전기를 생산하고 이것을 수용가에게 공급하는 일련의 설비를 전력계통이라 한다. 설비의 내용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와 생산된 전력을 수송하고 배분하는 송전선로, 변전소, 배전선로 등의 수송설비로 구성된다.

 

계통연계(系統連繫, Power System Inter connection)

전력계통 상호간에 있어서 전력의 수수, 융통을 행하기 위하여 송전선로, 변압기 및 변환설비 등의 전력설비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계통분리(系統分離, System Splitting, System Separation)

전력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파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부계통을 분리하는 것이다.

 

계통절체(系統切替, System Switching)

전력계통의 일부가 다른 전력계통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 전력융통이나, 전력조류의 관계상 또는 송전선의 작업이나 사고 등의 이유에 의하여 현재 접속 중의 전력계통으로 부터 다른 전력계통으로 절체 하는 것이다.

 

급전(給電, Load Dispatch, Electric Power Control)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로 등의 전력설비를 가장 합리적으로 통제하며 안정적, 경제적으로 종합 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급전에는 수급운용, 계통운용, 계통보호 등이 있다.

 

중앙전력관제센터(National Electric Power Control Center)

급전기관의 중추로서 수급조정, 전력계통의 조정업무, 기간계통의 운용업무 및 하위 급전기관을 통할하는 전력거래소 소속의 기관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