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 구 제 작


 설계 및 제작
발주기관에서 지시하는 도면에 따라 제작도를 작성하여 승인을 득한 후 제작하여야 한다.


 재료
품질
철구에 사용되는 재료는 흠이 없고 우량품으로 다음의 사항에 의하여야 한다.
(1) 형강 및 일반강재는 KS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제2종(SB 41)으로 한다.
(2) Bolt 및 Nut : KSB 1002 [6각 Bolt] KSB 1012 [6각 Nut] 이다.


선택정정
재료는 사용전에 세밀한 검사를 행하여 흠이나 기타의 결점이 없어야 하며 구부러진 재료는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충분히 교정하여야 한다.


절단
재료의 절단은 정확히 하고 깨끗하게 되어야 한다.


부재의 연결
부재의 연결은 다음 각항에 의한다.
(1) 부재의 취부는 각 부재의 게이지라인(Gauge Line)을 절점 또는 교점에 합치시켜야 한다.
(2) 주주재의 내면에 2개 이상의 부재(산형강)의 한점에 집중하고 부재끝이 상호 접속하여 조립될 경우는 부재 끝이 중첩되지 않도록 부재의 귀를 절단하여야 한다.
(3) 주주재의 수평재를 치부하거나 수평 및 사재에 대각 보조재, 대변 보조재를 취부함에 있어 양자의 밀착이 곤란할 때에는 대변 보조재 또는 대변 보조재의 끝을 적당히 구부리거나 기타 적당한 가공으로 양자를 밀착시켜야 한다.
(4) 대변 보조재는 그림 4와 같이 정확히 철구 단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치부하여야 한다.


부재의 접속
부재의 접속은 다음의 각 항에 의한다.
(1) 산형 강을 중첩하여 접속할 때에는 안쪽에 들어가는 산형 강의 외측의 각을 적당히 도려내어 양산형 강의 후렌지(Flange)가 균등하게 밀착되어야 한다.
(2) 산형 강을 잇대어 접속할 때에도 10항과 같이 각을 도려내어야 한다.
(3) 중첩하여 접속하는 중첩부분의 길이는 부재의 Flange 폭의 2배 이상이고 폭의 크기가 다른 부재를 접속할 때는 작은 부재의 Flange 폭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부재의 굴곡
부재의 굴곡 가공은 다음의 각 항에 의한다.
(1) 부재의 굴곡 각도는 정확히 가공하여야 한다.
(2) 굴곡의 가공은 반드시 열간가공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단, 굴곡각도가 10° 이하일 때에는 상온가공도 무방하다.
(3) 굴곡 각도가 17° 이상일 때에는 가공에 특히 주의하여 재질의 열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조합부재
재료를 조합연결 할 때는 다음 각 항에 의한다.
(1) 조합부재는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함을 표준으로 한다. 부득이 리벳트를 사용할 때에는 각 재료의 아연도금을 먼저 실시하여야 하며, 리벳트 작업으로 인하여 부재의 구멍과 주위의 아연이 제거되므로 작업후 리벳트 머리 및 주위에 방수재를 칠하여야 한다.
(2) 조합부재로 산형 강을 사용할 때는 안쪽으로 들어가는 산형 강은 외측의 각을 적당히 도려내어 아연도금을 시행한 후에 조합하여야 한다.


철구부재의 공동사용
동일형 철구의 동일번호의 부재는 상호교환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멍뚫기
(1) 재료의 구멍 뚫기는 드릴링(Drilling)에 의함을 표준으로 한다.
(2) 재료의 두께가 9㎜이하일 대에는 펀칭(Punching)으로 구멍 뚫기를 할 수 있다.
(3) 펀칭은 재료의 두께가 9㎜이하일 때이며 이때 펀치와 펀치대의 직경차는 2㎜로 하되 재료의 두께가 6㎜이하일 때는 1㎜로 한다. 펀칭은 펀치의 날에 주의하여 변형되지 않아야 하며 구멍 뚫기의 결과가 거칠게 되어서는 안된다.
(4) 구멍 뚫기는 철구 조립시에 연결부의 구멍이 틀리는 일이 없도록 정확하게 하고 리-마 등으로 구멍을 확대시켜서는 안 된다.


볼트구멍의 크기
볼트구멍의 직경은 항상 볼트의 직경보다 1.5㎜이상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볼트의 길이
볼트의 길이는 너트를 조인후 6㎜이상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휠러(Filler)
철골구조상 Bolt 조임에서 부재간에 틈이 생길 때는 이틈을 메꾸는데 충분한 두께의 휠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부재의 번호
(1) 부재의 번호는 조립에 편리하도록 철구 하부로부터 상부로 향하여 순차적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철구의 다리 한두개를 표준에서 자르거나 연장시킬 때는 이의 공통부분에 대하여 하로부터 상으로 순차번호를 표기하고 공통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는 그 부분의 하로부터 상을 향하여 순차번호를 표기한다. 단, Plate에 대하여는 별도로 번호를 표기하여야 한다.
(2) 부재에는 각 부재의 일단에 근접한 개소에 아연도를 시행전에 재료표와 동일한 철주기 호 및 부재번호를 명료하게 적어 넣어야 한다.
(3) 철구멍, 철구번호, 철주높이 및 부재번호를 아연도금후 각 부재의 일단에 근접한 개소에 흑인으로 명기하여야 한다.


아연도금
철구는 용융 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본 공사에 사용하는 모든 강재는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용융 아연도금을 하여야 하며, KSD 8308(용융 아연도금)에 의하여야 한다.


현부재의 재 아연도금
현부재를 재 아연도금 할 때에는 희유산 속에 적당한 시간동안 넣어 완전히 먼저 도금한 아연을 제거한 후 “Hot- Dip Galvanizing“ 법에 의하여 아연도금을 시행하여야 한다.
(3) 도금은 강재의 가공과 가 조립이 끝난 다음에 시행하여야 한다.
(4) 조립부호는 흑색 페인트로 부재마다 정확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5) 아연도금 시험
 본 공사에 사용하는 모든 강재 및 Bolt Nut등 의 아연도금 시험은 KSD 0201 “용융아연도금 시행방법” 에 의하여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부착량 시험 및 균일성 시험을 시행 하여야 한다.


부재의 아연도금
부재는 절단, 구멍 뚫기, 교정 등 기타 일체의 가공을 완료 후 “HOT DIP Galvanized“ 법에 의하여 전면 균일한 정량 이상의 완전한 아연도금을 실시하여야 한다.


Bolt, Nut의 아연도금
Bolt 및 Nut는 나사를 만든 후 “HOT DIP Galvanizing"법에 의하여 전면 균일하게 정량 이상의 용융 아연도금을 시행하며, Bolt 나사는 용융 아연도금 후 기계적으로 조정하여서 는 안 된다.


아연도금의 시험
철구, 부재, 강판, Bolt, Nut 등의 아연도금 시험은 KSD 0201 "용융 아연도금 시행방법에 의하며,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부착량 시험 및 균일 시험을 시행한다. 


도장
도장에는 아연도금을 않은 부재에 대한 도장과 아연도금이 벗겨진 부분의 도장이 있다. 도장은 강재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표면에 시행하되 칠하기 전에 오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광명단을 칠한 후 양질의 도료를 2회칠한다. 건설공사 중 도료가 벗겨졌을 경우에는 공사완료 후 다시 칠하여야 한다.
가. 표지류, 주의표, 방호책과 특별히 지정하는 강재는 도장을 하여야 한다.
나. 녹의 제거는 함마, 가는 끌, 와이어 부러쉬, 전동공구 등을 사용하여 흑피, 녹, 유지 등과 노화한 페인트 피막을 완전히 제거하고 금속면이 노출 되도록 닦아야 한다.
다. 하도장은 1회 시행하며, 처음 도장한 때는 광명단 녹막이 페인트(KSM 5311) 1종 200g/m2를 노화된 것을 다시 칠할 때는 염기성 크롬산연 방청페인트(KSM 5323), 이산화연 방청페인트등 140g/㎡를 붓으로 깨끗이 도장하여야 한다.
라. 상도장은 2회 시행하여야 하며, 처음 도장할 때는 프탈산 수지도로 110g/㎡를 노화된 것을 다시 일할 때는 120g/㎡를 붓으로 도장하여야 한다.
마. 붓은 깨끗한 것을 사용하며 도장의 얼룩무늬, 흐름, 기포 등의 결심이 생기지 않도록 균등하게 도장하여야 한다.
바. 기온이 5℃ 이하 습도 80% 이상의 기상조건의 옥외도장은 감리원의 승인을 받을 때까지 도장을 하여서도 아니 되며, 또한 강풍, 고온일 때도 역시 같다.


조립
가. 목재의 조립에 앞서 접합면은 흑피, 녹, 먼지, 유지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조립할 때는 부재맞춤을 위하여 리마 등으로 구멍을 넓히거나 무리한 시공을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 공장 조립품을 취급하고 운반할 때는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아연도금과 도장의 손상이 없도록 한다.
다. 조립품이나 부재를 거치할 때는 휨이 없도록 튼튼한 받침대를 사용하여야 하고 부재는 직접 땅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라. 부재의 종별과 수량은 도면에 의하여 조립 전에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고 볼트의 길이는 사용개소에 따라 틀리지 않도록 주의 선별하여야 한다.
마. 조립 후에는 볼트, 너트의 본 조임을 정확하게 시행하고 다시 전 수량의 조임 상태를 확인 점검하여 불완전한 조임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볼트, 너트의 이완방지
진동이 심한 교량 등에는 볼트, 너트의 이완을 방지 하여야 한다.

철구의 검사
철구는 각 형별로 지정하는 각 1기를 지상 가조립하여 부재의 길이, BOLT구멍의 위치, 치수가 맞는가의 여부를 검사하며 이 가조립 시험에 합격된 부재를 기준하여 각 제작과정에서 가공의 양부를 항시 검사하여 설계도 및 현 치수대로 제작하고 있는가를 빠짐없이 대조하면서 제작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뢰 안전 행동요령  (0) 2017.03.01
자재관리  (0) 2017.02.22
트로프 및 케이블공사  (0) 2017.02.21
응급처치 행동요령  (0) 2017.02.15
대설 및 풍랑․너울성파도 대응계획  (0) 2017.01.25

+ Recent posts